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을 통해 본 정치와 책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한산성을 통해 본 정치와 책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임진왜란과 조.명 관계의 변화

2. 조.명 교체와 조선 집권층의 대응

3. 역사에서 무엇을 읽어야 하는?

4. 용기있는 자만이 자기 상처를 볼수 있다.

본문내용

의 유명한 〈春望〉 첫 구절이다. - 옮긴이)이라고 두보는 울지만 나라는 망하고 산과 물만 남았다는 것 아닙니다. 전쟁 나서 만호장안이던 서울이 쑥밭이 됐다는 것 아닙니다. 거기까지 갈 겨를이 없습니다. 적병이 눈에 뵈고 칼 소리가 귀에 들리기 전엔, 산이 산으로 뵈고 물이 물로만 뵈며 풀과 나무가 풀과 나무로만 만져지게 될 때 나라는 벌써 없습니다. 나라는 산 하나입니다. 역사는 숨쉬는 것입니다. 가를 수 없이 하나요 산 것이 나라요 역사입니다. 땅과 사람과 주권이 합해서 나라가 된 것이 아닙니다. 나라가 깨져서 땅으로 사람으로 주권으로 갈라지는 것입니다. 나라 내놓고 산과 물이 따로 있을 수 없고 나 내놓고 풀과 나무가 혼자 자랄 수 있는 것 아닙니다. 전쟁이 나서 나라가 깨지는 것이 아니라 나라가 깨졌으므로 난리가 나는 것입니다. 생각하여 보십시오. 씨뿌리고 거두는 농사군에게 산천초목이 따로 있습니까? 시 읊고 그림 그리는 예술가에게 거기 서있는 자연이란 것이 따로 있겠습니까? 산 살림이 있을 뿐입니다. 과학자에게 있어서까지도 역사를 빼논 자연은 있을 수 없습니다.
함석헌, 〈역사의 격전지를 찾아서 ① 남한산성〉(《사상계》 1968년 7월호) 중에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1.19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1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