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양반의 개념,성립과정,특권(신분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양반의 개념
ꋫ양반 - 관직제도상의 문반‧무반
ꋫ기원
ꋫ관료에서 신분으로
ꋫ양반의 명칭 - 사림, 사대부, 사족, 사류

■양반의 성립과정
ꋫ고려시대의 양반

■양반의 특권
ꋫ조선시대 과거제도
ꋫ문음의 특권
ꋫ과거의 특권
ꋫ관직의 특권
ꋫ군역의 특권

본문내용

못함.
양반은 어릴 때부터 교육.
③ 과거시험 절차상의 어려움
과거시험 응시서류 : 호적, 보단자(신원증명서), 추천서 제출.
조선시대 전체 양인으로 문과에 급제한 자는 모두 12명
향리와 서얼의 과거진출 제한
경국대전 양반과 경쟁상대인 향리와 서얼의 과거진출을 제한하고 있음
향리 자제 : 문과, 생원.진사시는 무제한이나 - 생원.진사시를 볼때는 소속 수령의 허가
잡과는 3子 중 1子만 응시
무과초시에서 향리는 과외로 무과칠서
六韜(육도) : 주나라 태망공이 지음 ----
三略(삼략) : 진나라 황석공이 지음 ---- 중국 병서의 고전
尉 子(위료자)
孫子
吳子
司馬法
李衛公(이위공)
를 따로 시험(원래는 무과복시에 시험)
서얼 : 양반의 성립과정에서 설명.
관직의 특권
조선의 문치주의
① 가장 핵심적인 청요직은 문관에 치우쳐 있음
문관청요직 : 의정부.이조.병조.사헌부.사간원.홍문관직
무관청요직 : 도총부(오위를 통솔.지휘).선전관(王의 시위.전영 등).부장
② 무산계(무신 관품)는 2품이상의 계가 없음.
무관의 최고직은 중추부직은 무소임. 문.무 당상관(정3품 이상)이 대기직으로 활용
③ 문관의 당상관은 전임관, 무관의 경관 당상직은 타관이 겸직
④ 각도의 병마절도사(종2품)와 수군절도사(정3품) 2~3명 중 1명은 관찰사가 겸직
⑤ 병정기관인 병조의 관원과 군사통수권 - 문관이 차지
조선시대의 양반은 무신을 배제한 문관위주의 성향을 띠고 있음
군역의 특권
국역 - 요역, 직역, 군역
국가가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말함. 전국의 인정(16~60세)
요역 - 신분의 고하와 관계없이 부과되는 부역
직역.군역 - 양신분 내에서 신분에 따라 구별되는 특정한 군호.향호.역호 등 신역
양반의 군역에서의 특권
직역이 있으면, 군역은 면제.
양반은 관직에 들어갈 수 있는 활로가 넓었기 때문에 군역의 부과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음.
또한 문관이 되지 못하더라도 국가보위군이라 할 수 있는 각종 특수군에 입속할 수있었다.
양반 특수병종
① 수전패 - 전직관료 중 군전이나 과전을 받고 서울에서 시위근무
무수전패 - 전지를 받지 못하고 시위 근무
② 직업군 - 갑사.별시위.친군위.내금위.내시위.겸사복.선전관
③ 귀족숙위군 - 족친위(국왕의 친족, 공신.훈신의 자제), 공신적장, 충의위, 충찬위, 충순위
후기에 양반의 숫자는 늘고, 관직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군역에 들어가야할 사람이 많아지자, 군포로 군역을 대신함r

추천자료

  • 가격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1.06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10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