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상문
본문내용
우린 같은 길을 걷고 있었을 것이다. 다만, 갈림길에서 우린 다만 지름길을 택한 것뿐이다. 인도의 문화를 상대적인 입장에서 이해할려고 했다. 하지만, 문화는 제일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번 계기로 알 수가 있었다. 작은 맥락의 문화는 저마다의 상대성을 지녔으며, 큰 맥락의 문화는 보편성, 즉 제일성을 지녔다. 인도에게 주어진 과제는 멀리 미래를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이라 생각한다. 현재 삶보다는 미래 지향적인 삶인 더 바람직하지 않은가? 윤회의 사상의 맹목적 지지보다는 한 생의 삶을 살아도 웃으면서 눈감을 수 있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민주주의 사회로의 이행은 나라를 리더하는 정치인들이 아니다. 그들이 잘못하면 비판하며, 바른 이행에 갈채를 보낼 수 있는 바로 국민들의 몫이다. 인도인들에게는 그러한 힘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인도에는 카레가 없다’보다는 ‘인도에는 자유가 없다’라는 제목이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들의 독특한 문화를 꼭 한 번 눈으로 보고 싶다는 생각을 떨쳐 버릴 수가 없다. 인도를 알면 알수록 빠져든다는 것을 지금 내 자신이 느끼고 있으니까... 인도는 바로 성자와 걸인이 공존하고,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태국,인도 식문화비교
실리콘 밸리와 테헤란 밸리, 인도의 IT 산업
베다(VEDA) 인도철학의 원류
국제화 시대의 매너 - 인도에서의 에티켓
마을 안에 숲이 존재하는 인도철학과 불교
불교 이론의 발전, 인도 불교와 중국 불교
인코텀즈의 개정과 무역거래에 관한 운송인 인도조건의 활용증대
[친디아] 중국과 인도 경제 성장의 장점과 단점[우수평가자료]
[기업전략]현대자동차의 인도진출사례
중소기업 과제(락앤락 인도진출)
동양무용사와 서양무용사 비교 (인도-카타칼리 중심으로 조사)
국경없는 의사회-MSF의 국제 기구,인도주의적 딜레마,MSF의 원칙 중립성,공정성,실질적 원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