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양반의 개념
ꋫ양반 - 관직제도상의 문반‧무반
ꋫ기원
ꋫ관료에서 신분으로
ꋫ양반의 명칭 - 사림, 사대부, 사족, 사류
■양반의 성립과정
ꋫ고려시대의 양반
■양반의 특권
ꋫ조선시대 과거제도
ꋫ문음의 특권
ꋫ과거의 특권
ꋫ관직의 특권
ꋫ군역의 특권
ꋫ양반 - 관직제도상의 문반‧무반
ꋫ기원
ꋫ관료에서 신분으로
ꋫ양반의 명칭 - 사림, 사대부, 사족, 사류
■양반의 성립과정
ꋫ고려시대의 양반
■양반의 특권
ꋫ조선시대 과거제도
ꋫ문음의 특권
ꋫ과거의 특권
ꋫ관직의 특권
ꋫ군역의 특권
본문내용
못함.
양반은 어릴 때부터 교육.
③ 과거시험 절차상의 어려움
과거시험 응시서류 : 호적, 보단자(신원증명서), 추천서 제출.
조선시대 전체 양인으로 문과에 급제한 자는 모두 12명
향리와 서얼의 과거진출 제한
경국대전 양반과 경쟁상대인 향리와 서얼의 과거진출을 제한하고 있음
향리 자제 : 문과, 생원.진사시는 무제한이나 - 생원.진사시를 볼때는 소속 수령의 허가
잡과는 3子 중 1子만 응시
무과초시에서 향리는 과외로 무과칠서
六韜(육도) : 주나라 태망공이 지음 ----
三略(삼략) : 진나라 황석공이 지음 ---- 중국 병서의 고전
尉 子(위료자)
孫子
吳子
司馬法
李衛公(이위공)
를 따로 시험(원래는 무과복시에 시험)
서얼 : 양반의 성립과정에서 설명.
관직의 특권
조선의 문치주의
① 가장 핵심적인 청요직은 문관에 치우쳐 있음
문관청요직 : 의정부.이조.병조.사헌부.사간원.홍문관직
무관청요직 : 도총부(오위를 통솔.지휘).선전관(王의 시위.전영 등).부장
② 무산계(무신 관품)는 2품이상의 계가 없음.
무관의 최고직은 중추부직은 무소임. 문.무 당상관(정3품 이상)이 대기직으로 활용
③ 문관의 당상관은 전임관, 무관의 경관 당상직은 타관이 겸직
④ 각도의 병마절도사(종2품)와 수군절도사(정3품) 2~3명 중 1명은 관찰사가 겸직
⑤ 병정기관인 병조의 관원과 군사통수권 - 문관이 차지
조선시대의 양반은 무신을 배제한 문관위주의 성향을 띠고 있음
군역의 특권
국역 - 요역, 직역, 군역
국가가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말함. 전국의 인정(16~60세)
요역 - 신분의 고하와 관계없이 부과되는 부역
직역.군역 - 양신분 내에서 신분에 따라 구별되는 특정한 군호.향호.역호 등 신역
양반의 군역에서의 특권
직역이 있으면, 군역은 면제.
양반은 관직에 들어갈 수 있는 활로가 넓었기 때문에 군역의 부과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음.
또한 문관이 되지 못하더라도 국가보위군이라 할 수 있는 각종 특수군에 입속할 수있었다.
양반 특수병종
① 수전패 - 전직관료 중 군전이나 과전을 받고 서울에서 시위근무
무수전패 - 전지를 받지 못하고 시위 근무
② 직업군 - 갑사.별시위.친군위.내금위.내시위.겸사복.선전관
③ 귀족숙위군 - 족친위(국왕의 친족, 공신.훈신의 자제), 공신적장, 충의위, 충찬위, 충순위
후기에 양반의 숫자는 늘고, 관직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군역에 들어가야할 사람이 많아지자, 군포로 군역을 대신함r
양반은 어릴 때부터 교육.
③ 과거시험 절차상의 어려움
과거시험 응시서류 : 호적, 보단자(신원증명서), 추천서 제출.
