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국의 역사적 문제의 미해결과 대안으로서 청년들간의 교류증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중일 3국의 역사적 문제의 미해결과 대안으로서 청년들간의 교류증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언

2. 문화상의 동일점과 한중일 청년교류

3. 청년교류의 필요성과 가능성

4. 결론

본문내용

으로 기존의 연안해군에서 벗어나 대양에서 독자적인 작전을 펼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청년교류는 기존의 대결구도양상의 냉전식 사고를 탈피하여 상호간의 공존공영을 추진하고, 이 지역의 평화를 정착시켜 세계의 평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청년은 한 국가의 기틀이며, 준비의 과정에 있으며, 이러한 준비과정에서 상호교류는 자국에서 타국을 보는 시각을 넓혀주며, '너와 나'가 아닌 '우리'를 만들어 줌으로서, 이 지역에 평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평화라는 점에서 청년교류는 반드시 시도되어야하며, 대중문화라는 공통의 매개체를 가지고 있는 한중일 3국
의 청년교류는 성공의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김한규, 고대동아시아 막부체제연구, 일조각(1997)
김태만 ,유교문화와 동아시아의 미래, 도서출판 전망, 2002
권선홍외2인 , 비서구문명권의 국제관계사상, 부산외대출판부(1998)
권선홍외4인, 전통시대 중국의 대외관계 부산외대출판부(1999)
김영태(立法調査分析室, 行政學博士), <釣魚島 紛爭과 우리의 課題 >
출처( http://www.nanet.go.kr/nal/3/3-1-3/info80.htm ,2002년 11월 14일 검색)
동아시아 평화인권 한국위원회, 정근식 , 김하림, 김용의 책임 편집, 동아시아와 근대의 폭력2 도서출판 삼인, 2001
우에하라 카즈요시 외 지음, 한철호, 이규수 역, 동아시아 근현대사, 옛오늘, 2000
이와사키 이쿠오 저, 아시아 국가와 시민 사회 ,최은봉 역,을유문화사, 2002년
하세봉, 동아시아 역사학의 생산과 유통, 아세아문화사, 2001
  • 가격2,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0.16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6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