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목차
제 1 부 고대ㆍ중세의 조경
1. 고대 이집트
2. 고대 서부아시아
3. 고대 그리스
4. 고대 로마
5. 중세 서구
6. 이슬람세계: 중동
7. 이슬람세계: 스페인
8. 이슬람세계: 인도 무굴 왕조
제 2 부 르네상스
1. 터스카니의 르네상스(15c)
2. 로마, 로마근교의 빌라
3. 후기 르네상스
4. 프랑스
5. 튜어터 조, 스튜어트 조
제 3 부 근대ㆍ현대의 조경
1. 영국 풍경식 정원
2. 19세기의 영국 공공정원
3. 미국
4.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
1. 고대 이집트
2. 고대 서부아시아
3. 고대 그리스
4. 고대 로마
5. 중세 서구
6. 이슬람세계: 중동
7. 이슬람세계: 스페인
8. 이슬람세계: 인도 무굴 왕조
제 2 부 르네상스
1. 터스카니의 르네상스(15c)
2. 로마, 로마근교의 빌라
3. 후기 르네상스
4. 프랑스
5. 튜어터 조, 스튜어트 조
제 3 부 근대ㆍ현대의 조경
1. 영국 풍경식 정원
2. 19세기의 영국 공공정원
3. 미국
4.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
본문내용
시 모양으로 깜. 이 정원의 특성
(3) 타지마할
: 왕비 뭄타즈 마할을 기념하여 샤자한이 세운 묘소
아그라의 줌나강 서편의 평탄지에 있음
이슬람 건축의 백미
ㆍ높은 울담으로 싸이고 아치모양의 지붕문을 들어서면 중앙에 흰 대리석의 대분천지
ㆍ수로가 넓은 정원 4분. 정면에 흰 대리석 능묘. 높은 울담 4귀퉁이에 미나렛배치
ㆍ타즈마할 반대편 즉 줌나강 우편에 샤자한 왕은 왕비의 묘소와 대조적으로 검은색의 자신의 묘소를 세우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폐위
제 2 부 르네상스
(1) 르네상스 시대
· 현실생활 긍정, 인간개성 발휘하여 현실세계의 즐거움 추구, 봉건제도, 교회에 반항, 자연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자연자체의 아름다움을 즐김
(2) 르네상스 시대의 사회상과 예술양식의 5대 특징
1) 자연존중 사조
2) 개인존중 사조
3) 종교비판 태도
4) 시민생활 안정
5) 예술집중 향유
(3) 르네상스에 이르러 조경이 예술의 위치로 승화
· 르네상스 시대의 정원이 건축, 조각, 시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예술의 일익 담당(클리포드,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서 비로소 정원이 예술의 한 범주에 속하게 되었다.\"고 지적)
· 르네상스 이전의 정원발달에 대해서는 연속적 맥락을 찾아보기 어렵다.
· 르네상스 시대의 정원은 중세수도원 정원이 신의 영광을 찬양한데 반해 인간을 위한 것, 인간의 고상한 취미생활을 위한 것이었다.
(4) 르네상스 시대 정원
1) 엄격한 고전적 비례 준수(비례는 인간에게 평화로움을 부여한다)
2) 직관적이기 보다 수학적 계산에 의해 구성된다.
3) 주택은 정원과 자연 경관을 향해 외향적이 됨
4) 빌라의 입지 - 구릉, 산간 경사지(아름답고 트인 조망, 미풍을 맞을 수 있다.
