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탐구 수업의 개념
2. 탐구 수업의 기본 원리
3. 사회과 탐구 수업의 모형(교수-학습 과정의 모형)
<표 1> 사회 탐구 수업 모형
<도식 1> Massialas의 사회 탐구 수업 모형
가. 안내
나. 가설
다. 정의
라. 탐색
마. 증거 제시
바. 일반화
▶사회과 탐구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4. 탐구의 성격
(1) 탐구의 특성
가. 지식의 본질
나. 방법적 지식
다. 배경적 지식
(2) 탐구의 태도
가. 호기심
나. 회의감
다. 모호성의 용인
라. 합리성의 존중
마. 증거의 존중
바. 객관성
사. 판단의 보류.
5. 탐구 학습의 특징
▶ 과학주의, 학문중심 교육과정, 실증주의적 입장.
▶ 탐구 학습이 올바르게 진행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탐구 학습의 특징.
6. 교사의 역할에 의한 탐구 수업
(1) 교사 주도형 탐구 수업
(2) 교사 안내형 탐구 수업
(3) 아동 주도형 탐구 수업
7. 탐구 학습에서 제기되는 문제점과 해결안(반론)
8. 사회과 탐구 학습의 예
▶ 2학년 1학기-슬기로운 생활에서 발췌
예시1)
예시2)
예시3)
2. 탐구 수업의 기본 원리
3. 사회과 탐구 수업의 모형(교수-학습 과정의 모형)
<표 1> 사회 탐구 수업 모형
<도식 1> Massialas의 사회 탐구 수업 모형
가. 안내
나. 가설
다. 정의
라. 탐색
마. 증거 제시
바. 일반화
▶사회과 탐구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4. 탐구의 성격
(1) 탐구의 특성
가. 지식의 본질
나. 방법적 지식
다. 배경적 지식
(2) 탐구의 태도
가. 호기심
나. 회의감
다. 모호성의 용인
라. 합리성의 존중
마. 증거의 존중
바. 객관성
사. 판단의 보류.
5. 탐구 학습의 특징
▶ 과학주의, 학문중심 교육과정, 실증주의적 입장.
▶ 탐구 학습이 올바르게 진행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탐구 학습의 특징.
6. 교사의 역할에 의한 탐구 수업
(1) 교사 주도형 탐구 수업
(2) 교사 안내형 탐구 수업
(3) 아동 주도형 탐구 수업
7. 탐구 학습에서 제기되는 문제점과 해결안(반론)
8. 사회과 탐구 학습의 예
▶ 2학년 1학기-슬기로운 생활에서 발췌
예시1)
예시2)
예시3)
본문내용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목표 설정이 가능 .
(5)학습자의 사고력, 탐구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학생 중심의 수업과정
(6)탐구라는 의미가 포괄적, 다양해서 개념이 모호함.
(7)과학의 목적과 교육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려고 함: 혼란 발생이 우려.
(8)탐구 학습에서는 부진아, 지진아는 따라가지 못한다.
(9)탐구 과정은 사회 사실을 통해 원리를 추구하는 과정인데, 현실적으로는 사회적 사상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탐구 학습이 올바르게 진행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탐구 학습의 특징.
(1)자유롭게 토의하고 조사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학생들의 모든 의견이나 명제는 수준과 난이도를 벗어나 다른 학생들에 의하여 고려되고, 어떤 결론을 내릴 때 적절한 영향을 미칠 수가 있어야 한다.
또한 모든 명제는 미결정의 특수성을 지녀야 한다. 문제가 너무 쉬우면 진지한 탐구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이며 학생들이 질문에 답하기 어려운 문제가 제기 되었을 때에도 교사는 학생들과 같이 문제 해결의 분위기에 뛰어들어 진지한 탐구 분위기를 조성하여야 한다.
(2)가설을 중요시한다. 교실에서의 탐구 활동은 가설을 추론해 낼 수 있는 활동이어야 한다.
즉, 토의는 중구난방 식으로 행해져서는 안 될 것이며 가설은 문제해결의 방안이며 잠정적 결론의 의미를 가져야 하는 것이다.
(3)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사실적 지식의 획득과 처리 능력이 충분히 발휘되어 의미 있는 관련 정보의 수집활동으로 이어져야 한다. 즉, 단순한 기억 활동과는 차이가 있는 것이다. 탐구 교실에서의 사실적 지식의 취급은 어떤 상황 또는 양식 속에서 관련 정보를 다루는 것으로서 응용력, 전이력 발휘와 관련이 깊다.
