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와 `역사`의 거울에 비춰진 가족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글을 시작하면서...

2. 내가 이야기하는 가족사의 범주

3. 종교의 계승과 전파에서 풀어낸 가족사

4. 제4장 4대 : 나

5. 글을 마치면서...

본문내용

, 부산진 여자 고등 학교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1학년에 재학 중이다. 나는 유년시절 성당 '복사단'의 일원이었다. '복사'란 미사 내내 신부님 옆에서 미사 진행을 돕는 일을 하는 사람이다. 주로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신부님과 비슷한 예복을 입고 복사를 선다. 복사를 서게되면서 일주일의 절반은 성당에서 보내게 되었다. 심오한 천주교 사상이나 성경의 내용은 자세히 몰랐지만 성당에 자주 나가 예수님을 자주 뵙는 것이 어린시절 내가 신앙이라 생각했던 것이다. 또한 복사단 '레지오 마리에'에 참석하면서 보다 능동적인 기도생활을 시작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고등학교에 들어가면서 현재까지 나는 냉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종교라는 것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 때문이다. 가족의 일원으로서 필연적으로 천주교적 문화를 많이 접하면서 컸지만 가족의 천주교 문화가 내가 반드시 천주교를 선택해야하는 충분한 이유가 될 수 없다. 부모님이나 가족 내 어른들이 나의 신앙의 설익음을 질책하며 계속해서 성당에 나갈 것을 권유하지만 내가 성당에 나가지 않는 것은 그 때문이 아니다.
내가 성장하는 토양과 같았던 우리 가족의 천주교적 문화를 부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진지한 고민이 배제된, 소속집단의 문화적 구속력에 의한 수동적인 종교 선택이 싫다는 것이다. 옛날 증조할아버지가 삶에 대한 성찰을 통해 천주교를 선택하셨던, 그 종교에 대한 절실하고 순수한 마음을 가지고 능동적인 신앙생활을 하고싶은 소망이 든다.
5. 글을 마치면서...
이상으로 '종교'라는 테마를 가지고 미흡하나마 가족사를 구성해보았다.
'종교'라는 것은 한 개인의 의식 패러다임으로, 생각의 틀을 주조하고 개인의 행동을 좌우한다. 나아가 한 가족이 하나의 종교를 공유함으로써 종교가 투영된 특유의 가족 문화를 만들어내고, 같은 종교는 구성원간의 동질감과 결속력을 확인하게 하는 매개체가 된다. 이는 한 가족이라는 정체성을 밝히는 유용한 단서가 되기도 한다. 종교와 가족문화의 유기적 연관성은 종교를 통해 가족을 얻고, 가족을 통해 종교를 얻는 우리 가족의 결혼사례에도 잘 반영이 되어있었다.
나의 역량 부족과 시간부족으로 처음 의욕에 부합하는 가족사는 못되었다. 하지만 가족인식의 범위를 넓히고, 가족문화를 심도 있게 관찰할 수 있는 훌륭한 계기가 되었다. '종교'이외에 다른 테마를 가지고 가족사를 다른 측면에서 조명해보는 노력도 시도해봐야겠다.

키워드

역사,   종교,   가족사,   역사,   종교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0.24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83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