5) 정원요소 - 직선원로, 파고라, 화단, 잔디밭, 과수원, 조각, 분수, 시냇물, 각종 새와 동물들(중세와 고대 유럽 정원에서 전통적으로 다루어오던 것들)
6) 빌라의 부지 결정 및 계획은 당시 건축이론 영향 받음
→ 알베르타, 고대 로마 비스트라우스 저서(건축10서)에 준용
- 배수 잘 되는 견고한 부지
- 부지 방향은 태양이 이루는 수평, 수직 각도 고려
- 풍향과 부지관계 고려(여름 : 시원한 바람, 겨울 : 찬바람막음)
(5) 르네상스 시대의 3대 별장(이탈리아)
· 파르네제장, 에스테장, 랑테장
(6)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 양식의 특징
1) 지형과 기후적 조건으로 구릉지에 villa 입지
2) 흰 대리석과 암녹색 상록 활엽수의 강한 대비
3) 외부공간 구성에 최초로 원근법 도입
4) 조경가의 이름 등장
5) 축선의 설정
6) 시민적 자본가의 등장
Chapter 1. 터스카니의 르네상스(15C)
1. 개관
· 상이한 지형 및 기후에 따라 이탈리아의 빌라는 르네상스 발달 과정과 함께 각 시대에 따라 장소도 달라진다.
1) 중서부의 터스컨 지방 - 르네상스의 요람지, 완만한 구릉지와 계곡, 전원경관구성(15C)
2) 중부의 로마와 그 근교 - 르네상스의 전성기, 농경에 부적당한 평야, 소택지가 대부분, 프라스카티, 티볼리, 바그나니나(16C)
3) 북부의 제노바, 베니스 - 알프스 산맥 기슭으로 호수 지닌 아름다운 경관, 매너리즘, 바로크 양식의 빌라(17C)
· 이탈리아는 각 도시마다 국가를 이룬 분립주의 상태로 점점 큰 국가에 흡수되었다. 15C 중엽에는
1) 북부 롬바디아 평원 → 밀라노 공화국
2) 아드리아해 → 베네치아 공화국
3) 중서부 터스컨 평원 → 피렌체 공화국(이탈리아 르네상스가 꽃핌, 대금융가 메디치가의 지배)
4) 반도 중앙부 → 교황령국가
5) 남부 → 나폴리 왕국
2. 조경
· 고대 로마의 전원 별장에 대한 관심 - 전원생활의 추구. 자연을 향한 동경사상 - 고대 로마의 원예서, 소필리니의 빌라 연구 성행
· 대 문호들이 작품에서 아름다운 정원을 즐겨 다룸
1) 보카시오〔데카메론〕- villa palimieri묘사(천일 야화의 배경이 됨)
2) 단테 - 존디장 소유
3) 페트라르카
· 설계가 이름이 정식으로 나오기 시작 - 인본주의 발달로 개성 중시된 탓
· 터스카니 지방의 피렌체 - 르네상스의 발상지
1) 피렌체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해 수비대를 주둔시킬 도시 건설
2) 피렌체 근교 구릉이 살기에 쾌적한 곳
- 일찍부터 동방의 문화와 접촉했고, 고유의 우수한 문화를 가졌다.
3) 메디치와 같은 시민적 자본가는 수입 일부를 도시의 발전과 예술가를 위해 사용
· 15C 플로렌스 지방의 빌라
1) Villa Palimieri, Villa di Poggioa, Villa di Castello, Villa Petraia di Careggi, Villa Medici
2) 건물 : 단순, 견실한 건물로 요새로서의 성의 원형에 가까움, 노단식 정원 위에 우뚝 솟아올라 있다. 구조상 대부분 전원형
3) 전원 식물 종류 풍부 - 전원 취미와 원예에 대한 애호
cf) 중세 : 실용적 목적
4) 15C 터스칸 빌라(초기 르네상스)의 대표적 우수성
㉠ 주위의 전원 풍경을 빌라 계획에 도입해 넣은 부지의 선정 - 농장, 특히 올리스 숲 속에 배치하는 등 대지와 밀접하게 연관을 맺고 있다.
