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의 역사와 건축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이집트 연대표

II. 이집트 역사 개관
1.왕조시대 이전의 이집트
2.초기왕조 시대
3.고왕국 시대(기원전 2780혹은 2686년~2270혹은2181년)
4.중왕국 시대 (기원전2133혹은 2055년~1785혹은 1650)
5.신왕국 시대(기원전 1575혹은 1550년-1085혹은 1069)
6.후기왕조 시대 (기원전 663-332)
7.그리스-로마 치하의 이집트

III.이집트의 건축
1.분묘와 신전
2.마스터바(mastaba)
3.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
4.오벨리스크(obelisk)

IV. 이집트의 지리 Geography of Egypt
1.나일강
2.청나일(Blue Nile)과 백나일(White Nile)
3.급류(cataracts)와 지리적 경계
4.상 이집트(Upper Egypt)와 하 이집트(Lower Egypt)

IV. 미술과 음악
1.개관 (Egyptian art)
2.선왕조 시대
3.왕조시대
4.고왕국시대
5.신왕국시대
6.그리스.로마 시대의 이집트 미술
7.의상
8.음악

참고문헌

본문내용

많은 가구류이다.
6.그리스.로마 시대의 이집트 미술
BC 332~331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이집트를 정복한 이후 엄밀한 의미에서 파라오의 독립적인 통치는 종말을 고했다. 알렉산드로스의 뒤를 이은 프톨레마이오스의 통치 아래 미술과 건축은 심각한 변화를 맞이했다. 장례용 신전은 여전히 고대의 모형을 따랐지만 갈수록 그리스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때로는 추하게 보이기도 했다. 누비아에서는 토착적인 미술전통이 로마 시대 이집트의 전통과 융합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로마 시대 이집트(BC 30~AD 642)의 관에 쓰인 초상화는 이집트 특유의 예술적 양식을 낳았으며 이로부터 새로운 회화양식이 생겨나 비잔틴 성상(聖像)으로 이어졌다.
7.의상
뜨겁고 건조한 아열대성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 이집트 인들은공기가 잘 통하는 마직 천으로 허리 아래만 간단히 두르거나 느슨하게휘둘러 입는 드레이퍼리(drapery) 형의 의상을 착용했다. 사막에 사는 유목민의 천막에서 유리한 드레이퍼리는움직임에 따라 주름이 생겼다 없어지면서 영혼불멸의 신비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화려한 가발, 머리쓰개, 왕관 등은 왕족을 중심으로 한 강한 권력의 상징이었고,노예 계급은 맨몸을 거의 드러내는 간단한 로인클로스를 걸쳤다.
왼쪽부터 왕, 여왕 , 이시스, 왕자, 공주, 제사장
7.음악
한마디로 이집트음악이라 하지만 메소포타미아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오래 전부터 음악문화가 발달한 고대 이집트와, 아라비아의 침입에 의한 이슬람화 이후의 이집트는 음악 그 자체에도 본질적인 상이점이 있고 시대적인 격차도 크다. 이러한 관계로 해서 오늘날 이집트의 음악은 보통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고찰되고 있다.
【고왕국】 신석기시대 말에 이미 타악기(딸랑이 등)와 마우스피스가 없는 세로플루트가 있었으며 모든 춤은 타악기로 반주되었다. 이것을 발전시킨 고왕국은 BC 2000년경까지 이미 고대 이집트음악의 중요한 것을 거의 모두 이루어 놓았으며 조용하고 느릿한 음악이 이 무렵의 특징이었다(무반음 5음음계). 팬터마임은 노래와 악기의 반주로 이루어졌고 양손을 머리 위에 얹은 유연한 춤은 마우스피스가 없는 세로플루트와 하프(5~7현, 5도로 조현)의 대합주로 반주되었다. 쌍관의 클라리넷도 제5왕조 때 만들어졌으며, 제4왕조의 무덤 조각에서는 가수가 악기 연주자 앞에 앉아 손가락 모양이나 손 ·팔의 위치로 음높이 ·리듬 등을 지시(카이로노미)하고 있다. 이것은 음의 기록으로서 가장 오래 된 것이며 BC 2555년경의 궁정가수 ·플루트 주자인 푸프 안프는 이름이 알려진 가장 오래 된 직업 음악가이다.
