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 들어가는 말
1. 복음을 자랑하는 교회
2. 자유로운 목회
3. 목회 방향성의 변혁
1. 복음을 자랑하는 교회
2. 자유로운 목회
3. 목회 방향성의 변혁
본문내용
적응력을 상실한다. 그러므로 미래교회를 위한 구조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미래 현상인 가속적 사회 변동에 교회가 적응해야 한다.
2) 한국교회의 성장이 이미 둔화되어 기존 구조의 변화을 요구받는다.
3) 맬 사회는 유토피아의 반대개념인 디스토피아로 접근해갈 것인데, 여기에 교회의 사명과 존재 이유가 있다.
4) 세계화와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다양성 속에서 통일성을 추구해야 한다.
5) 신세대의 문화와 사고구조는 전통문화나 기성세대의 사고구조와는 다르다.
6) 컴퓨터 등의 발달로 기술개발과 정보교환 능력이 교회에도 요청된다.
7) 임시성과 대여개념의 발달로 교회의 소유개념보다 대여개념이 발달한다.
8) 과학의 발달로 생명보호라는 심각한 과제가 교회에 주어질 것이다.
9) 이동성의 발달로 기존의 목회 구조가 무력화될 것이다.
10) 교회 구조가 성직 구조에서 평신도 구조로 전환된다.
11) 정보화에 대한 반작용으로 영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영성이 발달하다.
12) 교회의 관심이 교회 자체의 성장보다는 사회에 대한 교회의 사명을 높여나가는 쪽으로 이동한다.
13) 교회 마케팅 이론이 발달한다.
14) 민족 통일 이후 세계 중심국가 시대를 대비하여 한국교회의 관심이 고조될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방향성 변화는 한국의 미래 교회의 틀을 제시한다.
) 이성희, 미래목회 대예언, 규장문화사, 서울,1998. p14-15.
21세기 목회의 새로운 장을 열어나가게 될 주역인 우리는 믿음과 용기를 가지고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교회, 복음을 자랑하는 교회로 섬기며, 사도 바울 처럼 복음에 '빚진 자'라고 고백할 때, 한국교회는 '오르막 길'에 접어들게 될 것이다. 그리고 한국교회의 지난 30여 년 간 교회 성장에 주력하여 교회가 외형적으로 성장하는 경이적이 결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러한 놀라운 교회성장을 완전히 무시하고 사회 변동에 다른 교회 목회의 방향을 변화시킨다면 도리어 혼란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한국교회가 진정한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처방이 뒤따라야 한다. 그러므로 교회가 지향해야 할 것은 성경 본래의 의미를 되찾는 일과, 새롭게 다가오는 시대에 맞는 우리의 자세를 새롭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오늘날 한국교회는 "변해야 산다"는 것이다.
※ 참 고 도 서 ※
1. 이성희, "밀레니엄목회 리포터", 규장 문화사. 1999.
2. 존 맥아더, 황성철 역, 복음을 부끄러워하는 교회,
생명의 말씀사, 서울 1995.
3. 김동호, 생사를 건 교회개혁, 규장문화사, 서울 1999
4. 로버트 슈네이즈, 황성철 역, 목회와 야망, 기독교 문서선교회,
5. 켄트 휴즈, 신서균 역, 성공병으로부터 자유로운 목회,
기독교 문서 선교회, 서울, 1994.
6. 이성희, 미래목회 대예언, 규장문화사, 서울,1998.
7. 명성훈, 장년 출석 300명 돌파의 원리와 전략, 국민일보사
8. 랄프 네이버저, 장학일 역, 셀목회지침서, 서로사랑
1) 미래 현상인 가속적 사회 변동에 교회가 적응해야 한다.
2) 한국교회의 성장이 이미 둔화되어 기존 구조의 변화을 요구받는다.
3) 맬 사회는 유토피아의 반대개념인 디스토피아로 접근해갈 것인데, 여기에 교회의 사명과 존재 이유가 있다.
4) 세계화와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다양성 속에서 통일성을 추구해야 한다.
5) 신세대의 문화와 사고구조는 전통문화나 기성세대의 사고구조와는 다르다.
6) 컴퓨터 등의 발달로 기술개발과 정보교환 능력이 교회에도 요청된다.
7) 임시성과 대여개념의 발달로 교회의 소유개념보다 대여개념이 발달한다.
8) 과학의 발달로 생명보호라는 심각한 과제가 교회에 주어질 것이다.
9) 이동성의 발달로 기존의 목회 구조가 무력화될 것이다.
10) 교회 구조가 성직 구조에서 평신도 구조로 전환된다.
11) 정보화에 대한 반작용으로 영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영성이 발달하다.
12) 교회의 관심이 교회 자체의 성장보다는 사회에 대한 교회의 사명을 높여나가는 쪽으로 이동한다.
13) 교회 마케팅 이론이 발달한다.
14) 민족 통일 이후 세계 중심국가 시대를 대비하여 한국교회의 관심이 고조될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방향성 변화는 한국의 미래 교회의 틀을 제시한다.
) 이성희, 미래목회 대예언, 규장문화사, 서울,1998. p14-15.
21세기 목회의 새로운 장을 열어나가게 될 주역인 우리는 믿음과 용기를 가지고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교회, 복음을 자랑하는 교회로 섬기며, 사도 바울 처럼 복음에 '빚진 자'라고 고백할 때, 한국교회는 '오르막 길'에 접어들게 될 것이다. 그리고 한국교회의 지난 30여 년 간 교회 성장에 주력하여 교회가 외형적으로 성장하는 경이적이 결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러한 놀라운 교회성장을 완전히 무시하고 사회 변동에 다른 교회 목회의 방향을 변화시킨다면 도리어 혼란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한국교회가 진정한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처방이 뒤따라야 한다. 그러므로 교회가 지향해야 할 것은 성경 본래의 의미를 되찾는 일과, 새롭게 다가오는 시대에 맞는 우리의 자세를 새롭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오늘날 한국교회는 "변해야 산다"는 것이다.
※ 참 고 도 서 ※
1. 이성희, "밀레니엄목회 리포터", 규장 문화사. 1999.
2. 존 맥아더, 황성철 역, 복음을 부끄러워하는 교회,
생명의 말씀사, 서울 1995.
3. 김동호, 생사를 건 교회개혁, 규장문화사, 서울 1999
4. 로버트 슈네이즈, 황성철 역, 목회와 야망, 기독교 문서선교회,
5. 켄트 휴즈, 신서균 역, 성공병으로부터 자유로운 목회,
기독교 문서 선교회, 서울, 1994.
6. 이성희, 미래목회 대예언, 규장문화사, 서울,1998.
7. 명성훈, 장년 출석 300명 돌파의 원리와 전략, 국민일보사
8. 랄프 네이버저, 장학일 역, 셀목회지침서, 서로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