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쉐넌과 위버의 A, B, C 세 차원의 정보 개념을 상이한 커뮤니케이션 사례들, 즉
직업 인터뷰, 뉴스 사진, 팝송 등에 대한 분석에 응용해 보라. 이들 각 차원의 개념
들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응용 될 수 있는가? 또한 이러한 종류의 분석 작업이 얼마
나 유용할 수 있겠는가?
2. 영어가 50% 정도의 의미 중복적인 언어라고 말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3.의미중복이 커뮤니케이션에서 하는 주요기능을 열거하라.
4.(언어)관습이 의사 소통에서 이해를 돕는 방식들에 대해 토론해보자.
5. 한 권의 책, 한 장의 사진, 한 장의 레코드, 한 편의 연극과 이것이 영화화된 것
에 대해 생각해보자. 이러한 것들을 우리는 어떻게 미디어로서의 범주화할 수 있는
가?
6. 다양한 종류의 매체들과 채널들을 검토하자. 하나의 매체가 하나 이상의 채널을
이용할 수 있고 하나의 채널이 하나 이상의 매체를 운반할 수 있는 것은 가능한가?
매체와 채널간에는 어떤 의미 있는 관계가 있는가? 아니면 매체와 채널은 각각의 독
립적인 개념인가?
직업 인터뷰, 뉴스 사진, 팝송 등에 대한 분석에 응용해 보라. 이들 각 차원의 개념
들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응용 될 수 있는가? 또한 이러한 종류의 분석 작업이 얼마
나 유용할 수 있겠는가?
2. 영어가 50% 정도의 의미 중복적인 언어라고 말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3.의미중복이 커뮤니케이션에서 하는 주요기능을 열거하라.
4.(언어)관습이 의사 소통에서 이해를 돕는 방식들에 대해 토론해보자.
5. 한 권의 책, 한 장의 사진, 한 장의 레코드, 한 편의 연극과 이것이 영화화된 것
에 대해 생각해보자. 이러한 것들을 우리는 어떻게 미디어로서의 범주화할 수 있는
가?
6. 다양한 종류의 매체들과 채널들을 검토하자. 하나의 매체가 하나 이상의 채널을
이용할 수 있고 하나의 채널이 하나 이상의 매체를 운반할 수 있는 것은 가능한가?
매체와 채널간에는 어떤 의미 있는 관계가 있는가? 아니면 매체와 채널은 각각의 독
립적인 개념인가?
본문내용
체가 시공간매체로, 개인매체가 집단매체로서의 속성을 동시에 지니게 된다. 또한 영화나 책은 재현매체에 속한다. 영화는 재현매체에 앞서 현시매체를 바탕으로 재현매체로 만들게 되고 이는 기술매체를 통하여 전달된다.
사례2>영화----->한 장의 레코드로 되는 경우
반대로 영화가 한 장의 레코드로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다. 특히 요즘은 영화보다 OST가 더 많은 인기를 끄는 경우도 많다. Moulin Rouge, Dancer in the dark, Buena Vista Social Club와 같은 영화는 영화와 더불어 음반 역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는 시각매체가 청각매체로 된 경우이다. 그렇다면 왜 한편의 영화를 한 장의 음반에 담는가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자. 아마도 영화의 여운을 더 오랫동안 간직하게 해줄 수 있는 것이 영화음악이라고 생각한다. 그 음악을 통해서 영화의 장면, 장면을 떠 올릴수 있도록 만드는 것 또한 영화음악이라 생각한다. 시청각매체에서 청각매체로, 시공간매체에서 공간매체로 바뀌게 된 것이다. 영화를 보기 위해서는 극장을 가든지, 비디오를 빌려서 TV를 통해서만 가능한 시공간매체라는 불편한 점도 없지 않아 있다. 하지만 음반은 단지 CDP, 카세트 하나만 있다면 영화의 감흥을 느낄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시공간을 초월할 수 있는 능력을 주기도 한다.
이런 두 가지 사례를 보더라도 어떤 매체의 속성을 가지고 범주화하기란 어렵다는 것을 알수 있다. 매체간의 속성이 다른 수단을 통해 전달될 때 그 매체의 속성이 변질되기 때문에, 뚜렷한 속성보다는 상호관련성이 더 커지기 때문일 것이다.