【중왕국 ·신왕국】 오리엔트문화의 영향으로 음악은 화려하고 관능적이었다. 키타라 ·2매가죽틀북, 그리고 공명상자가 커진 하프에 이어 신왕국 때는 뼈로 만든 딸랑이, 각종 북 ·수형(竪形)하프 ·류트(BC 1500년경의 하르모시스의 악기는 완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다) ·쌍관오보에 ·트럼펫 등이 나타났다. 그리고 류트나 오보에에서 이 무렵의 음악에 반음정이 쓰여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집트에서 처음 만들어진 악기 시스트룸(방울)은 중왕국시대부터 유물이 발견되며, 신왕국시대에는 여성음악가가 종교음악과 세속음악에서 활약하였다.
【프톨레마이오스왕조 이후】 BC 4세기에 그리스의 지배하에 들어가자 그리스의 판(피리)이 이집트에서 기계화되어 수압(水壓)오르간으로 발전했다. 이 무렵의 음악은 그리스음악과 함께 고대 그리스도교회음악의 모체가 되는데, 기원 후에 만들어진 각종의 심벌즈와 그 밖의 타악기는 고래의 카이로노미나 이 시대의 선율과 더불어 에티오피아의 콥트교회 전례음악으로 전해지고 있다. 640년 이브눌 아스가 이집트를 정복한 뒤부터는 아라비아음악이 많이 유입되어 세분(細分)음정도 쓰여졌다(17음음계 등). 동서 이슬람문화권의 교류점에 있었으므로 현재도 역시 도시의 음악에는 터키나 페르시아의 영향이 남아 있고 우드 ·레바브 등을 사용하나, 한편 고래의 세로플루트 등도 연주되고 있다.
1820년 이후는 카이로를 비롯하여 각지에 음악학교가 설립되고 1871년에는 카이로에 오페라극장이 개설(마이어베어의 《위그노교도》로 낙성식, 이어 베르디의 《아이다》 상연)되어 음악의 유럽화가 진행되고, 이 경향은 영화음악 분야에서 특히 뚜렷이 나타나 있다. 1925년 전통적 아라비아음악을 부흥하기 위한 음악학교가, 또 1929년에는 동방음악연구소가 개설되었다. 그리고 동방적 음악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형식적 ·기술적인 면에서 유럽화의 실마리를 찾아내려는 흐름이 있으며, 그 중심 인물은 알 헤프니이다. 또 현대의 작곡가 중에서는 하가그를 들 수 있다.
참고문헌
이집트 : 벌리츠 편집실 편, 웅진출판사 편집부 역, 웅진출판사, 1992
이집트, 아프리카 (월드투어가이드 12) : 동아출판사 편집국 편, 동아출판사, 1991
이집트, 터키를 가다(햇빛다솜책 29) : 이남식, 햇빛출판사, 1991
이집트(중동국별편람시리즈 03) : 신현수, 산업연구원, 1986
이집트(해외시장국별시리즈 20) : 대한무역진흥공사 편·발행, 1987
이집트 경제사회개발5개년계획(82/83 - 86/87)의 방향과 외국인 투자환경(지역정보시리즈 9) : 이건우, 한국산업경제기술연구원, 1984
이집트의 경제와 사업환경 (Country Economic Report 38):정갑영, 국제경제연구원, 1978
이집트 : 경제과학심의회 편·발행, 1977
고대 이집트 : L. 캐슨, 한국일보 타임라이프북스 편집부 역, 한국일보 타임라이프, 1992
중동사(세계각국사 11) : 김정위,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1
이집트 문명과 나일강 : 피에르 미켈, 동아출판사 편집국 편역, 동아출판사, 1987
서양고대세계사 : Rostovtzeff, 지동식 역,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6
서양고대사 : H. C. Boren, 이석우 역, 탐구당, 1984
마지막 파라오 - 발렌티 이 올리베르.보리스 데 라슈빌츠 음, 창작시대사
람세스 1,2,3,4,5 -크리스티앙 자크 지음,김정란 옮김,문학동네
이집트 구르나 마을 이야기 : Hassan Fathy, 정기용 역, 열화당, 1988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3.03.31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