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의리적 구투`는 영화예술이 아니다.
2.한국영화의 개념정의
3.한국영화의 발달
4.한국의 현대영화 (춘향전~서편제)
결론
1.`의리적 구투`는 영화예술이 아니다.
2.한국영화의 개념정의
3.한국영화의 발달
4.한국의 현대영화 (춘향전~서편제)
결론
본문내용
과 안이한 제작태도로 예술성도 잃어갔다.
70년대 말에는 유현목의 《장마》(79)가 돋보였고 동시녹음영화가 출현하였다. 80년대에 접어들면서 임권택(林權澤)의 《만다라》(81)와 이두용(李斗鏞)의 《피막(避幕)》(81) 등 한국적 소재의 작품들이 국제적으로 호평받았다.
이어 80년대 중반을 계기로 젊은 감독들의 작품활동이 활발하여 외국비평가들로부터 ‘한국의 새로운 물결(The Korean New Wave)’이 일고 있다는 평을 들었다. 즉 박광수 감독의 《칠수와 만수》, 이명세의 《첫사랑》, 장선우의 《우묵배미의 사랑》 등이 그것이다. 80대 후반과 90년대 초반은 한국영화의 중흥기로서 각종 세계영화제에서 수상기록을 남겼는데, 89년 로카르노국제영화제에서 작품상을 수상한 배용균 감독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을 비롯, 임권택 감독의 《씨받이》 《아제아제바라아제》 《아다다》는 각각 베네치아국제영화제, 모스크바국제영화제, 몬트리올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한편 93년 《서편제》는 관객 100만을 돌파하는 신기록을 세우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국영화 예술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제작과 흥행, 그리고 배급을 위한 질서가 갖추어져야 컬러 텔레비전과 스포츠 붐, 그리고 다양해진 레저 붐의 틈바구니에서 영화는 소생할 것이다. 따라서 점차 감소 되어가는 관객 속에서 어떻게 제2의 기회를 모색하느냐 하는 문제가 한국영화의 과제인 셈이다.
결론
그렇다면 한국영화의 효시로서 새로운 작품의 거명은 연쇄극이 아닌 순수한 영화예술을 목적으로 제작한 영화 중에서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적인 내용을 한국인이 투자해서 한국인 스탭이 만들어낸 영화를 논해야 한다면, 게다가 일제 식민지하에서 우리의 민족적 입장을 고려한다면, 한국영화의 효시는 1924년 이필우가 만든『제1회 전국여자정구대회』로 지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한국영화의 날>은 1924년 단성사에서『장화홍련전』이 조선의 관객들에게 개봉된 9월 5일자로 지정해야 한다. 그 이유는 <한국영화의 효시>는 비공개 작품일지라도 한국영화 탄생이라는 차원에서 지정하는 것이고 <한국영화의 날>은 극장에서 관객이 영화를 만난다는 관점에서 공개된 영화를 전제조건으로 해야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두산대백과사전
http://www.cineseoul.com
http://www.kfai.co.kr
http://www.kfds.org
http://www.cine21.co.kr
70년대 말에는 유현목의 《장마》(79)가 돋보였고 동시녹음영화가 출현하였다. 80년대에 접어들면서 임권택(林權澤)의 《만다라》(81)와 이두용(李斗鏞)의 《피막(避幕)》(81) 등 한국적 소재의 작품들이 국제적으로 호평받았다.
이어 80년대 중반을 계기로 젊은 감독들의 작품활동이 활발하여 외국비평가들로부터 ‘한국의 새로운 물결(The Korean New Wave)’이 일고 있다는 평을 들었다. 즉 박광수 감독의 《칠수와 만수》, 이명세의 《첫사랑》, 장선우의 《우묵배미의 사랑》 등이 그것이다. 80대 후반과 90년대 초반은 한국영화의 중흥기로서 각종 세계영화제에서 수상기록을 남겼는데, 89년 로카르노국제영화제에서 작품상을 수상한 배용균 감독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을 비롯, 임권택 감독의 《씨받이》 《아제아제바라아제》 《아다다》는 각각 베네치아국제영화제, 모스크바국제영화제, 몬트리올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한편 93년 《서편제》는 관객 100만을 돌파하는 신기록을 세우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국영화 예술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제작과 흥행, 그리고 배급을 위한 질서가 갖추어져야 컬러 텔레비전과 스포츠 붐, 그리고 다양해진 레저 붐의 틈바구니에서 영화는 소생할 것이다. 따라서 점차 감소 되어가는 관객 속에서 어떻게 제2의 기회를 모색하느냐 하는 문제가 한국영화의 과제인 셈이다.
결론
그렇다면 한국영화의 효시로서 새로운 작품의 거명은 연쇄극이 아닌 순수한 영화예술을 목적으로 제작한 영화 중에서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적인 내용을 한국인이 투자해서 한국인 스탭이 만들어낸 영화를 논해야 한다면, 게다가 일제 식민지하에서 우리의 민족적 입장을 고려한다면, 한국영화의 효시는 1924년 이필우가 만든『제1회 전국여자정구대회』로 지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한국영화의 날>은 1924년 단성사에서『장화홍련전』이 조선의 관객들에게 개봉된 9월 5일자로 지정해야 한다. 그 이유는 <한국영화의 효시>는 비공개 작품일지라도 한국영화 탄생이라는 차원에서 지정하는 것이고 <한국영화의 날>은 극장에서 관객이 영화를 만난다는 관점에서 공개된 영화를 전제조건으로 해야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두산대백과사전
http://www.cineseoul.com
http://www.kfai.co.kr
http://www.kfds.org
http://www.cine21.co.kr
추천자료
- 대중예술과 규제에 대한 보고서
- [대중문화]한국의 비디오영상문화 - 발전, 예술, 태동
- [예술과 철학]샤머니즘에 대한 고찰
- 냉정과열정사이의 예술적 접근
- [한국 영화][한국 영화산업][영화산업][한국 영화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한국 영화산업의 ...
- [프랑스영화][프랑스영화와 누벨바그][프랑스영화산업][프랑스영화제][영화산업]프랑스영화의...
- [영화미학][영화미학 출발][영화미학 문제점][영화미학 수용 사례][크라카우어 영화미학]영화...
- [영화][영화감상][영화 특성][영화 역할][영화 선택요인][영화감상 테마][영화감상 시각효과]...
- [영화관객, 영화관람객, 영화취향, 영화문화, 영화선정, 비평의식]영화관객(영화관람객)의 영...
- 북한의 문화예술과 그 역사에 대해서
- 기술복제시대와 예술작품,발터 벤야민,벤야민의 사유방식 ppt자료
- 대중영화의 이해 : 본 교재 “영화의 역사” 부분(2장, 3장, 4장)에서 언급되고 있는 영화들 ...
- 방송통신대 취미와 예술 D형 : 취미로서의 음악 감상 (하울의 움직이는 성 OST 인생의 회전목...
- [취미와 예술 A형] 발레 - 구별짓기 수단 역할을 하는 취미, 근거, 특성이나 사회적 배경,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