조선시대 전체 양인으로 문과에 급제한 자는 모두 12명
향리와 서얼의 과거진출 제한
경국대전 양반과 경쟁상대인 향리와 서얼의 과거진출을 제한하고 있음
향리 자제 : 문과, 생원.진사시는 무제한이나 - 생원.진사시를 볼때는 소속 수령의 허가
잡과는 3子 중 1子만 응시
무과초시에서 향리는 과외로 무과칠서
六韜(육도) : 주나라 태망공이 지음 ----
三略(삼략) : 진나라 황석공이 지음 ---- 중국 병서의 고전
尉 子(위료자)
孫子
吳子
司馬法
李衛公(이위공)
를 따로 시험(원래는 무과복시에 시험)
서얼 : 양반의 성립과정에서 설명.
관직의 특권
조선의 문치주의
① 가장 핵심적인 청요직은 문관에 치우쳐 있음
문관청요직 : 의정부.이조.병조.사헌부.사간원.홍문관직
무관청요직 : 도총부(오위를 통솔.지휘).선전관(王의 시위.전영 등).부장
② 무산계(무신 관품)는 2품이상의 계가 없음.
무관의 최고직은 중추부직은 무소임. 문.무 당상관(정3품 이상)이 대기직으로 활용
③ 문관의 당상관은 전임관, 무관의 경관 당상직은 타관이 겸직
④ 각도의 병마절도사(종2품)와 수군절도사(정3품) 2~3명 중 1명은 관찰사가 겸직
⑤ 병정기관인 병조의 관원과 군사통수권 - 문관이 차지
조선시대의 양반은 무신을 배제한 문관위주의 성향을 띠고 있음
군역의 특권
국역 - 요역, 직역, 군역
국가가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말함. 전국의 인정(16~60세)
요역 - 신분의 고하와 관계없이 부과되는 부역
직역.군역 - 양신분 내에서 신분에 따라 구별되는 특정한 군호.향호.역호 등 신역
양반의 군역에서의 특권
직역이 있으면, 군역은 면제.
양반은 관직에 들어갈 수 있는 활로가 넓었기 때문에 군역의 부과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음.
또한 문관이 되지 못하더라도 국가보위군이라 할 수 있는 각종 특수군에 입속할 수있었다.
양반 특수병종
① 수전패 - 전직관료 중 군전이나 과전을 받고 서울에서 시위근무
무수전패 - 전지를 받지 못하고 시위 근무
② 직업군 - 갑사.별시위.친군위.내금위.내시위.겸사복.선전관
③ 귀족숙위군 - 족친위(국왕의 친족, 공신.훈신의 자제), 공신적장, 충의위, 충찬위, 충순위
후기에 양반의 숫자는 늘고, 관직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군역에 들어가야할 사람이 많아지자, 군포로 군역을 대신함r
추천자료
[호주제][호주제도][가족제도]호주제의 문제점과 찬반양론 및 개선방안(호주제도란, 민법상의...
[교장선출보직제][교장임용제도][교장승진제도]현행 교장승진제도(교장임용제도)의 내용, 문...
[교장임용제도]교장의 과업, 자질과 교장임용제도(교장승진제도)의 현황, 문제점 및 영국, 독...
[일자리나누기제도][일자리나누기][일자리][실업]실업(실업률, 실업자)의 현황과 일자리나누...
[귀족과 농민][율령제][귀족사회]신분제 사회의 귀족과 농민, 균전제, 조용조, 부병제 심층분석
고등학교평준화제도(고교평준화정책)의 특성과 역사, 고등학교평준화제도(고교평준화정책)의 ...
[인사행정][인사][행정][인사행정 역사][인사행정 범위][인사행정 교육][보수]인사행정의 역...
[프라이버시권]프라이버시권(개인정보보호)의 정의, 형성배경, 프라이버시권(개인정보보호)의...
[행정통제론] 옴부즈만 제도 - 옴부즈만 제도의 의의와 각 국의 옴부즈만 제도, 옴부즈만 제...
실적주의 인사제도(실적제도)의 의미, 특징, 실적주의 인사제도(실적제도)의 성립과정, 계급...
[생활법률 공통] <문제 1> 미성년 자녀가 있는 부부가 이혼을 하면 신분과 재산, 자녀의 친권...
[생활법률 공통] <문제 1> 미성년 자녀가 있는 부부가 이혼을 하면 신분과 재산, 자녀의 친권...
[한국전통문화] 김홍도의 풍속화에 나타나는 풍자와 해학미 - 풍자를 띤 해학성(신분제의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