탐구 교실의 특징은 민주적 풍토, 가설의 초점 탐구, 가설을 입증하기 위한 사실적 지식의 효과적인 사용이다. 이는 학생들이 어떠한 문제를 자유로운 탐구 분위기 속에서 논리적으로 해결해 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6. 교사의 역할에 의한 탐구 수업
(1) 교사 주도형 탐구 수업
탐구의 일반 절차, 문제인지-가설 수립-가설 검증-일반화의 과정을 교사가 발문을 중심으로 이끌어 가는 수업이다. 아동의 비판적 사고의 과정보다는 교사의 설명식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아동이 수동적인 위치로 수업에 임하여 지루한 학습 형성, 학습 의욕 자극 가능성의 희박, 아동의 수용능력을 무시한 양적 주입의 수업 우려 등의 문제들을 가져 올 수도 있다. 하지만, 교사가 많은 관심을 쏟아 주도적으로 수업을 진행 할 때 획일적 교육과정의 단점 극복, 아동들의 요구를 적절히 고려, 교사 자신의 교육관에 대한 욕구 실현의 긍정적인 이점을 가지기도 한다.
(2) 교사 안내형 탐구 수업
교사의 과제제시에 대하여 아동이 중심이 되어 교사의 안내를 받으면서 스스로 문제를 인지하고 가설을 설정하여 사고-탐구 활동이 활발히 작용하는 수업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아동은 주입되는 지식을 암기하기 보다 아동들 스스로 사회현상에 대하여 탐구하므로 교사 주도형보다 활발한 탐구가 이루어진다.
(3) 아동 주도형 탐구 수업
하나의 문제에서 출발, 자료의 수집 정리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여 일반화를 추구해 가는 일련의 아동의 주체적 사고 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수업 모형으로 교사는 자료 안내의 역할을 가지고 그 밖의 문제인지, 가설설정, 검증, 일반화의 전 과정 등은 아동에게 주체적으로 맡겨진다. (ex.교사가 아동에게 한 학기에 해결가능 한 과제를 개별, 조별로 제시한다.)
7. 탐구 학습에서 제기되는 문제점과 해결안(반론)
(1) '잘못된 가설을 세우는 학생들은 어떻게 해야 하나?'
:가설 그 자체는 맞는 것도 틀린 것도 아니다.
(2) '탐구 수업이 영리한 학생들과 함께 운용될 수 있지만 학습지진아 에게는 확실히 적합하지 못하다.'
:영리한 학생들은 가설을 세우기 위해 격려를 필요로 하지만, 학습 지진아는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일련의 탐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안내를 받을 필요가 있다. 즉, 교사의 노력으로 둘 다 탐구에 참여 할 수 있는 것이다.
(3) '탐구 수업은 속임수이다. 그것은 역시 교사 중심적이며 참된 탐구가 아니다.'
:교사는 학습목표에 따라 학습상황을 지배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어느 경우에도 효과적인 탐구 학습 교사는 재래적 교사, 일방적 교실에서의 교사보다 지배적이고 지시적일 수는 없다.
(4) '대부분의 학생들은 탐구를 할만큼 충분하게 알고 있지 못하다.'
:정보를 소유하게 될 때까지 탐구를 지연시킨다는 것은 탐구에 의해서 경험을 축적하게 된다는 사실을 무시하는 것이다. 실로 탐구 그 자체는 학생들이 가설을 검증 할 수 있는 정보를 모으도록 요구하고 있기도 하므로 학생들은 탐구 학습에 참여 할 때 정보를 알게 된다.
8. 사회과 탐구 학습의 예
2학년 1학기-슬기로운 생활에서 발췌
예시1)
단원1 中 학교 다니는 길
학교에 다니는 길 알아보기(안전한 길, 빨리 가는 길...)
안전하게 찻길을 건너는 방법 알아보기(육교. 횡단보도 이용, 푸른 신호등 일 때 건너기..)
길을 걸을 때 주의해야 할 일 알아보기(좌측 통행, 장난치지 않기....)
예시2)
단원2 中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
밤하늘 모습 관찰하기(낮에 보이지 않던 별 등이 잘 보임..)
달의 모양 변화 관찰, 조사하기(날짜에 따른 여러 가지 변화들...)
하루 저녁의 보름달의 움직임 관찰하기(시간에 따라 동에서 서로 움직임..)
예시3)
단원3 中 새싹이 자라는 모습 관찰하기
여러 가지 새싹 관찰하기(봉숭아, 수세미, 호박...)
