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게임이론의 이론적 배경
Ⅲ. 게임의 예
Ⅳ. 사례분석 - 한·미 자동차협상의 게임이론적 접근
Ⅴ. 결론 - 게임이론의 한계와 유용성
Ⅱ. 게임이론의 이론적 배경
Ⅲ. 게임의 예
Ⅳ. 사례분석 - 한·미 자동차협상의 게임이론적 접근
Ⅴ. 결론 - 게임이론의 한계와 유용성
본문내용
각 참여자는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논리적 분석을 한다. 즉 이성적인 참여자는 이성적인 상대방을 가정한다. 하지만 실제 상황에서 모든 참여자가 똑같이 이성적으로 행동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참여자들이 다툼과 협력의 상황에서 어느 정도로 이성적 행동을 하느냐 하는 문제는 그 자체가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게임이론의 영역이 될 수가 있다.
3) 두 참여자의 이해가 상충되지 않는 경우 게임에 대한 분석이 없다.
게임이론 전개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두 참여자의 이해가 완전하게 상충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러한 게임에 대한 분석이 없다는 것이다. 게임이론이 제공하는 것은 다양한 흥미로운 예들, 분석, 제안, 그리고 상황에 대한 부분적인 기술이다.
2. 게임이론의 유용성
이제 끝으로 게임이론의 유용성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고, 게임이론을 현실에 적용하는 데 있어 유의해야 할 점을 지적하도록 하겠다. 게임이론의 유용성으로는 무엇보다도 그 적용범위가 대단히 넓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어느 정도 합리적인 행위자간의 상호작용이 있는 상황은 모두 게임이론적 틀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과학 전체를 통하여 게임이론적 틀을 적용할 수 있고, 그런 만큼 한 분야에서의 연구성과를 쉽게 다른 분야에 변형·적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실제 게임을 풀지 않고서도 게임이론적으로 사고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정도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게임이론의 유용성은 또한 게임이론적 모델이 '형식모델(formal model)'이라는 사실에서 파생된다. 형식모델에서는 그 모델의 가정, 결론 및 가정에서부터 결론의 도출과정을 명백하게 제시해야 하며, 분명한 논리에 의해 결론이 가정으로부터 도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형식모델에서는 암묵적 가정 및 불명확한 논리를 배제할 수 있고, 가정이 달라지면 정확히 어떤 식으로 결론이 변경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형식모델의 사용이 지식의 축적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것은 다시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물론 형식모델의 이러한 엄격성(rigor)의 요구 때문에 다룰 수 있는 문제의 범위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을 항상 인식해야 할 것이다. 게임이론도 하나의 도구이며, 도구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야 할 일이 그에 유용한 도구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모든 이론 혹은 모델은 현실로부터 '추상(abstraction)'한 것이다. 현실 혹은 현실의 일부를 이해·설명하기 위해 추상은 실질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만을 추출하는 것이다. 추상화의 정도가 너무 심해도 현실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이 될 수 없고, 추상화의 정도가 너무 약한 경우에도 모델의 복잡성만 더해지지 현실의 이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주어진 상황에 대한 게임의 전개형 혹은 전략형을 구성하는 것 역시 추상화를 필요로 한다. 게임이론적 모델은 게다가 그 게임을 풀 수 있기 위해서는 다른 모델보다 더 단순해야 할 경우가 많다. 참가자를 누구로 할 것인가? 누가 언제 움직이며, 각 참가자에게 가능한 행동은 무엇인가? 참가자의 몫은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불완전정보를 도입한다면 어떤 형식으로 도입할 것인가? 이런 근본적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게임이론적 지식도 필요하지만 주어진 상황에 대한 어느 정도의 전문적 지식도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게임이론을 주로 추상적 수준에서 논리적 비판의 도구로 사용하여 이러한 전문성의 필요성이 거의 필요 없었지만 특정 상황을 설명 혹은 예측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대로 된 추상에 의한 모델 구성이 필요하다. 게임이론은 분석자가 활용해야 할 도구이지, 분석자에게 모자라는 상황에 대한 전문성을 보충해 주지는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3) 두 참여자의 이해가 상충되지 않는 경우 게임에 대한 분석이 없다.
