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성격

2. 이탈리아 르네상스

3. 르네상스의 확대

4. 르네상스의 과학 정신

본문내용

1452-1519)의 [최후의 만찬], [모나리자]는 그의 인체 해부를 통한 연구로 사실
이상의 심미를 화면에 펼쳐 주고 있다. 그는 사실적인 회화를 위하여 광학 해부
학을 위시한 자연과학적 소양을 겸비한 다면성을 지녔고 그러면서도 이를 회화라
는 목적에 통일시킨 천재였다. 미켈란젤로(Michelangelo, 1475-1564)의 [천지창
조], [최후의 심판] 및 라파엘(Raphael, 1483-1520)의 [성모상], [아테네 학당]
은 다 같이 부드러움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르네상스의 확대
지리상의 발견에 따른 번영 중심지의 이동은 알프스 이북의 여러 지방에도 자치
도시의 성립과 부의 축적을 가능케 하였다. 이제 각 지역은 이탈리아의 성기 르
네상스 문화를 받아들일 여유가 생겼고 나아가 독자적 르네상스의 성립 여건을
조성하게 되었다. 더우기 종이와 금속 활자의 보급은 지식의 보편화 내지 대중화
를 예비하였다.
호이징가(Huizinga), 하이마(Hyma) 등은 북유럽 르네상스의 비중을 강조하여 [이
탈리아 르네상스가 심미적 특징을 추구하였다면 북유럽은 사회 윤리, 종교 등 광
범위한 실제 생활과 관련된 여러 특징을 그 고유의 것으로 했다]고 밝혔다. 즉
이탈리아의 그것에 비하여 보다 더 내성적이요, 학구적이요 비판적이었다는 이야
기이다. 이탈리아 휴머니스트와 달리 고전을 대함에 있어 모방보다는 비판에 치
중했고, 봉건 세력의 후원을 받은 바 없는 이들은 누구보다도 교회나 교황에 대
해서도 비판적이었다.
북유럽 최대의 휴머니스트인 에라스무스(Erasmus, 1466-1536)는 그우 {우신례찬}
에서 가톨릭의 광신, 교회의 폐해, 성직자의 부패를 여지없이 비판하여 종교 개
혁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해 주었다. 그의 영향은 네덜란드에 국한된 것이 아니었
고 바다를 건너 영국의 토마스 모어(Thomas More, 1478-1535)에게도 감화를 주었
다.
모어의 {유토피아}(Utopia)는 당시의 영국의 사회 정치를 비판한 것으로 공상적
인 이상향을 그려 현실을 이에 접근시키려는 사회 개혁적 성격을 가진 것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중세적 교회의 개혁을 원하였을 뿐 혁명을 내세운 것은 아니었다.
사회 개혁고 가톨릭에 의한 정신적 개혁을 통하여 수행하려고 한 것이다. {동키
호테}(Don Quixote)를 저술한 스페인의 세르반테스(Cervantes, 1547-1616)는 중
세의 기사도를 유희화하면서도 사실적 수법으로 주인공 동키호테의 행동 속에서
인간적인 것을 나타내 주고 있다. 이 밖에도 프랑스의 라블레(Rablais,
1494-1553)는 {가르강튀아(Gargantua) 이야기}와 몽테뉴(Montaigne, 1533-92)의
{수상록}(Essaies)은 다 같이 깊은 인간의 반성을 보인것으로 후자는 근대 최초
의 에세이가 되었다.
그러나 합리적인 사색의 방법이 개척되었지만 교회의 세계관이 굳건히 신봉되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경향이 널리 유포될 수는 없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같은 천재적인 과학자가 나왔으되 이를 이어 받아 발전시킬 사람은 없었다. 르네
상스 시대의 과학의 한계성은 바로 여기에 있었다.
코페르니쿠스(Copernicus, 1473-1543)는 지동설을 내세웠으나 교회의 압력으로
철회하였고, 그 설은 뒤에 나타난 케플러(Kepler, 1571-1630)와 갈릴레이
(Galiliei, 1564-1642)에 의하여 입증될 수 있었다. 다만 사회 변혁에 직접 관계
가 있었던 것은 화약, 나침반, 인쇄기 등의 발명 정도였다. 이것들은 봉건 기사
의 몰락, 신항로 개척 그리고 책자의 보급에 각각 공헌하였다.
르네상스의 과학 정신
르네상스 시대가 근대 과학의 진정한 출발점이 되는가 아닌가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의 견해가 구구하므로 확정된 판단을 내리기가 어렵다. 그러나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모든 역사적 혁명이란 아무런 준비 없이 돌발적으로 일어나지는 않
았다는 점이다.
17세기에 이르러 근대 과학의 이론적 혁명이 완성된 것도 사실이지만 그것은 르
네상스 시대의 과학 탐구의 결과를 토대로 비로소 가능하였다. 즉 르네상스에 있
어서 자연관의 확대나 우주론의 혁신 등이 근대 과학의 형이상학적 기초를 마련
해 놓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과학사에 있어서 르네상스의 위치는 중세 말기와 더
불어 근대 과학의 준비기라고 말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중세와 고대로부터 그들에게 전달된 과학적 지식을 흡수하고 확대시
키고 비판하고 수정하였다. 과거의 스콜라 철학의 전통을 따르는 학자, 새로운
휴머니스트들 그리고 모든 종류의 예술가와 수공업자들이 전부 이 중요한 준비작
업에 공헌하였다고 할 수 있다.
스콜라 철학은 결코 반과학적이 아니었다. 스콜라 철학자들의 지적 훈련, 그들의
정밀한 연구의 습성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열의 등은 어떤 의미에서는
그들을 과학혁명의 선구자로 만들었다. 이러한 스콜라 철학의 전통은 중세 말기
에 이르러 쇠퇴해 버린 뒤에도 그 생명을 계속해서 유지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는 특히 파리 대학과 북부 이탈리아의 파두아 대학에서 계속해서 정력적으로
추구되었다.
한편 휴머니즘은 과학의 전진을 저지하기도 하였다. 고전 고대를 숭상하는 나머
지 그 권위를 높이 받들어 불허하는 경향으로 흘렀던 것이다. 프톨레마이오스가
가르친 천문학이나 같은 세기에 갈레노스가 가르친 의학을 개량하고 진보시킬 수
있다고 믿은 르네상스 휴머니스트들은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하튼 르네상스시대의 과학은 형이상학적인 면이 많다. 물론 관찰과 실험은 중
요시했고 또한 실용효과도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불충분한 것이었다. 실험이나
관찰과 형이상학적 결론과는 메울 수 없는 간격이나 비약이 있었다. 그렇지만 르
네상스인은 우선적으로 실험이나 관찰로써 확증될 수 있는 것만이 진리라고 하였
고 그 이외의 것은 불가지한 것으로 유보한다는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여하튼
모든 관찰을 귀납하고 거기서 형이상학적 원리를 내세워 모든 것을 연역한다는
태도를 취하였으니 이러한 태도는 희랍의 자연 과학자들의 정신과 유사하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12.12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