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음운론 - 탈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음운론 - 탈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탈락의 개념과 음운 규칙
1. 음운 변동의 유형
2. 탈락(deletion, elision)
1) ㄹ- 탈락
2) ㅎ-탈락
3) 모음 탈락
4) 구개 자음 뒤에서 구개 반모음 [y] 탈락
5) 중복 자음 감축
6) ㄷ 탈락
7) ㅅ 탈락

Ⅱ.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에 제시된 탈락

Ⅲ. 임용 기출 예상문제

<참고 문헌>

본문내용

어미 ‘-면’ 앞에서 어간말 ‘ㅎ’은 필수적으로 탈락한다.
a. /alh+a/ \'앓아‘→[ala]
b. /alh+n/ ‘앓은’→[an]
c. /noh+a/ ‘놓아’→[noa]
d. /noh+n/ ‘놓은’→[non]
e. /manh+i/ ‘많이’→[mani]
f. /sih+/ ‘싫어’→ [si]
② 명사의 수의적 ㅎ-탈락
a. /mahn/ \'마흔\' → [mahn] ~ [man]
b. /ahop/ \'아홉‘ → [ahop ] ~ [aop ]
표준어 규정 제 12항
4. ‘ㅎ(ㄶ, ㅀ)’ 뒤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ㅎ’을 발음하지 않는다.
낳은[나은] 놓아[노아] 쌓이다[싸이다] 많아[마ː나]
않은[아는] 닳아[다라] 싫어도[시러도]
한자어나 복합어에서 모음과 ‘ㅎ’또는 ‘ㄴ, ㅁ, ㅇ, ㄹ’과 ‘ㅎ’이 결합된 경우에는 본음대로 발음함이 원칙이다. ‘경제학(經濟學), 광어회(廣魚膾)’라든가 ‘신학(神學), 전화(電話), 피곤하다’, ‘임학(林學), 셈하다, 공학(工學), 상학(商學), 경영학(經營學)’등의 경우가 그 예들이다. 그리고 다만 ‘실학(實學), 철학(哲學), 실하다, 팔힘’ 등과 같은 ‘ㄹ’과 ‘ㅎ’의 결합에서는 ‘ㄹ’을 연음시키면서 ‘ㅎ’이 섞인 소리로 발음한다.
c. /kyŋ-hm/ \'경험‘ → [kyŋhm] ~ [kyŋm]
3) 모음 탈락
① ㅡ 탈락
//로 끝나는 어간말음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거나 어간말음이 모음으로 끝나고 //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가 탈락한다.
+ V
a. /k\' +/\'끄어‘→ [k\']
b. /s\' +/‘쓰어’→ [s\']
c. /pap\' +/‘바쁘+어’ →[pap\']
V +
a. /ka+ myn/ \'가+으면‘→ [kamyn]
b. /ky+ myn/ ‘켜+으면’→ [kymyn]
c. /no+ lo/ ‘노+으로’→ [noo]
d. /pata+ lo/ ‘바다+으로’→ [padao]
어미의 첫 모음 ‘ㅡ’ 가 어간이 모음이나 ‘ㄹ’ 로 끝나는 뒤에서 탈락한다.
보 + 으니 → 보니 [poni]
끄 + 으면 → 끄면 [k\'myn]
울 + 으면서 → 울면서 [ulmyns]
용언 어간 ‘르’ 가 어미 ‘아, 어’나 접미사 ‘이’와 만나면 ‘르’의 ‘ㅡ’가 탈락하고 ‘ㄹ’ 이 더 첨가된다.
흐르 + 었다 → 흘렀다 [hllt´a] 다르 + 아 → 달라 [talla]
단, ‘이르다, 푸르다’ 는 ‘ㅡ’가 탈락하지 않은 채, ‘ㄹ\'이 첨가된다.
푸르 + 어 → 푸르러 [purr] 이르 + 어 → 이르러 [irr]
② ㅏ/ㅓ 의 탈락 : 어미 첫 모음 ‘아, 어’는 어간 모음 ‘아, 어, 에, 애’ 뒤에서 탈락한다.
가 + 아서 → 가서 [kas] 베 + 었다 → 베었다/ 벴다 [pe()t´a]
한글 맞춤법 제18항
다음과 같은 용언들은 어미가 바뀔 경우, 그 어간이나 어미가 원칙에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적는다.
4. 어간의 끝 \'ㅜ, ㅡ\'가 줄어질 적
푸다: 퍼 펐다
끄다: 꺼 껐다
담그다: 담가 담갔다
따르다: 따라 따랐다
뜨다: 떠 떴다
크다: 커 컸다
고프다: 고파 고팠다
바쁘다: 바빠 바빴다
4) 구개 자음 뒤에서 구개 반모음 [y] 탈락
국어에서 구개 자음 [c, j, ch, sy, ssy, ny, ly] 다음에 구개 반모음 [y]가 오게 되면 구개 자음과 구개 반모음이라는 동일한 구개음이 이어지게 되므로 뒤에 오는 구개 반모음 [y]가 탈락한다.
지- + -어 : 지어 : 져[cy] →저[c]
만지- + -어 : 만지어 : 만져[manjy] →만저[manj]
고치- + -어 : 고치어 : 고쳐[kochy] →고처[koch]
마시- + -어 : 마시어 : 마셔[masyy] →마셔[masy] 국어에서 sy, ny, ly와 s, n, l을 구분하여 표기할 방도가 없기 때문에 구개 반모음 y와 결합되면 이들 연결체인 syy, nyy, lyy와 sy, ny, ly를 구별하여 표기해 줄 수가 없다. 따라서 이 두 종류의 음성 실현이 다르다고 할 수 있지만 한글로는 각가 ‘셔, 녀, 려’로 표기할 수 밖에 없다.
다니- + -어 : 다니어 : 다녀[tanyy] →다녀[tany]
달리- + -어 : 달리어 : 달려[tallyy] →달려[tally]
5) 중복 자음 감축
평음 ㅂ, ㄷ, ㄱ이 조음 위치가 같은 폐쇄음 파찰음 경음과 유기음 앞에서 수의적으로 탈락한다. 즉, ㅂ이 ㅃ, ㅍ앞에서, ㄷ이 ㄸ, ㅌ, ㅉ, ㅊ 앞에서, ㄱ이 ㄲ, ㅋ 앞에서 수의적으로 탈락한다.
못처럼 →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9.14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80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