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봉제 실시방안
1) 기본방향
2) 도입방안
3) 노동조합이 반대할 경우
2. 적용대상에 관한 문제
1) 임원
2) 관리.감독적 지위에 있는 근로자
3) 재량근로자의 경우
4) 일반근로자인 경우
3. 도입절차에 관한 문제
1) 근로계약의 명시
2) 취업규칙의 기재 및 불이익 변경 여부
① 취업규칙의 기재
②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여부
3) 단체협약의 적용
4. 임금에 관련된 문제
1) 통상임금, 평균임금 및 수당
2) 법정수당을 연봉에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
3) 연봉속에 각종 수당을 포함시키는 경우
4) 퇴직금
5) 매월 일정기일 지급과의 관계
6) 균등처우 관련문제
7) 결근, 지각 등에 의한 임금공제
5. 단체협약과의 충돌문제
6. 1년이 지나면 근로계의 해지가 가능한가
1) 기본방향
2) 도입방안
3) 노동조합이 반대할 경우
2. 적용대상에 관한 문제
1) 임원
2) 관리.감독적 지위에 있는 근로자
3) 재량근로자의 경우
4) 일반근로자인 경우
3. 도입절차에 관한 문제
1) 근로계약의 명시
2) 취업규칙의 기재 및 불이익 변경 여부
① 취업규칙의 기재
②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여부
3) 단체협약의 적용
4. 임금에 관련된 문제
1) 통상임금, 평균임금 및 수당
2) 법정수당을 연봉에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
3) 연봉속에 각종 수당을 포함시키는 경우
4) 퇴직금
5) 매월 일정기일 지급과의 관계
6) 균등처우 관련문제
7) 결근, 지각 등에 의한 임금공제
5. 단체협약과의 충돌문제
6. 1년이 지나면 근로계의 해지가 가능한가
본문내용
로 1년분의 연봉을 한꺼번에 지급한다고 하여 법 위반이라 단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한꺼번에 미리 지급하는 경우 중도퇴직하는 근로자들과 마찰이 빚어질 염려가 있고, 강제근로금지 규정에도 위반될 수 있으므로 매월 균등하게 지급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는 사실을 참조해야 한다.
6) 균등처우 관련문제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에서는 동일노동에 대하여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연봉제 계약이 동일직종, 동일업무에 종사함에도 불구하고 임금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법 위반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법에서 금지하고 있는 것은 합리성이 없는 자의적 차별임을 고려할 때 능력과 실적에 따른 연봉액의 차이는 법 위반 문제로 보기 어렵다. 특히 기업에서는 노동조합이나 상대적으로 불리한 임금을 받는 근로자들의 반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봉산정의 기초가 되는 고과평가의 공정성과 투명성으로 임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7) 결근, 지각 등에 의한 임금공제
성과 중시의 연봉제하에서는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 등에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자의 지각, 조퇴, 결근 등 근태에 따라 임금을 공제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시급이나 일급 개념에 의하여 임금을 산출하는 연공주의적 임금제도와 달리 연봉제는 성과를 중시하므로 근로자가 지각, 조퇴, 결근에 의하여 근로를 제공하지 않았다 하여 임금을 삭감하는 것은 연봉제의 취지에 맞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연봉제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에 지각, 조퇴, 결근 등에 대한 임금공제의 기준과 범위 등을 규정할 수는 있다.
5. 단체협약과의 충돌문제
연봉제 계약사원도 노조 및 조정법상의 근로자 개념에 해당한다면 노조에 가입할 수 있다. 연봉제 계약은 집단적이기보다는 회사와 개별노동자의 개별계약에 의존하는 성격이 강하므로 회사측에서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않을 것을 조건으로 연봉계약을 강요하는 사려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봉제사원이 노조에 가입한 경우 사용자가 해고 등 불이익한 처분을 할 수 있는바 이는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
단체협약의 근로조건에 관한 사항은 개별계약이나 취업규칙에 우선하여 적용되는 효력을 가지기 때문에 개별근로자가 사용자와 자유로이 임금에 관한 합의를 했어도 협약상의 임금관련 내용보다 불리하다면 협약임금이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봉제 사원이 비노조원이거나 노조 가입대상이 아니라면 협약 임금과의 충돌에 따른 법리적 문제가 없지만 노조원인 경우에는 적어도 단체협약상의 임금인상률의 구속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단체협약을 통하여 연봉제 사원은 별도의 계약을 통하여 임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는 규정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6. 1년이 지나면 근로계의 해지가 가능한가
연봉제와 계약직은 동일하지 않다. 연봉제는 임금의 계산단위가 1년을 중심으로 한다는 의미이지만 계약직은 계약기간이 종료하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근로계약이 종료한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연봉제 근로자는 1년의 연봉계약기간이 종료되었다고 하더라도 정당한 해고사유가 없는 한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계약을 해지할 수 없다. 즉 연봉제는 임금의 계산과 지급방법에 중점을 둔 제도하고 1년계약직은 1년이라는 기간에 중점을 둔 제도로서 차이가 있다.