㉡ 부지 개발의 우수성
· 프로랜스의 빌라
(1) 카레기장(Villa Medici di Careggi) → 메디치 가의 최초의 빌라
1) 르네상스 최초의 빌라 - 정원입지가 어떻게 옮겨졌는가 보여줌
2) 미켈로지가 건물, 정원 설계
3) 르네상스적 특징 - 로지아 뿐임(기둥이 있는 통로)
cf) 아케이드 : 쇼핑몰과 같이 처마가 있는 통로
4) 중세 성관과 유사한 외양에 방어적 성질 내포
5) 테라코타 화분 장식
6) 학술토론의 장으로 삼음
(2) 메디치장(Villa Medici at Flesole)
1) 15세기 전형적인 터스카니 빌라의 대표격
2) 미켈로지가 설계
3) 알베르티의 부지 설계 원인 적용
· 알베르티의 부지선정 원칙
- 배수양호하고 견고한 부지 선택
- 부지의 방향은 태양이 이루는 수평·수직 각도를 고려
- 풍향과 부지와의 관계를 고려
- 수원의 적절성 확인
- 환경과의 조화를 위해 구조물은 그 지방산 재료를 사용
4) 경사지를 테라스로 처리 - 그라나다의 제네랄리페 구릉을
(3) 타지마할
: 왕비 뭄타즈 마할을 기념하여 샤자한이 세운 묘소
아그라의 줌나강 서편의 평탄지에 있음
이슬람 건축의 백미
ㆍ높은 울담으로 싸이고 아치모양의 지붕문을 들어서면 중앙에 흰 대리석의 대분천지
ㆍ수로가 넓은 정원 4분. 정면에 흰 대리석 능묘. 높은 울담 4귀퉁이에 미나렛배치
ㆍ타즈마할 반대편 즉 줌나강 우편에 샤자한 왕은 왕비의 묘소와 대조적으로 검은색의 자신의 묘소를 세우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폐위
제 2 부 르네상스
(1) 르네상스 시대
· 현실생활 긍정, 인간개성 발휘하여 현실세계의 즐거움 추구, 봉건제도, 교회에 반항, 자연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자연자체의 아름다움을 즐김
(2) 르네상스 시대의 사회상과 예술양식의 5대 특징
1) 자연존중 사조
2) 개인존중 사조
3) 종교비판 태도
4) 시민생활 안정
5) 예술집중 향유
(3) 르네상스에 이르러 조경이 예술의 위치로 승화
· 르네상스 시대의 정원이 건축, 조각, 시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예술의 일익 담당(클리포드,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서 비로소 정원이 예술의 한 범주에 속하게 되었다.\"고 지적)
· 르네상스 이전의 정원발달에 대해서는 연속적 맥락을 찾아보기 어렵다.
· 르네상스 시대의 정원은 중세수도원 정원이 신의 영광을 찬양한데 반해 인간을 위한 것, 인간의 고상한 취미생활을 위한 것이었다.
(4) 르네상스 시대 정원
1) 엄격한 고전적 비례 준수(비례는 인간에게 평화로움을 부여한다)
2) 직관적이기 보다 수학적 계산에 의해 구성된다.
3) 주택은 정원과 자연 경관을 향해 외향적이 됨
4) 빌라의 입지 - 구릉, 산간 경사지(아름답고 트인 조망, 미풍을 맞을 수 있다.
5) 정원요소 - 직선원로, 파고라, 화단, 잔디밭, 과수원, 조각, 분수, 시냇물, 각종 새와 동물들(중세와 고대 유럽 정원에서 전통적으로 다루어오던 것들)
6) 빌라의 부지 결정 및 계획은 당시 건축이론 영향 받음
→ 알베르타, 고대 로마 비스트라우스 저서(건축10서)에 준용
- 배수 잘 되는 견고한 부지
- 부지 방향은 태양이 이루는 수평, 수직 각도 고려
- 풍향과 부지관계 고려(여름 : 시원한 바람, 겨울 : 찬바람막음)
(5) 르네상스 시대의 3대 별장(이탈리아)
· 파르네제장, 에스테장, 랑테장
(6)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 양식의 특징
1) 지형과 기후적 조건으로 구릉지에 villa 입지
2) 흰 대리석과 암녹색 상록 활엽수의 강한 대비
3) 외부공간 구성에 최초로 원근법 도입
4) 조경가의 이름 등장
5) 축선의 설정
6) 시민적 자본가의 등장
Chapter 1. 터스카니의 르네상스(15C)
1. 개관
· 상이한 지형 및 기후에 따라 이탈리아의 빌라는 르네상스 발달 과정과 함께 각 시대에 따라 장소도 달라진다.
