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교육과 교육참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교육과 교육참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회교육과 교육참여
1) 사회교육의 개념과 유형
2) 교육기회와 교육참여
3) 사회교육에서의 교육참여

2. 사회교육 참여이론
1) Miller의 힘-장(force-field)이론
2) Rubenson의 기대-가치 모형
3) McClusky의 잉여(Margin)이론
4) Darkenwald & Merriam의 이론
5) Cookson의 ISSAL모형
6) Boshier의 일치(Congruence)이론
7) Cross의 연쇄반응(chain of response : COR) 모형

3. 사회교육참여의 관련변인

본문내용

및 자극의 개별적 또는 총합적인 구조와 작용을 의미한다.
정범모는 교육환경의 개념을 사회환경과의 관련에서 교육상황의 한 요인으로 모형화하고 복잡한 교육상황을 비교적 간결하면서도 포괄적인 것으로 정리 제시하며 전체교육상황을 <그림2-8>과 같이 도식화하여 설명하였다.
우선 학습자들의 학습경험은 사회와 교육기관의 영향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자와 교육내용과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것을 전제로 출발한다.
<그림2-8>교육환경
자료 : 정범모, 교육과 교육학, (서울:배영사, 1984), 82.
Lewin은 개인과 환경과의 관계를 다음의 <그림2-9>와 같이 도식화하여 설명하였다.
개인을 표시한 P의 원형보다 좀 더 큰 원형을 그림으로써 심리적인 환경을 개념화하였다. 그림에서 E로 표시된 부분을 심리적 환경이라 하고 P의 원형을 포함한 큰 원형내의 전체
<그림2-9> Lewin의 모형
(P+E=생활공간)
자료 : 정원식, 교육환경론,(서울: 교육출판사,1983), p.89.에서 인용
를 생활공간(Life space)이라고 하였다. 생활공간은 심리적 현상의 전체이고 개인의 행동을 결정하는 모든 가능한 사실의 집합이다. 그러므로 주어진 시공에 위치하는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있다. 개인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그 개인과 심리적 환경과의 작용이지 비심리적 세계의 작용은 아니라는 것이다.
Holahan은 일반적으로 환경이 작용하는 과정을 <그림 2-10>과 같이 도식화하였다.
인간을 에워싸고 있는 물리적, 심리적 제반 환경적인 자극이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지각, 인지, 태도등의 순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환경에 대한 지각이란 관련된 감각기관을 통하여 주어진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수용하는 것을 말하며, 환경의 인지란 감지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조직하여 재편성 및 추출하는 과정을 말한다. 그리고 환경에 대한 태도란 환경의 지각 및 인지의 결과로 생기는 환경에 대한 호의적(favorable) 혹은 비호의적(unfavorable)인 감정을 말하는 것으로 환경에 대한 가치판단으로서 적절성 또는 만족도를 말한다.
인간이 특정환경에 접하게 되면 그 환경에 대한 지각, 인지, 태도등의 일련의 과정이 순서적으로 일어나 결국 인간에게 어떤 행동이나 반응을 유발하게 하는 힘을 가하게 된다.
<그림 2-10>환경작용의 과정
+--------+ +-------+ +-------+
환경 --> | 지각 |--> | 인지 |-->| 태도 |--> 인간
(자극) +--------+ +-------+ +-------+ (행동-반응)
자료 : C. J. Holahan, Environmental Psychology, (New York:Random House, 1982), 82.
환경의 지각은 환경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촛점을 맞추고 있음에 반하여 환경의 인지는 환경의 정보에 대한 평가 해석 등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과정인 환경에 대한 태도는 환경에 대한 느낌으로서 주어진 환경에 대한 지각, 인지의 결과로 얻어지는 환경에 대한 만족도 또는 적절성의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주어진 환경적 자극에 대한 이러한 느낌 자체가 결국 인간의 행동이나 반응이 나타나도록 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교육환경에서는 객관적 환경보다는 주관적 환경이 더 중시 된다. 일반적으로 교육환경은 주위의 외적 제조건을 중심으로 주체로서의 인간을 유의미한 존재로서 파악한 외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객관적 환경보다는 심리적, 행동적 환경이 더 중요시 된다.
Knowles는 인간의 욕구를 기본적인 욕구와 교육적 욕구로 구분하여 논의하면서 교육적 욕구를 한 인간이나 기관, 사회가 で되기를 원하는 상태と와 で현재의 상태と간의 격차로 정의하고 있으며 교육적 욕구의 발생이 바로 성인의 학습동기가 된다고 보았다.
그는 <그림2-11>과 같이 Maslow의 욕구계층과 Murphy가 제시한 생득적 욕구를 재조직
<그림2-11> Knowles의 욕구와 행위결정과정 모형
+---------------------+ +----------------+ +--------+
| 욕 구 | | 심리적 장(場) | | 행 동 |
+---------------------+ +----------------+ +--------+
+----------------------+ +-----------------+
| 물리적 욕구 | | |
| 성장의 욕구 | | 상황적 욕구 | +----------+
| 안전의 욕구 | + | | = |특정 행위 |
| 새로운 경험에의 욕구 | | | +----------+
| 정서에의 욕구 | | 개인특성 |
| 안정에의 욕구 | | |
+----------------------+ +-----------------+
자료 : Malcolm S. Knowles, The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 (NewYork :
Association Press,1981), 89.
하여 학습동기 요인으로 욕구가 어떻게 행동으로 연결되는가를 도식화 하였다.
따라서 객관적 환경으로서 개인이 인지하지 못하는 비심리적인 환경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세계인 것이다. 사회교육환경이 학습자에게 의미있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심리적 환경으로서 존재해 있어야 한다. 즉 사회교육환경을 인지하였을 때 의미가 있는 것이다.
사회교육은 자발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그들 스스로 사회교육에 대한 가치를 인정할 때 교육참여의 동기가 형성 될 수 있을 것이고 또한 사회교육시설을 이용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질 것이다. 사회교육환경을 어떻게 인지하고 그것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사회교육환경을 인식하고 또한 사회교육참여동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교육적 환경에는 다양한 환경이 작용할 것이나 사회교육대상자가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사회교육시설과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얼마나 인지하고 또한 그것을 어떻게 평가하느냐가 실질적으로 사회교육 참여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환경으로서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3.10.3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97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