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퇴계 이황
1) 퇴계이황의 학문
2) 교육목적
3) 교육사상과 교육방법
3.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의의
1) 다산 정약용의 학문
2) 교육목적
3) 교육사상과 교육방법
4. 현대적의의와 고찰
2. 퇴계 이황
1) 퇴계이황의 학문
2) 교육목적
3) 교육사상과 교육방법
3.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의의
1) 다산 정약용의 학문
2) 교육목적
3) 교육사상과 교육방법
4. 현대적의의와 고찰
본문내용
학문을 하여 국가나 사회생활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당시의 조선사회의 학문적 폐단을 지적하고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교육은 과거의 것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아니다. 좋은 것이 있으면 받아들이고 이전의 것을 토대로 하여 발전하는 것이다. 그러나 당시의 시대는 학문에서는 기존의 성리학에만 사로잡혀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었다. 정약용은 실학자들중의 한사람으로서 보다 진일보한 사상을 가지고 사회 일반에 대한 개혁을 주장했다. 그중 교육에 있어서는 서양과학이나 기술을 배워서 이를 활용하자고 하였는데 이것은 오늘날의 학문적 방향과 같다고 할수 있다. 오늘날 교육은 세계가 정보화, 지구촌화, 개방화됨에 따라 급변하는 시대상황에 맞게 교육도 변화하고 있다. 초고속 인터넷망이 각급 학교에 급속히 보급되고 수업방식도 예전의 전통식보다 컴퓨터를 이용한 수업이 많아지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가 개항이후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이고 과학기술을 활용한 것이 오늘날의 이러한 결과를 가져다 준 것으로 이는 정약용의 사상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퇴계 이황과 다산 정약용의 사상을 살펴보고 특히 교육에서의 두 사람을 비교해 보았다. 이 오늘날 교육이 출세, 입신양명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한 지금 이 두 사람의 교육사상을 살펴봄으로서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참고 문헌]
<한국교육사 연구 상·하> , 손인수, 文音社
<한국 교육사> , 손인수, 文音社
<한국 교육사의 탐구>
인터넷 검색 사이트 - 야후 - 다산 정약용 공식 홈페이지
퇴계 이황과 도산서원
이상에서 퇴계 이황과 다산 정약용의 사상을 살펴보고 특히 교육에서의 두 사람을 비교해 보았다. 이 오늘날 교육이 출세, 입신양명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한 지금 이 두 사람의 교육사상을 살펴봄으로서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참고 문헌]
<한국교육사 연구 상·하> , 손인수, 文音社
<한국 교육사> , 손인수, 文音社
<한국 교육사의 탐구>
인터넷 검색 사이트 - 야후 - 다산 정약용 공식 홈페이지
퇴계 이황과 도산서원
추천자료
이황의 수양론-[성학십도]와 경을 중심으로-
남명 조식의 유적 답사기와 시골 선비 조남명을 보고 나서
이황의 사상의 현대적 의미 찾기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의 비교
시조의 인식과 미의식 그리고 현대시와의 비교 - 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 어부사시사와 현대...
조선에서 주기철학은 가능한가
척화표의 영수 김상헌 발표자료
[과외]중학 도덕 1-2학기 중간 예상문제 15
성리학자와 실학자의 도덕론
[교육철학]격몽요결과 교육, 율곡의 격몽요결, 율곡 교육
도산신이곡 감상
[주리론][주리철학][주리론(주리철학) 이론][주리론(주리철학) 종경정신][전거수사]주리론(주...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공통유형 노자의 칼 장자의 방패, - 제 3장, 조선사회의 노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