동아시아 불교 연구에 있어서 한국선의 역할과 중요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 논문요약.

* 내용 분석.

*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롭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두려워하여 여자들을 승려로부터 완전히 격리시켰다. 그렇지만 선승들은 이러한 격리 정책에 대항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5) 저자는 조선왕조의 선 전통을 연구함으로 우리 민족을 잘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동아시아발전에 대한 보다 분명한 양상을 제공한다고 하였는데, 저자가 논문에서 밝혔듯이 조선왕조는 불교에게 있어서 어두운 날들이었지만 침체기에 빠져있던 불교퇴보의 시기라고 단정짓긴 어려울 것 같다. 이 시대의 민중들에게는 불교가 유일한 종교적 위안과 용기를 주면서 전통 종교로써의 명맥을 꾸준히 유지해오고 있었고, 이는 대중 속으로 파고 들어가 전 시대와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억불정책에도 불구하고 불전사업은 계속 간행되었으며
) 세조는 25종의 불전과 9종의 국역본을 간행햇고, 인수대비또한 37종의 불전을 중인하엿다. 지방의 사찰에서도 많은 불전이 꾸준이 전개되었고 이와같은 불전의 간행은 불교대중화의 계기가 되었고 우리나라 인쇄술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 이땅에 정착한 불교. 197쪽. (출판사 연도 지은이는 알수없음.--;)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인 <금오신화> <만포사저포기>를 비롯한 <구운몽>같은 불교소설이 쓰여졌으며 범패가 성행하였고 산염불, 회심곡, 염불타령 등의 수많은 불교 민요가 불려지기도 했다. 본래는 불교의식 무용인 바라춤 등은 승무라는 민속무용으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 맺음말.
동아시아의 불교연구에 있어 한국선의 역할과 중요성은 앞에서 설명된 논문에서 충분히 설명되었다고 생각한다. 오늘날 세계의 많은 불교학계의 관심이 한국의 선 불교에게 있는 만큼, 우리 불교계의 자성(自省)과 자정(自淨)을 기대해 본다.
한국불교는 권력과 결별하고 당당한 자주성을 확보해야만 하며, 권력이 일부승려들에게 이용되어서도 안 된다. 불교계가 정치권과 빌붙어서는 더욱 안될 일이다. 한국불교는 이제 당당히 홀로 서야하며, 하루빨리 교단의 권위를 회복하고 자주성을 확보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일이다. 단결된 힘으로 승단 내부의 갈등을 없애고, 한민족의 역사성을 되새겨 진정 민중과 함께 하는 민중의 불교가 되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또한 동아시아의 여러 불교와의 폭넓은 학술적 교류를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 속에서의 불교발전을 모색해야 하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이 청, 『이 뭣고』 , 서울:불교영상회보사.1998
심재룡 역, 쓰즈끼 마이세쓰, 『아홉마당으로 풀어쓴 선』 , 서울: 현음사.1986
김종명 역, 로버트 버스웰, 『파란눈 스님의 한국 선 수행기』, 서울: 예문선원.1999
석지현, 『 불교를 찾아서』 서울 : 일지사.1989
동국대학교 석림동문회, 『한국불교 현대사』, 서울: 시공사. 1997
김철교외2명, 『선학사전』 , 서울: 불지사.1995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 불교교재 편찬위원회, 『불교사상의 이해』 , 서울: 불교시대사.1999
죤 요르겐센, (호주, 그리피스대) "조선왕조에서의 불교와 유학간의 대립"
- 당신을 지키는 신에게 늘 감사드립니다 나마스떼 ^^*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02.12
  • 저작시기2003.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