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발달의 특성
⑴발달영역간의 상호작용
⑵발달에서의 아동의 역할
⑶사회문화적 맥락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2.아동기와 아동발달의 단계
⑴아동기의 개념
⑵아동기의 실종
⑶아동발달의 단계
3.발달에 대한 논쟁
⑴유전과 환경
⑵발달의 연속성과 비연속성
4.아동발달의 연구법
⑴연구의 목적
⑵연구방법
<참고 문헌>
1.발달의 특성
⑴발달영역간의 상호작용
⑵발달에서의 아동의 역할
⑶사회문화적 맥락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2.아동기와 아동발달의 단계
⑴아동기의 개념
⑵아동기의 실종
⑶아동발달의 단계
3.발달에 대한 논쟁
⑴유전과 환경
⑵발달의 연속성과 비연속성
4.아동발달의 연구법
⑴연구의 목적
⑵연구방법
<참고 문헌>
본문내용
낮다고 지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독립변수 이외의 외적 요인을 배제할 수 없고, 연구자의 기대가 실험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그 제한점이다.
②관찰법
관찰법은 자연상황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일어나는 아동행동을 관찰하여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사실성이 강조된다. 그러므로 의사 전달의 능력이 미숙한 아동의 연구에 유용한 방법이 관찰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연구하고자 하는 변수에 대한 상관관계의 기술을 하는 것으로 인과관계의 방향을 특정화시키지 않는다. 자연상황에서 아동의 매일매일 생활을 기록하며 분석하는 관찰법은 모든 행동을 관찰할 수 없는 한계점과 관찰자의 편견이 개입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디오 등의 기구의 발달로 정확한 관찰 기법이 도입되고 있다.
관찰의 환경이 자연적이나 인위적이냐에 따라 자연관찰과 통제관찰로 나눌 수 있고, 이것은 또다시 조직적 관찰과 비조직적 관찰로 나누어진다. 비조직적인 자연관찰은 현장연구(field study)이며 인위적인 실험실에서 비조직적인 관찰은 아동의 놀이실에서의 놀이 연구를 들 수 있다. 실험실에서 표준화된 척도를 사용하여 관찰하면 조직적이면서 통제관찰이 되는 것이다.
관찰법은 비언어적 행동까지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나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이 일어나기를 기다려야 하고, 자연상황에서의 관찰은 외적 변수를 통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③질문지법
개인의 감정, 동기, 과거의 행동이나 사적 행위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것이 질문지법이다. 대체적으로 고정된 질문으로 구성된 이 방법은 한꺼번에 많은 피조사자들을 대상으로 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익명이 보장되므로 사적인 내용도 포함되며, 응답이 체계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질문지법은 문자해독 능력이 없는 사람이나 취학전 아동에게는 사용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질문지는 구조화된 질문과 비구조화된 질문이 있다. 응답의 범주가 분명하고 교육 수준이 낮은 연구대상에 사용될 수 있는 구조화된 질문은 우편을 통한 자료 수집에도 적합하다. 비구조화된 질문은 응답이 소수의 몇 개 범주로 나누기 어려운 정확하고 자세한 정보를 수질할 때 사용된다.
④면접법
피조사자와의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이 방법은 개인에 대한 많은 정보를 알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황에 따라 면접자의 질문이 달라질 수 있는 융통성이 있으며, 비언어적 행동까지 관찰하며 응답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다. 문자 해독력이 없는 대상에게도 가능하며 추후질문을 통해 모호한 응답이나 모르는 질문을 정확히 할 수 있다. 그러나 면접법은 시간과 돈이 많이 들며 응답자의 신분이 노출되어 사적인 정보는 거부될 수 있다. 면접법에서는 면접자와 피면접자 간의 융화형성(rapport)이 이루어져야 신뢰성이 있는 응답을 기대할 수 있다.
⑤사례연구(case study)
사례연구(case study)는 특정 개인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할 때 사용되는 기법으로 임상심리학자들이 선호하는 방법이다, 피아제가 자신의 세 아이를 대상으로 발달과정을 유추한 것은 개인에 대한 정보가 양적인 측정에 강조할 수도 있으나 최근 질적인 연구가 많아지면서 사례연구가 질적연구로 전환되고 있다. 즉, 개인에게 일어날 사건을 맥락속에서 이해할 뿐 아니라 총체적인 개인으로서 접근하는 것이다. Berg은 사례연구가 개인에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단체나 사회조직도 가능하다고 보았다.
⑥검사법
개인을 같은 연령의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 경우 표준화된 검사지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 검사법은 한꺼번에 여러 측면의 많은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인간의 행동특성을 검사에 의해서 측정하기는 어렵고, 또한 표준화된 검사라 해도 그 신뢰도나 타당도가 높지 않은 것이 있다. 따라서 문항 선정에서부터 측정상의 오류나 해석상의 오류를 범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⑦문화기술 연구법
문화기술 연구법(ethnography research)는 자연상황에서 관찰하는 현장연구의 한 부류로 간주한다. 문화기술 연구는 미시적 문화기술과 거시적 문화기술로 나누기도 한다. Ainsworth가 우간다에서 한 애착연구나 Mead의 사모아 청소년 연구는 대표적 문화기술 연구이다.