다만, 연봉이라는 임금계산방법과 임금지급방법에 중점을 두면서도 1년이라는 계약기간도 함께 염두에 둔 1년 계약연봉제의 경우에는 그 1년이 지나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기간의 만료로 근로계약이 종료된다고 보아야 한다. 비슷하게 연봉제 또는 연봉계약제, 계약직 등의 용어를 사용하지만 일반적인 연봉제와 1년계약연봉제, 1년계약직은 법적인 취급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6) 균등처우 관련문제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에서는 동일노동에 대하여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연봉제 계약이 동일직종, 동일업무에 종사함에도 불구하고 임금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법 위반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법에서 금지하고 있는 것은 합리성이 없는 자의적 차별임을 고려할 때 능력과 실적에 따른 연봉액의 차이는 법 위반 문제로 보기 어렵다. 특히 기업에서는 노동조합이나 상대적으로 불리한 임금을 받는 근로자들의 반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봉산정의 기초가 되는 고과평가의 공정성과 투명성으로 임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7) 결근, 지각 등에 의한 임금공제
성과 중시의 연봉제하에서는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 등에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자의 지각, 조퇴, 결근 등 근태에 따라 임금을 공제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시급이나 일급 개념에 의하여 임금을 산출하는 연공주의적 임금제도와 달리 연봉제는 성과를 중시하므로 근로자가 지각, 조퇴, 결근에 의하여 근로를 제공하지 않았다 하여 임금을 삭감하는 것은 연봉제의 취지에 맞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연봉제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에 지각, 조퇴, 결근 등에 대한 임금공제의 기준과 범위 등을 규정할 수는 있다.
5. 단체협약과의 충돌문제
연봉제 계약사원도 노조 및 조정법상의 근로자 개념에 해당한다면 노조에 가입할 수 있다. 연봉제 계약은 집단적이기보다는 회사와 개별노동자의 개별계약에 의존하는 성격이 강하므로 회사측에서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않을 것을 조건으로 연봉계약을 강요하는 사려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봉제사원이 노조에 가입한 경우 사용자가 해고 등 불이익한 처분을 할 수 있는바 이는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
단체협약의 근로조건에 관한 사항은 개별계약이나 취업규칙에 우선하여 적용되는 효력을 가지기 때문에 개별근로자가 사용자와 자유로이 임금에 관한 합의를 했어도 협약상의 임금관련 내용보다 불리하다면 협약임금이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봉제 사원이 비노조원이거나 노조 가입대상이 아니라면 협약 임금과의 충돌에 따른 법리적 문제가 없지만 노조원인 경우에는 적어도 단체협약상의 임금인상률의 구속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단체협약을 통하여 연봉제 사원은 별도의 계약을 통하여 임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는 규정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6. 1년이 지나면 근로계의 해지가 가능한가
연봉제와 계약직은 동일하지 않다. 연봉제는 임금의 계산단위가 1년을 중심으로 한다는 의미이지만 계약직은 계약기간이 종료하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근로계약이 종료한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연봉제 근로자는 1년의 연봉계약기간이 종료되었다고 하더라도 정당한 해고사유가 없는 한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계약을 해지할 수 없다. 즉 연봉제는 임금의 계산과 지급방법에 중점을 둔 제도하고 1년계약직은 1년이라는 기간에 중점을 둔 제도로서 차이가 있다.
다만, 연봉이라는 임금계산방법과 임금지급방법에 중점을 두면서도 1년이라는 계약기간도 함께 염두에 둔 1년 계약연봉제의 경우에는 그 1년이 지나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기간의 만료로 근로계약이 종료된다고 보아야 한다. 비슷하게 연봉제 또는 연봉계약제, 계약직 등의 용어를 사용하지만 일반적인 연봉제와 1년계약연봉제, 1년계약직은 법적인 취급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추천자료
- [생활법률]출산율 하락과 불임부부의 문제해결방안 연구
- [생활법률]출산율 하락과 불임부부의 문제해결방안 연구
- [장애인이동권][이동권보장]장애인 이동권의 실태와 문제 및 향후 보장 방향 분석(장애인이동...
- 법률상 피고와 피고인의 개념에 대한 문제
- 장애인복지법과 장애인차별금지및권리구제에 관한 법률(문제점과 개선방안)
- 가정폭력의 발생원인과 실태 법률과 정책 문제점
- 간통죄의 의의, 법률, 찬반논의, 윤리적용문제, 우리의 견해, 전망[A+ 추천 레포트★★★★★]
- [사회적_문제_요점정리]악플의_실태와_원인_및_관련법률,_나의_견해(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 [성매매] 성매매의 특징, 문제점 및 법률 분석
- 사회복지관련 법률 중 2개를 선택하여 각 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생활법률 공통 _ 5개의 문제 각각에 대해 교재를 참고하여 답변을 간략히 작성하시오 - 방통...
- [생활법률 3하년 공통] 5개의 문제 - 각각에 대해 교재를 참고하여 답변을 간략히 작성 : 생...
- 스마트 사원이 알아야 할 알기쉬운 법률상식 국제비즈니스 분쟁사례 과제4 문제와 문제풀이
-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이유 및 주요 내용을 설명하고 발달장애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