새싹이 자라는 모습을 관찰, 기록장에 기록하기(생김새, 크기, 색깔...)
식물이 잘 자라도록 돌보기(화단, 화분의 식물들 가꾸기..)
참고 서적
1. 초등 사회과 교육(진주 교육 대학교. 정호범)
2. 사회과 탐구학습에서 교사의 역할이 아동의 탐구기능 신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사회과 교육 전공. 1997. 석사 학위 논문)
3. 사회과 탐구 논리(베이어 .베리.K. 서울교육 과학사. 1988)
4. 초등사회과 교재연구(이양우. 삼흥문화. 1999)
5. 사회과 탐구학습의 효과(고재중. 1993)
(5)학습자의 사고력, 탐구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학생 중심의 수업과정
(6)탐구라는 의미가 포괄적, 다양해서 개념이 모호함.
(7)과학의 목적과 교육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려고 함: 혼란 발생이 우려.
(8)탐구 학습에서는 부진아, 지진아는 따라가지 못한다.
(9)탐구 과정은 사회 사실을 통해 원리를 추구하는 과정인데, 현실적으로는 사회적 사상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탐구 학습이 올바르게 진행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탐구 학습의 특징.
(1)자유롭게 토의하고 조사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학생들의 모든 의견이나 명제는 수준과 난이도를 벗어나 다른 학생들에 의하여 고려되고, 어떤 결론을 내릴 때 적절한 영향을 미칠 수가 있어야 한다.
또한 모든 명제는 미결정의 특수성을 지녀야 한다. 문제가 너무 쉬우면 진지한 탐구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이며 학생들이 질문에 답하기 어려운 문제가 제기 되었을 때에도 교사는 학생들과 같이 문제 해결의 분위기에 뛰어들어 진지한 탐구 분위기를 조성하여야 한다.
(2)가설을 중요시한다. 교실에서의 탐구 활동은 가설을 추론해 낼 수 있는 활동이어야 한다.
즉, 토의는 중구난방 식으로 행해져서는 안 될 것이며 가설은 문제해결의 방안이며 잠정적 결론의 의미를 가져야 하는 것이다.
(3)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사실적 지식의 획득과 처리 능력이 충분히 발휘되어 의미 있는 관련 정보의 수집활동으로 이어져야 한다. 즉, 단순한 기억 활동과는 차이가 있는 것이다. 탐구 교실에서의 사실적 지식의 취급은 어떤 상황 또는 양식 속에서 관련 정보를 다루는 것으로서 응용력, 전이력 발휘와 관련이 깊다.
탐구 교실의 특징은 민주적 풍토, 가설의 초점 탐구, 가설을 입증하기 위한 사실적 지식의 효과적인 사용이다. 이는 학생들이 어떠한 문제를 자유로운 탐구 분위기 속에서 논리적으로 해결해 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6. 교사의 역할에 의한 탐구 수업
(1) 교사 주도형 탐구 수업
탐구의 일반 절차, 문제인지-가설 수립-가설 검증-일반화의 과정을 교사가 발문을 중심으로 이끌어 가는 수업이다. 아동의 비판적 사고의 과정보다는 교사의 설명식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아동이 수동적인 위치로 수업에 임하여 지루한 학습 형성, 학습 의욕 자극 가능성의 희박, 아동의 수용능력을 무시한 양적 주입의 수업 우려 등의 문제들을 가져 올 수도 있다. 하지만, 교사가 많은 관심을 쏟아 주도적으로 수업을 진행 할 때 획일적 교육과정의 단점 극복, 아동들의 요구를 적절히 고려, 교사 자신의 교육관에 대한 욕구 실현의 긍정적인 이점을 가지기도 한다.
(2) 교사 안내형 탐구 수업
교사의 과제제시에 대하여 아동이 중심이 되어 교사의 안내를 받으면서 스스로 문제를 인지하고 가설을 설정하여 사고-탐구 활동이 활발히 작용하는 수업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아동은 주입되는 지식을 암기하기 보다 아동들 스스로 사회현상에 대하여 탐구하므로 교사 주도형보다 활발한 탐구가 이루어진다.
(3) 아동 주도형 탐구 수업
하나의 문제에서 출발, 자료의 수집 정리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여 일반화를 추구해 가는 일련의 아동의 주체적 사고 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수업 모형으로 교사는 자료 안내의 역할을 가지고 그 밖의 문제인지, 가설설정, 검증, 일반화의 전 과정 등은 아동에게 주체적으로 맡겨진다. (ex.교사가 아동에게 한 학기에 해결가능 한 과제를 개별, 조별로 제시한다.)