게임이론 전개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두 참여자의 이해가 완전하게 상충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러한 게임에 대한 분석이 없다는 것이다. 게임이론이 제공하는 것은 다양한 흥미로운 예들, 분석, 제안, 그리고 상황에 대한 부분적인 기술이다.
2. 게임이론의 유용성
이제 끝으로 게임이론의 유용성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고, 게임이론을 현실에 적용하는 데 있어 유의해야 할 점을 지적하도록 하겠다. 게임이론의 유용성으로는 무엇보다도 그 적용범위가 대단히 넓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어느 정도 합리적인 행위자간의 상호작용이 있는 상황은 모두 게임이론적 틀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과학 전체를 통하여 게임이론적 틀을 적용할 수 있고, 그런 만큼 한 분야에서의 연구성과를 쉽게 다른 분야에 변형·적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실제 게임을 풀지 않고서도 게임이론적으로 사고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정도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게임이론의 유용성은 또한 게임이론적 모델이 '형식모델(formal model)'이라는 사실에서 파생된다. 형식모델에서는 그 모델의 가정, 결론 및 가정에서부터 결론의 도출과정을 명백하게 제시해야 하며, 분명한 논리에 의해 결론이 가정으로부터 도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형식모델에서는 암묵적 가정 및 불명확한 논리를 배제할 수 있고, 가정이 달라지면 정확히 어떤 식으로 결론이 변경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형식모델의 사용이 지식의 축적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것은 다시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물론 형식모델의 이러한 엄격성(rigor)의 요구 때문에 다룰 수 있는 문제의 범위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을 항상 인식해야 할 것이다. 게임이론도 하나의 도구이며, 도구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야 할 일이 그에 유용한 도구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모든 이론 혹은 모델은 현실로부터 '추상(abstraction)'한 것이다. 현실 혹은 현실의 일부를 이해·설명하기 위해 추상은 실질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만을 추출하는 것이다. 추상화의 정도가 너무 심해도 현실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이 될 수 없고, 추상화의 정도가 너무 약한 경우에도 모델의 복잡성만 더해지지 현실의 이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주어진 상황에 대한 게임의 전개형 혹은 전략형을 구성하는 것 역시 추상화를 필요로 한다. 게임이론적 모델은 게다가 그 게임을 풀 수 있기 위해서는 다른 모델보다 더 단순해야 할 경우가 많다. 참가자를 누구로 할 것인가? 누가 언제 움직이며, 각 참가자에게 가능한 행동은 무엇인가? 참가자의 몫은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불완전정보를 도입한다면 어떤 형식으로 도입할 것인가? 이런 근본적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게임이론적 지식도 필요하지만 주어진 상황에 대한 어느 정도의 전문적 지식도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게임이론을 주로 추상적 수준에서 논리적 비판의 도구로 사용하여 이러한 전문성의 필요성이 거의 필요 없었지만 특정 상황을 설명 혹은 예측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대로 된 추상에 의한 모델 구성이 필요하다. 게임이론은 분석자가 활용해야 할 도구이지, 분석자에게 모자라는 상황에 대한 전문성을 보충해 주지는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 르노삼성자동차
- 합리적 선택이론과 외교정책
- 르노의 삼성자동차 인수 관련 분석
- 한-미 FTA와 한국경제의 미래--자동차부분
- 한미FTA와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미래
- (놀이지도A형)놀이의 정신분석이론과 인지이론을 비교
- 사회행동의 이론(사회행동모델, 대중동원모델)과 사례(용산철거민, 풀뿌리시민 운동 등)
- 한국의 노사관계 사례(농협, KBS, LG전자, 현대자동차) 및 나아가야 할 방향
- 한미 fta와 자동차 (긍정적 영향)
- 현대적 놀이이론과 적용(표지포함)
- 한미 FTA 자동차 산업의 추진 방안과 대응 방안
- 사회심리학 행동주의 이론의 이해와 응용
- [공업][공업 입지][중화학공업][자동차공업][항공우주공업]공업의 입지, 공업과 후기공업사회...
- 체계이론을 정리한 뒤,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에서 체계이론이 갖는 의의에 대해서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