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7차 교육과정의 특성
2.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3.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
4. 수준별 교육과정
2.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3.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
4. 수준별 교육과정
본문내용
일수록 학생의 개인차가 충실히 고려되는 교육이며, 교육의 개별화는 교육선진 정도의 가장 중요한 척도가 되므로, 학생들의 잠재 능력의 발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개인차를 고려한 교육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교개위가 이제까지의 우리 학교 교육을 단편적인 지식만을 주입하는, 현실로부터 유리된 암기 위주의 임시교육으로 규정하였고, 이러한 입시 위주 교육의 병폐는 인성·도덕 교육의 결핍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과 적성을 계발하고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교육을 어렵게 함으로써 학교 교육이 현실 속에서 살아 숨쉬는 산교육이 되지 못하였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과중한 사교육비와 같은 개인적 교육력의 낭비를 막고, 학생들의 능력, 정성, 필요, 흥미에 대한 개인차를 최대한 고려함으로써 학생 개개이의 성장 잠재력과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입한 것이 바로 수준별 교육과정이다.
국민 공통 기본 교과 중 다음의 교과는 수준별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한다.
(가) 수학 교과는 1학년부터 10학년까지 10단계, 영어 교과는 7학년부터 10학년까지 4단계를 두고, 간 단계별로 학기를 단위로 하는 2개의 하위 단계를 설정하여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국민 공통 기본 교과 중 다음의 교과는 수준별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한다.
(가) 수학 교과는 1학년부터 10학년까지 10단계, 영어 교과는 7학년부터 10학년까지 4단계를 두고, 간 단계별로 학기를 단위로 하는 2개의 하위 단계를 설정하여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7차교육과정중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론
' 7차교육과정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제와 문제점 분석'에 관한 보고서
A+ 7차교육과정 ; 수준별 교육과 그 사례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논란(문제점)과 제언
수준별 교육과정 도입의 필요성과 시행상 문제점 및 찬반논쟁
상업계 고등학교(상고) 특징과 의의, 상업계 고등학교(상고) 교육과정과 수준별교육과정, 상...
자기주도적학습력의 정의와 가치, 자기주도적학습력과 수준별교육과정, 자기주도적학습력과 ...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실태와 지도중점,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수준별...
수학과(수학교육)의 목표, 수학과(수학교육)의 교재, 수학과(수학교육)의 내용, 수학과(수학...
수학과(수학교육) 열린교육 이론과 내용, 수학과(수학교육) 열린교육과 창의성계발, 수학과(...
[교육과정]수준별 교육과정의 제문제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정의와 특징,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과 운영 방향, ...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방침과 운영방침,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대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