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여가활용 실태 및 문제점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활동에서도 빈도수에 의한 순위에 차이가 다소 있지만 보편적으로 같다고 할 수가 있다. 하지만 이들이 수능고사 전후에 했던 여가활동과 가장 원했던 여가활동과의 차이는 크다고 할 수 가 있다. 수능고사 전후에 여가활동은 학교, 가정, 독서실 등, 이들의 생활반경에서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정적인것에 반해서 가장 해보고 싶었던 여가활동은 좀더 활동적이고 생활반경을 벗어난 것들이다. 여러 학자들, 이 종각(1978), 심 지선, 한 양순(1980)등이 주장한 대로 "여가란 일반적으로 실제적인 일에 종사하고 난 후의 자유시간이다. 따라서 사적인 시간, 노동에서 벗어난 시간, 내 자신을 즐기기 위한 시간, 휴양, 자유로운 시간 등으로 표현할 수 있겠다"와 김 오중(1978)이 주장한 "각자가 선택한 활동에 스스로 참여하여 만족을 느낄수 있고 동시에 문화적, 사회적으로 받아 들일 수 있는 건설적이며 창조적인 활동이다." 라고 한다면 실제적으로 남녀 학생들이 수능고사 전후에 했던 여가활동은 이러한 맥락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수능고사후 대학입학 전까지 이들에게 필요한 여가 및 문화활동을 알아보았는데 빈도순으로 보면 "여행", "영화, 연극감상", "스포츠 배우기", "써클활동", "이성교제", "외국어 배우기", "컴퓨터 배우기", "명사초청 강연회"등 수능고사 준비기간 동안에 하지 못했던, 그리고 학교에서 제공되지 않았던 요구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들이 수능고사후에 가지게 되는 해방감과 더불어 상당기간 동안을 학교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에서 일탈현상을 가져오기 쉬운데, 이시기에 제도적으로 이들이 흥미에 따라 적절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실제로 많은 남녀 고등학생들이 수능고사후에 해방감과 긴장이 풀어진 상태에서 접하게 되는 여가형태가 상식을 벗어난 것들로 많은 사회문제를 가져오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들의 가장 큰 불만 중의 하나가 이들을 위한 공간과 프로그램의 빈약함으로 인하여 수능고사까지 가정, 학교로부터 받아 온 스트레스를 적절히 해소시키지 못하고, 더욱이 좋은 성적과 대학입학이라는 압박감을 슬기롭게 극복을 못하고 탈선을 하고 마는 현실이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남녀 고등학생들의 수능고사 전후에 행하고 있는 여가활동에 있어서 학교나 사회, 가정에서 제공되는 것은 거의 없는 상태이고, 단지 이들이 필요에 의하여 생활반경 안에서 소극적이고 정적인 여가활동을 하고 있는 것에 반해 이들이 원하는 여가활동은 생활반경 밖에서 이루어지는 동적이고 적극적인 여가활동 이라는 것이다. 즉 가정, 사회, 학교가 제도적으로 이들을 위한 여가프로그램과 많은 유해환경들로부터 이들을 보호할 수 있으며 여가활동에 있어서 일탈현상은 없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남녀 고등학생들이 현행 입시제도 때문에 개인적, 사회적으로 가질 수 밖에 없는 종합적인 스트레스와 문제들을 해결하고 건전한 청소년에서 올바른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데는 적절한 여가활동과 공간, 프로그램, 그리고 제도적인 뒷받침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적절한 여가활동, 공간, 프로그램, 제도적인 뒷받침이 남녀고등학생들의 청소년시기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이렇게 삶의 질을 향상시키므로 가장 예민한 청소년 시기에 이들의 정신세계를 발달하는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수 있으며, 또한 건전한 사회를 만드는데 중요하다고 판단이 된다.
참 고 문 헌
1. 김오중 (1977). "도시 대학생의 여가시간과 여가활동의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 14호.
2. 김하영 (1981). "레크레이션 활동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박잔환 (1983). "고교생들의 여가 활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변창보 (1981). "여가활용에 관한 실태조사연구"- 제주도내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이종각 (1976). "스포츠 사회학". 서울: 보신문화사.
6. 이종각 (1978). "민족체육과 레크레이션". 서울 :경림출판사.
7. 이영재 (1987). "고등학생의 여가관과 여가활동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과 아산지역을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심지선, 한양순 (1970). "레크레이션 지도기술". 서울: 현대교양총서 출판사.
9. 조영민 (1981). "고등학교 학생들의 여가활동 실태 및 관심도에 관한 조사연구". - 성남시 남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정상찬 (1980). "도시 고등학생의 여가시간과 여가활동의 연구". - 서울시내 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정봉용 (1986). "직장인 여가활동에 관한 조사연구". -남양주 산업근로자를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한국관광공사 (1985). "국민 여가생활의 실태분석과 대책". 한국관광공사.
13. 한양순 (1984). "레크레이션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연세대학교 출판부.
14. 허남원 (1985). "청소년의 활동욕구와 여가활용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 강원,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체육교육자료총서 (1978). "레크레이션". 47. 서울 :문교부.
16. Joffre Dumazedier (1982). "Vers Une Civlisatidn du Loisire Editions du Seuil".
17. Havighurst, R. J. (1951).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New York : Longmans & Green.
18. James F. Murphy (1974). "Concepts of Leisure : Philosophical Implication Englewood Cliffs : Prentice -Hall.
19. Neumeyer M. H. & Nuemeyer E (1958). Leisure and Recreation, Ronald Press Company.
  • 가격1,7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3.05.11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