6. 다양한 종류의 매체들과 채널들을 검토하자. 하나의 매체가 하나 이상의 채널을 이용할 수 있고 하나의 채널이 하나 이상의 매체를 운반할 수 있는 것은 가능한가? 매체와 채널간에는 어떤 의미 있는 관계가 있는가? 아니면 매체와 채널은 각각의 독립적인 개념인가?
먼저 매체와 채널의 기본 개념부터 살펴본다면 책(49p)에서 정리한 것과 같이 채널이란 단순히 신호가 전달되는 물리적인 수단이다. 그리고 이에는 광파, 음파, 무선전파, 전화선, 신경체계 등과 같은 것이 있다. 두 번째로 매체란 기본적으로 메시지가 채널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나의 신호로 전환하는 기술적인 혹은 물리적인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송신자의 목소리, 라디오와 텔레비전이 포함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하나의 매체가 하나이상의 채널을 이용할 수 있을까? 그리고 하나의 채널은 하나 이상의 매체를 운반할 수 있을까? 결론은 둘 다 모두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나의 매체가 다수의 채널을 이용한다는 것은 텔레비전으로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그런데 하나의 매체 안에 속해 있던 하나의 채널 속에 다수의 매체를 운반가능 하다는 것은 조금 이해가 쉽지는 않다. 즉 과거의 서로 분리되어 있던 대중매체, 정보기술 및 서비스들간의 융합이 이뤄지지 않았을 때까지만 해도 가능하지 않았던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현재 정보, 통신 관련사업의 재편이 일어나면서 전화회사 였던 사업이 광케이블이라는 선이 들어서면서 단순한 전화만이 아닌 영상 서비스 사업에도 손을 뻗치고 있는 것이다. 그로 인해 이제는 하나의 채널 광케이블 선을 통해서 전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팩스 등 여러 개의 매체를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매체와 채널은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인지 살펴보자. 책에서 설명한 바 대로라면 한 매체의 기술적인 혹은 물리적인 속성은 채널의 성격 또는 그 매체가 활용할 수 있는 이용 가능한 채널로 결정된다고 한다. 그리고 매체의 현시, 재현, 기술이라는 세가지 속성에 대해 설명할 때 기술 매체와 재현 매체 사이의 차이점을 설명하면서 기술 매체라는 것은 엔지니어에 의해 만들어진 채널을 사용한다고 얘기하고 있다. 즉 어떻게 생각하면 매체라는 큰 덩어리 속에 채널이라는 것이 포함된다고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 현대에 와서 하나의 채널 선으로도 다수의 매체를 운반 가능하다는 점을 본다면 매체와 채널 사이에서 서로의 우위를 가리는 것은 불필요한 일이 되어버린 듯 하다. 그리고 매체라는 것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송신자에게, 채널은 메시지를 선택해서 수용하는 수신자에게 중요한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매체가 서로 독립적인 관계에 있다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서로 비슷한 의미관계 속에는 있지만 일맥 상통하지는 않는 이러한 매체와 채널은 서로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례2>영화----->한 장의 레코드로 되는 경우
반대로 영화가 한 장의 레코드로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다. 특히 요즘은 영화보다 OST가 더 많은 인기를 끄는 경우도 많다. Moulin Rouge, Dancer in the dark, Buena Vista Social Club와 같은 영화는 영화와 더불어 음반 역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는 시각매체가 청각매체로 된 경우이다. 그렇다면 왜 한편의 영화를 한 장의 음반에 담는가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자. 아마도 영화의 여운을 더 오랫동안 간직하게 해줄 수 있는 것이 영화음악이라고 생각한다. 그 음악을 통해서 영화의 장면, 장면을 떠 올릴수 있도록 만드는 것 또한 영화음악이라 생각한다. 시청각매체에서 청각매체로, 시공간매체에서 공간매체로 바뀌게 된 것이다. 영화를 보기 위해서는 극장을 가든지, 비디오를 빌려서 TV를 통해서만 가능한 시공간매체라는 불편한 점도 없지 않아 있다. 하지만 음반은 단지 CDP, 카세트 하나만 있다면 영화의 감흥을 느낄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시공간을 초월할 수 있는 능력을 주기도 한다.