7. 탐구 학습에서 제기되는 문제점과 해결안(반론)
(1) '잘못된 가설을 세우는 학생들은 어떻게 해야 하나?'
:가설 그 자체는 맞는 것도 틀린 것도 아니다.
(2) '탐구 수업이 영리한 학생들과 함께 운용될 수 있지만 학습지진아 에게는 확실히 적합하지 못하다.'
:영리한 학생들은 가설을 세우기 위해 격려를 필요로 하지만, 학습 지진아는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일련의 탐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안내를 받을 필요가 있다. 즉, 교사의 노력으로 둘 다 탐구에 참여 할 수 있는 것이다.
(3) '탐구 수업은 속임수이다. 그것은 역시 교사 중심적이며 참된 탐구가 아니다.'
:교사는 학습목표에 따라 학습상황을 지배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어느 경우에도 효과적인 탐구 학습 교사는 재래적 교사, 일방적 교실에서의 교사보다 지배적이고 지시적일 수는 없다.
(4) '대부분의 학생들은 탐구를 할만큼 충분하게 알고 있지 못하다.'
:정보를 소유하게 될 때까지 탐구를 지연시킨다는 것은 탐구에 의해서 경험을 축적하게 된다는 사실을 무시하는 것이다. 실로 탐구 그 자체는 학생들이 가설을 검증 할 수 있는 정보를 모으도록 요구하고 있기도 하므로 학생들은 탐구 학습에 참여 할 때 정보를 알게 된다.
8. 사회과 탐구 학습의 예
2학년 1학기-슬기로운 생활에서 발췌
예시1)
단원1 中 학교 다니는 길
학교에 다니는 길 알아보기(안전한 길, 빨리 가는 길...)
안전하게 찻길을 건너는 방법 알아보기(육교. 횡단보도 이용, 푸른 신호등 일 때 건너기..)
길을 걸을 때 주의해야 할 일 알아보기(좌측 통행, 장난치지 않기....)
예시2)
단원2 中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
밤하늘 모습 관찰하기(낮에 보이지 않던 별 등이 잘 보임..)
달의 모양 변화 관찰, 조사하기(날짜에 따른 여러 가지 변화들...)
하루 저녁의 보름달의 움직임 관찰하기(시간에 따라 동에서 서로 움직임..)
예시3)
단원3 中 새싹이 자라는 모습 관찰하기
여러 가지 새싹 관찰하기(봉숭아, 수세미, 호박...)
새싹이 자라는 모습을 관찰, 기록장에 기록하기(생김새, 크기, 색깔...)
식물이 잘 자라도록 돌보기(화단, 화분의 식물들 가꾸기..)
참고 서적
1. 초등 사회과 교육(진주 교육 대학교. 정호범)
2. 사회과 탐구학습에서 교사의 역할이 아동의 탐구기능 신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사회과 교육 전공. 1997. 석사 학위 논문)
3. 사회과 탐구 논리(베이어 .베리.K. 서울교육 과학사. 1988)
4. 초등사회과 교재연구(이양우. 삼흥문화. 1999)
5. 사회과 탐구학습의 효과(고재중. 1993)
추천자료
초등학교 사회과 문제해결학습모형, 탐구학습모형
사회과교육과정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ICT, 국어과(...
(초과교1)탐구학습모형
5학년) <(수락)과 교수-학습 과정안 (99쪽(2/10)차시) 원리탐구학습> 7. 평면도형의 넓이 - ...
5학년)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사 114~116쪽, 사탐 88~89쪽(8/ 17)차시) 탐구학습모형>...
5학년)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109~110쪽 (2/3)차시) 탐구학습모형> 3-2. 조선의 문화...
4학년)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P.104~105 (10/17)차시) 탐구학습모형> 3. 더불어 살아...
유아의 인성과 창의성을 기르기 위해 어떤 교수학습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학습법...
유아들에게 탐구학습법을 적용할 때 적절한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고 간략하게 적...
다양한 교수학습유형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 유형에 맞는 만5세 유아용 활동계획안을 제시하여...
교수학습의 원리인 놀이중심/생활중심/개별화/자발성/구체성/다양성 및 융통성/탐구학습의 원...
[유아과학교육] 브루너의 탐구학습이론과 과학교육 _학습 내용의 조직, 학습이론, 나선형 교...
[독도탐구학습보고서] 세계속의 독도 (독도 홍보 실천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