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의 사활에 관한 모든것..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보았습니다. 귀의 특수성을 이용한 것인입니다.
[2도]처럼 귀를 낀 곡사궁을 귀곡사궁이라 한다. 물론 흑의 형태를 그대로 죽는 형으로 친다는 뜻은 아니다. (백선이면 패 흑선이면 삶)
[3도]는 [2도]를 유발한 형태. 즉 [2도]와 같은 귀곡사궁의 형을 유발하는 [3도]와 같은 형태를 무조건 죽는 흑 귀곡사궁이라 한다.
[4도]는 [2도]와 같은 귀곡사궁을 유발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4도]의 흑 일단은 무조건 죽은 모양인 것이다.
[4도]의 형태를 아마추어 많은 분들은 빅또는 패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빅이란 [5도]와 같이 흑,백간 a, b의 어느 곳도 둘 수 없는 경우를 말하며 [4도]의 경우, 흑은 백을 잡으러 갈 수 없는데 반해 백에서는 언제든지 'a'또는 'b'에 두어 [1도]를 유발시켜 패를 청할 자유(권리)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흑.백간의 착수 불평등성을 중요시해 다소의 모순이긴 하지만 [4도]의 흑 귀곡사궁은 흑사라는 규칙을 정한 것이다.
단지 [6도]와 같이 흑 귀곡사궁을 에워싸고 있는 백일단이 완생인 경우에 흑사의 규칙이 적용되며 [7도]처럼 백이 미생인 경우에는 'a'.'b'로 패를 자청하지 않을 수 없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09.28
  • 저작시기2003.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