이런 두 가지 사례를 보더라도 어떤 매체의 속성을 가지고 범주화하기란 어렵다는 것을 알수 있다. 매체간의 속성이 다른 수단을 통해 전달될 때 그 매체의 속성이 변질되기 때문에, 뚜렷한 속성보다는 상호관련성이 더 커지기 때문일 것이다.
6. 다양한 종류의 매체들과 채널들을 검토하자. 하나의 매체가 하나 이상의 채널을 이용할 수 있고 하나의 채널이 하나 이상의 매체를 운반할 수 있는 것은 가능한가? 매체와 채널간에는 어떤 의미 있는 관계가 있는가? 아니면 매체와 채널은 각각의 독립적인 개념인가?
먼저 매체와 채널의 기본 개념부터 살펴본다면 책(49p)에서 정리한 것과 같이 채널이란 단순히 신호가 전달되는 물리적인 수단이다. 그리고 이에는 광파, 음파, 무선전파, 전화선, 신경체계 등과 같은 것이 있다. 두 번째로 매체란 기본적으로 메시지가 채널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나의 신호로 전환하는 기술적인 혹은 물리적인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송신자의 목소리, 라디오와 텔레비전이 포함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하나의 매체가 하나이상의 채널을 이용할 수 있을까? 그리고 하나의 채널은 하나 이상의 매체를 운반할 수 있을까? 결론은 둘 다 모두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나의 매체가 다수의 채널을 이용한다는 것은 텔레비전으로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그런데 하나의 매체 안에 속해 있던 하나의 채널 속에 다수의 매체를 운반가능 하다는 것은 조금 이해가 쉽지는 않다. 즉 과거의 서로 분리되어 있던 대중매체, 정보기술 및 서비스들간의 융합이 이뤄지지 않았을 때까지만 해도 가능하지 않았던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현재 정보, 통신 관련사업의 재편이 일어나면서 전화회사 였던 사업이 광케이블이라는 선이 들어서면서 단순한 전화만이 아닌 영상 서비스 사업에도 손을 뻗치고 있는 것이다. 그로 인해 이제는 하나의 채널 광케이블 선을 통해서 전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팩스 등 여러 개의 매체를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매체와 채널은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인지 살펴보자. 책에서 설명한 바 대로라면 한 매체의 기술적인 혹은 물리적인 속성은 채널의 성격 또는 그 매체가 활용할 수 있는 이용 가능한 채널로 결정된다고 한다. 그리고 매체의 현시, 재현, 기술이라는 세가지 속성에 대해 설명할 때 기술 매체와 재현 매체 사이의 차이점을 설명하면서 기술 매체라는 것은 엔지니어에 의해 만들어진 채널을 사용한다고 얘기하고 있다. 즉 어떻게 생각하면 매체라는 큰 덩어리 속에 채널이라는 것이 포함된다고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 현대에 와서 하나의 채널 선으로도 다수의 매체를 운반 가능하다는 점을 본다면 매체와 채널 사이에서 서로의 우위를 가리는 것은 불필요한 일이 되어버린 듯 하다. 그리고 매체라는 것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송신자에게, 채널은 메시지를 선택해서 수용하는 수신자에게 중요한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매체가 서로 독립적인 관계에 있다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서로 비슷한 의미관계 속에는 있지만 일맥 상통하지는 않는 이러한 매체와 채널은 서로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예수의커뮤니케이션에대해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특징
매스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참고면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이론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문화 커뮤니케이션과 한류
조직 커뮤니케이션 그 성공과 실패에 관한 이론적 분석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매스 커뮤니케이션
전근대사회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Xx캔커피 커뮤니케이션 전략 (Communication strategy).PPT자료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란 무엇이며 목적과 기능 및 올바른 과정에 대하여 논술
리더십_커뮤니케이션의 효과성을 떨어뜨리는 장애요인을 조직차원과 개인차원으로 구분하여 ...
조직적 커뮤니케이션의 장애원인과 효율화 방안을 위한 특정기업의 구체적인 사례를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