1) 중서부의 터스컨 지방 - 르네상스의 요람지, 완만한 구릉지와 계곡, 전원경관구성(15C)
2) 중부의 로마와 그 근교 - 르네상스의 전성기, 농경에 부적당한 평야, 소택지가 대부분, 프라스카티, 티볼리, 바그나니나(16C)
3) 북부의 제노바, 베니스 - 알프스 산맥 기슭으로 호수 지닌 아름다운 경관, 매너리즘, 바로크 양식의 빌라(17C)
· 이탈리아는 각 도시마다 국가를 이룬 분립주의 상태로 점점 큰 국가에 흡수되었다. 15C 중엽에는
1) 북부 롬바디아 평원 → 밀라노 공화국
2) 아드리아해 → 베네치아 공화국
3) 중서부 터스컨 평원 → 피렌체 공화국(이탈리아 르네상스가 꽃핌, 대금융가 메디치가의 지배)
4) 반도 중앙부 → 교황령국가
5) 남부 → 나폴리 왕국
2. 조경
· 고대 로마의 전원 별장에 대한 관심 - 전원생활의 추구. 자연을 향한 동경사상 - 고대 로마의 원예서, 소필리니의 빌라 연구 성행
· 대 문호들이 작품에서 아름다운 정원을 즐겨 다룸
1) 보카시오〔데카메론〕- villa palimieri묘사(천일 야화의 배경이 됨)
2) 단테 - 존디장 소유
3) 페트라르카
· 설계가 이름이 정식으로 나오기 시작 - 인본주의 발달로 개성 중시된 탓
· 터스카니 지방의 피렌체 - 르네상스의 발상지
1) 피렌체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해 수비대를 주둔시킬 도시 건설
2) 피렌체 근교 구릉이 살기에 쾌적한 곳
- 일찍부터 동방의 문화와 접촉했고, 고유의 우수한 문화를 가졌다.
3) 메디치와 같은 시민적 자본가는 수입 일부를 도시의 발전과 예술가를 위해 사용
· 15C 플로렌스 지방의 빌라
1) Villa Palimieri, Villa di Poggioa, Villa di Castello, Villa Petraia di Careggi, Villa Medici
2) 건물 : 단순, 견실한 건물로 요새로서의 성의 원형에 가까움, 노단식 정원 위에 우뚝 솟아올라 있다. 구조상 대부분 전원형
3) 전원 식물 종류 풍부 - 전원 취미와 원예에 대한 애호
cf) 중세 : 실용적 목적
4) 15C 터스칸 빌라(초기 르네상스)의 대표적 우수성
㉠ 주위의 전원 풍경을 빌라 계획에 도입해 넣은 부지의 선정 - 농장, 특히 올리스 숲 속에 배치하는 등 대지와 밀접하게 연관을 맺고 있다.
㉡ 부지 개발의 우수성
· 프로랜스의 빌라
(1) 카레기장(Villa Medici di Careggi) → 메디치 가의 최초의 빌라
1) 르네상스 최초의 빌라 - 정원입지가 어떻게 옮겨졌는가 보여줌
2) 미켈로지가 건물, 정원 설계
3) 르네상스적 특징 - 로지아 뿐임(기둥이 있는 통로)
cf) 아케이드 : 쇼핑몰과 같이 처마가 있는 통로
4) 중세 성관과 유사한 외양에 방어적 성질 내포
5) 테라코타 화분 장식
6) 학술토론의 장으로 삼음
(2) 메디치장(Villa Medici at Flesole)
1) 15세기 전형적인 터스카니 빌라의 대표격
2) 미켈로지가 설계
3) 알베르티의 부지 설계 원인 적용
· 알베르티의 부지선정 원칙
- 배수양호하고 견고한 부지 선택
- 부지의 방향은 태양이 이루는 수평·수직 각도를 고려
- 풍향과 부지와의 관계를 고려
- 수원의 적절성 확인
- 환경과의 조화를 위해 구조물은 그 지방산 재료를 사용
4) 경사지를 테라스로 처리 - 그라나다의 제네랄리페 구릉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