<참고 문헌>
서명
저자
출판사
아동발달과 부모교육
이경희
敎文社
아동발달
조복희
교육과학사
아동발달 심리
김경중
學志社
아동발달과 학습
김동일
교육출판사
아동발달
신건호
강남대학교출판부
아동발달
최보가
형설출판사
아동발달
이옥형
집문당
②관찰법
관찰법은 자연상황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일어나는 아동행동을 관찰하여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사실성이 강조된다. 그러므로 의사 전달의 능력이 미숙한 아동의 연구에 유용한 방법이 관찰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연구하고자 하는 변수에 대한 상관관계의 기술을 하는 것으로 인과관계의 방향을 특정화시키지 않는다. 자연상황에서 아동의 매일매일 생활을 기록하며 분석하는 관찰법은 모든 행동을 관찰할 수 없는 한계점과 관찰자의 편견이 개입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디오 등의 기구의 발달로 정확한 관찰 기법이 도입되고 있다.
관찰의 환경이 자연적이나 인위적이냐에 따라 자연관찰과 통제관찰로 나눌 수 있고, 이것은 또다시 조직적 관찰과 비조직적 관찰로 나누어진다. 비조직적인 자연관찰은 현장연구(field study)이며 인위적인 실험실에서 비조직적인 관찰은 아동의 놀이실에서의 놀이 연구를 들 수 있다. 실험실에서 표준화된 척도를 사용하여 관찰하면 조직적이면서 통제관찰이 되는 것이다.
관찰법은 비언어적 행동까지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나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이 일어나기를 기다려야 하고, 자연상황에서의 관찰은 외적 변수를 통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③질문지법
개인의 감정, 동기, 과거의 행동이나 사적 행위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것이 질문지법이다. 대체적으로 고정된 질문으로 구성된 이 방법은 한꺼번에 많은 피조사자들을 대상으로 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익명이 보장되므로 사적인 내용도 포함되며, 응답이 체계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질문지법은 문자해독 능력이 없는 사람이나 취학전 아동에게는 사용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질문지는 구조화된 질문과 비구조화된 질문이 있다. 응답의 범주가 분명하고 교육 수준이 낮은 연구대상에 사용될 수 있는 구조화된 질문은 우편을 통한 자료 수집에도 적합하다. 비구조화된 질문은 응답이 소수의 몇 개 범주로 나누기 어려운 정확하고 자세한 정보를 수질할 때 사용된다.
④면접법
피조사자와의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이 방법은 개인에 대한 많은 정보를 알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황에 따라 면접자의 질문이 달라질 수 있는 융통성이 있으며, 비언어적 행동까지 관찰하며 응답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다. 문자 해독력이 없는 대상에게도 가능하며 추후질문을 통해 모호한 응답이나 모르는 질문을 정확히 할 수 있다. 그러나 면접법은 시간과 돈이 많이 들며 응답자의 신분이 노출되어 사적인 정보는 거부될 수 있다. 면접법에서는 면접자와 피면접자 간의 융화형성(rapport)이 이루어져야 신뢰성이 있는 응답을 기대할 수 있다.
⑤사례연구(case study)
사례연구(case study)는 특정 개인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할 때 사용되는 기법으로 임상심리학자들이 선호하는 방법이다, 피아제가 자신의 세 아이를 대상으로 발달과정을 유추한 것은 개인에 대한 정보가 양적인 측정에 강조할 수도 있으나 최근 질적인 연구가 많아지면서 사례연구가 질적연구로 전환되고 있다. 즉, 개인에게 일어날 사건을 맥락속에서 이해할 뿐 아니라 총체적인 개인으로서 접근하는 것이다. Berg은 사례연구가 개인에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단체나 사회조직도 가능하다고 보았다.
⑥검사법
개인을 같은 연령의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 경우 표준화된 검사지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 검사법은 한꺼번에 여러 측면의 많은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인간의 행동특성을 검사에 의해서 측정하기는 어렵고, 또한 표준화된 검사라 해도 그 신뢰도나 타당도가 높지 않은 것이 있다. 따라서 문항 선정에서부터 측정상의 오류나 해석상의 오류를 범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⑦문화기술 연구법
문화기술 연구법(ethnography research)는 자연상황에서 관찰하는 현장연구의 한 부류로 간주한다. 문화기술 연구는 미시적 문화기술과 거시적 문화기술로 나누기도 한다. Ainsworth가 우간다에서 한 애착연구나 Mead의 사모아 청소년 연구는 대표적 문화기술 연구이다.
<참고 문헌>
서명
저자
출판사
아동발달과 부모교육
이경희
敎文社
아동발달
조복희
교육과학사
아동발달 심리
김경중
學志社
아동발달과 학습
김동일
교육출판사
아동발달
신건호
강남대학교출판부
아동발달
최보가
형설출판사
아동발달
이옥형
집문당
추천자료
아동기의 발달 이해
아동기 정서발달에 대한 이해
아동기 운동발달
아동 발달 단계에 따른 영아기,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의 부모역할
아동기의 발달이론에서 행동주의 이론관련 관찰학습과 사회학습이론을 설명하고 아동기 부모...
유아의 인지발달과 아동기의 인지발달에 대해 비교하여 작성해 주세요.
아동기 발달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시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신건강문제에 대하여 기술하...
아동기의 언어발달 - 어휘와 문법의 확장 및 의사소통 기술의 발달과 읽기와 쓰기능력의 발달
인간의 발달과정 중 아동기 발달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발달과제와 정신건강문제와의 관련성...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에 대하여 조사하고 아동기에 인간발달단계에서...
인간의 발달과정 중 아동기 발달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발달과제와 정신건강문제와의 관련성...
아동기 신체-운동발달 및 아동기 건강관리
[아동기 지능발달] 지능이론 - 대안적지능이론(스턴버그의 삼원지능이론과 성공지능이론, 가...
[아동가족의이해] 자아존중감에 대해 설명하고 자아존중감이 아동기 성장발달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