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며..
2.개화와 수구
3.그 후의 일들..
4.다 읽고서..
2.개화와 수구
3.그 후의 일들..
4.다 읽고서..
본문내용
이 사회가 그 때와 달라진 점이란 지식인의 양심이 숨은 것인가? 이젠 사회에서 일어난 일에는 방관자적 입장을 취하려는 것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노하우가 된 것일까?
나 스스로는 반성하는 삶을 살고 있는 지..
다 읽고서..
난 어떻게 살아야하는가. 난 과연 사회에 얼마만큼의 책임을 갖고, 임할 수 있는가? 황현선생의 관점이 옳은 것만은 아니었지만 난 과연 선생과 같은 주관적인 눈으로 사회를 바라봐도 좋을 만큼의 눈을 가졌는가.. 사회는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며 내가 지금 서있는 상황은 어떻게 전개되어 나갈 것인가? 이 자리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며, 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적어도 안중근 의사나 이재명과 같이 누구를 죽여 이 사회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보다는 이성적으로 사회의 많은 구성원들에게 동의를 이끌어 내는 운동으로 사회문제를 하나씩 고쳐나가는 것이 나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 본다. 이 사회는 집권층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하의상달을 의사결정의 바람직한 방법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사회 구성원들이 각 개인의 이익을 논하고, 사회의 이익을 논하면, 교육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잘 이루어지면, 그러한 사회의 풍조는 만들어지리라 본다.
나 스스로는 반성하는 삶을 살고 있는 지..
다 읽고서..
난 어떻게 살아야하는가. 난 과연 사회에 얼마만큼의 책임을 갖고, 임할 수 있는가? 황현선생의 관점이 옳은 것만은 아니었지만 난 과연 선생과 같은 주관적인 눈으로 사회를 바라봐도 좋을 만큼의 눈을 가졌는가.. 사회는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며 내가 지금 서있는 상황은 어떻게 전개되어 나갈 것인가? 이 자리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며, 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적어도 안중근 의사나 이재명과 같이 누구를 죽여 이 사회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보다는 이성적으로 사회의 많은 구성원들에게 동의를 이끌어 내는 운동으로 사회문제를 하나씩 고쳐나가는 것이 나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 본다. 이 사회는 집권층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하의상달을 의사결정의 바람직한 방법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사회 구성원들이 각 개인의 이익을 논하고, 사회의 이익을 논하면, 교육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잘 이루어지면, 그러한 사회의 풍조는 만들어지리라 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