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 경쟁력 강화와 정보보호기술 개발 전략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전자상거래와 경쟁력 강화
2.1 개념 및 정의
2.2 주요 이슈
2.3 시장 분류
1) 전자상거래 제품판매 시장
2) 전자상거래 환경구축 시장
2.4 경쟁력 강화 방안
1) 제품판매 시장의 경쟁력 강화
2) 환경구축 시장의 경쟁력 강화

3. 전자상거래 정보보호 기술 개발 전략
3.1 기술 분류
3.2 국내 현황 및 문제점
1) 선도적 기술 개발의 부재
3.3 대응 전략
1) 보안 프로토콜 분야
2) 지불 프로토콜 분야
3) 전자화폐 시스템 분야

4. 결론

본문내용

비용 : SET 개발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더욱이 개발된 제품의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미국의 검사기관인 SETCo에 많은 수수료를 납부해야만 하는 실정이다. 국내에서 개발된 제품들은 현재까지 SETCo에 인증 신청을 하지 않은 상태이며, 이것은 국제호환이 아닌 국내에서만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SET용 인증기관은 별도로 마스터카드社나 비자카드社의 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아야 하며, 그 과정에서 수만불에 이르는 수수료가 요구된다. 이러한 SET 시스템 구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Non-SET 형태인 독자적 지불프로토콜이 일부 업체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강원도청 전자상거래 사업에는 이니텍(주)이 참여하여 자사의 지불 시스템을 구축한바 있다. 커머스넷코리아의 인증기관 서버는 IBM Registry 인증기관 서버를 도입 하였고, KCP는 GTE CyberTrust 인증기관 서버를 도입하여 시험 운용 중이다.
[표] 국내 보안업체에 의해 개발된 인증기관 서버 제품
업체명
제품명
비고
소프트포럼
SFCA V2.5
개발완료, 판매중
이니텍
이니텍 CA V2.5
개발완료, 판매중
장미디어 인터렉티브
JMI CA V2.0
개발완료
에버 소프트
Es-CA
개발완료(시제품)
삼성SDS
Trust Pro
개발완료(시제품)
세넥스
ASSURE CA
개발완료(시제품)
다. 국내 개발 가능성 및 타당성 : Non-SET 유형의 지불 프로토콜은 이미 몇몇 업체에 의해 개발, 사용 중이며, 그 기술 또한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국내 SET 시스템 구축업체가 국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사용자 전자지갑, 머천트 서버, 지불게이트웨이 서버 등의 국산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더불어 SETCo의 인증마크 획득을 통하여 대외 수출의 기반을 마련해야만 할 것이다. 미국의 IBM, HP 등은 자사의 H/W에 머천트서버나 PG서버를 탑재한 시스템을 Turnkey 방식으로 일괄 판매하는 등, SET 관련 솔루션의 판매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지불 프로토콜 분야는 보안 프로토콜과는 달리 응용 계층에서의 작업이기 때문에 설계 및 개발이 국내 기술에 의해 추진될 수 있으며, 지불 프로토콜에 대해 SET과 같은 형식의 국내 표준을 제정함으로써 국내 보안관련 업체들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특화된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3) 전자화폐 시스템 분야 : 전자화폐 프로토콜 분야는 몇몇 연구기관에 의해 일부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나, 국가 프로젝트나 기업체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례는 없다.
가. 기술개발 현황 : 전자화폐 분야는 인터넷 기반이 아닌 오프라인 방식의 일반 직불카드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시스템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나, 현재는 인터넷 전자상거래와 접목되어 개발 전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유 럽의 Mondex나 Ecash가 가장 앞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의 NTT는 1997년부터 전자화페 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1999년부터 시범 서비스를 예정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금융결제원을 중심으로 은행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산하의 "전자화폐연구회" 등에서 소규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화폐 시스템은 보안 프로토콜이나 지불 프로토콜과는 달리 웹 기반 기술보다는 스마트카드나 관련 장비에 대한 H/W 및 S/W 기술이 요구되며, 국내의 하드웨어 기술은 유럽의 수준과 많은 격차를 보이고 있다.
나. 시장성 : Mondex는 현재 유럽을 중심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 및 호주도 Mondex 시스템을 도입 구축하고 있다. Ecash는 미국의 Mark Twain 은행과 협력하여 전자화폐 발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크게 확산되고 있는 상태는 아니다. 그러나, 전자화폐 시스템은 지불 프로토콜에 기반을 둔 지불시스템을 대치할 미래지향적 기술로 뛰어난 안전성, 사용의 편리성(온라인 및 오프라인지원),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장 등의 강력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서 미래 전자상거래 시장의 독점적인 지불수단으로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 비용 : 일반 지불 프로토콜 개발에 비해 기술개발 및 구현이 다소 어려우며, 특히 암호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라. 국내 개발 가능성 및 타당성 : 전자화폐 시스템 개발은 프로토콜 설계 부분과 시스템 구축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프로토콜 설계 부분은 전자서명 알고리즘, 은닉서명 알고리즘 등의 요소기술 알고리즘을 필요로하며, 더불어 그것들을 기반으로 인출 프로토콜(은행과 사용자간), 지불 프로토콜(사용자와 상점간), 예치 프로토콜(은행과 상점간)에 대한 설계능력이 요구된다. 국내에는 현재 KCDSA 전자서명 알고리즘이 표준화중이나 나머지 프로토콜 설계 부분에 대한 기반기술은 확보치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국산 전자서명 알고리즘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연구개발이 진행된다면 개발 가능성은 충분하다. 시스템 구축 부분은 스마트 카드 및 관련 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가 필수적이다. 결론적으로,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을 통해 집중적인 전략사업으로 육성한다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4. 결론
본 글에서는 전자상거래의 글로벌한 전개에 우리나라의 몫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자상거래의 전개가 만들어내는 두 개의 시장을 구분하고, 각각의 시장이 진화해 나가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슈들을 논거하였다. 이러한 이슈들 중에서 정보보호 기술이 관여하는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가지고 대응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전자상거래 환경구축 시장에서의 보안, 인증, 개인정보보호 이슈를 포함하여 정보보호 기술을 분류하고, 각각의 세계 기슬 현황을 점검하고, 우리의 기술 개발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전자상거래 행위의 기본 4 구성요소 중에서 지불 분야의 정보보호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앞으로 이들 4 구성요소 외에도 공증 서비스(계약서 서명, 인증 우편, 타임스탬핑), 다자간 시큐리티, 익명성, 온라인 분쟁해결 등을 지원하기 위한 메커니즘 기술 등에 관심을 갖고 투자하여 이 분야의 기술을 선점할 수 있는 선도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 가격1,8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3.12.09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2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