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모공편 〉
〈 군형편 〉
〈 병세편 〉
〈 허실편 〉
〈 군쟁편 〉
〈 구변편 〉
〈 행군편 〉
〈 지형편 〉
〈 구지편〉
〈 용간편 〉
〈 군형편 〉
〈 병세편 〉
〈 허실편 〉
〈 군쟁편 〉
〈 구변편 〉
〈 행군편 〉
〈 지형편 〉
〈 구지편〉
〈 용간편 〉
본문내용
〈 모공편 〉
싸울때마다 다 이기는 것이 자랑이 아니다. 전쟁이란 최후의 수단일 뿐 어떠한 승리도 전쟁으로 인한 피해가 있으므로,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승리라 할 것이다.
최상의 전략은 적의 의도를 파악해 이를 깨는 것이다. 그 다음은 적이 다른 나라의 도움을 얻지 못하도록 고립시키는 것이고, 마지막이 군대를 동원해 싸우는 것이다.
전쟁하는 방법은 아군의 힘이 적군의 열배가 되면 포위하고, 다섯배가 되면 공격하고, 배가되면 적을 분산시키고, 비슷하면 맞서 싸운다. 그러나 힘이 부족하면 피하는 것이 최고다.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으며, 상대를 알지 못하고 나를 알면 한번 이기고 한번 지며, 상대도 나도 알지 못하면 싸울때마다 반드시 패한다.
승리하는 다섯가지 비결
① 싸울때와 아닌때를 안다. ② 많은 병력 적은 병력을 다 다룰줄 안다. ③ 윗사람과 아랫사람의 마음이 같다. ④ 적을 경계하지 않을 때를 조용히 기다릴 줄 안다. ⑤ 장수가 유능하여야 한다.
〈 군형편 〉
전쟁을 잘하는 사람은 먼저 적이 아군을 이길 수 없도록 만들고, 적을 이길 수 있는 때를 기다린다. 적이 아군을 못 이기는 이유는 아군에게 있고, 아군이 적을 이기는 이유는 적에게 있다.
수비를 한다는 것은 힘이 부족하다는 것이고, 공격을 한다는 것은 힘이 넘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비를 할때는 땅속에 숨은 것처럼 그림자도 보이지 않게 하고, 공격을 할때에는 하늘에서 하강하는 것처럼 적을 꼼짝 못하게 하여야 한다.
전쟁에서 반드시 이기려면 먼저 정치를 잘해서 나라의 힘을 부강하게 만든 뒤 전쟁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승리하는 군대는 먼저 이기고 난 뒤에 전투를 하고, 패하는 군대는 먼저 전투부터 시작해 놓고 승리를 바란다.
승리를 위한 다섯가지 요소
① 땅의 넓고 좁음 ② 자원의 많고 적음 ③ 인구의 많고 적음 ④ 전력의 강하고 약함 ⑤ 승패의 예측
전쟁에는 요행수가 없다. 따라서 치밀한 판단으로 대처해야 한다. 승리하는 군대는 큰 문제를 작은 문제 풀 듯 세밀하게 대비하고, 패배 하는 군대는 작은 일도 큰 일처럼 힘들어 한다.
〈 병세편 〉
많은 군사를 능률적으로 다스리려면 나누어 조직을 잘 짜야한다. 조직이 잘 짜여지면 질서있게 군사를 움직일 수 있다.
전쟁을 할때면 먼저 정도 즉, 적과 정면으로 맞부딪쳐 싸우면서 그 동안에 적군의 약점이나 헛점을 발견한다. 그리고나서 기도 즉, 기공법인 기습작전을 써서 적군의 헛점을 찔러 적군이 혼란에 빠지는 틈을 타서 승리를 거두는 것이 최선이다.
세차게 흐르는 물이 큰 바위도 뜨게 하는 것은 기세가 있기 때문이고, 매가 다른 새의 목을 쪼고 날개를 꺽는 것은 기회포착과 순식간에 해치우는 절도가 있기 때문이다.
전쟁을 잘하는 장수는 끈질기게 기회를 노리다가도 한번 공격이 시작되면, 적이 정신을 차릴 틈도 주지않고 밀어 붙인다. 기세를 잡게되면 모든 것이 이로운 쪽으로만 흘러 순식간에 승리를 얻을 수 있다.
혼란은 질서에서 생기고, 겁은 용기에서 생기며, 약함은 강함에서 생기는 법이다. 그러므로 호기를 잡았을때 방심하지 말고 고삐를 당겨야 한다.
명장은 군대의 사기와 힘에서 승부를 걸고, 싸우는 사람의 능력에 책임을 전가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적재적소에 알맞은 인재를 골라 역할을 맡김으로써 집단으로서의 힘을 발휘하게 한다.
〈 허실편 〉
싸움터에 먼저 가 적군을 기다리면 편하고, 뒤늦게 달려가 싸우게 되면 고달프고 불리하다. 그러므로 유능한 장수는 뜻대로 적을 움직이게 하여 힘을 뺀다음 승리를 낚는다.
싸울때마다 다 이기는 것이 자랑이 아니다. 전쟁이란 최후의 수단일 뿐 어떠한 승리도 전쟁으로 인한 피해가 있으므로,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승리라 할 것이다.
최상의 전략은 적의 의도를 파악해 이를 깨는 것이다. 그 다음은 적이 다른 나라의 도움을 얻지 못하도록 고립시키는 것이고, 마지막이 군대를 동원해 싸우는 것이다.
전쟁하는 방법은 아군의 힘이 적군의 열배가 되면 포위하고, 다섯배가 되면 공격하고, 배가되면 적을 분산시키고, 비슷하면 맞서 싸운다. 그러나 힘이 부족하면 피하는 것이 최고다.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으며, 상대를 알지 못하고 나를 알면 한번 이기고 한번 지며, 상대도 나도 알지 못하면 싸울때마다 반드시 패한다.
승리하는 다섯가지 비결
① 싸울때와 아닌때를 안다. ② 많은 병력 적은 병력을 다 다룰줄 안다. ③ 윗사람과 아랫사람의 마음이 같다. ④ 적을 경계하지 않을 때를 조용히 기다릴 줄 안다. ⑤ 장수가 유능하여야 한다.
〈 군형편 〉
전쟁을 잘하는 사람은 먼저 적이 아군을 이길 수 없도록 만들고, 적을 이길 수 있는 때를 기다린다. 적이 아군을 못 이기는 이유는 아군에게 있고, 아군이 적을 이기는 이유는 적에게 있다.
수비를 한다는 것은 힘이 부족하다는 것이고, 공격을 한다는 것은 힘이 넘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비를 할때는 땅속에 숨은 것처럼 그림자도 보이지 않게 하고, 공격을 할때에는 하늘에서 하강하는 것처럼 적을 꼼짝 못하게 하여야 한다.
전쟁에서 반드시 이기려면 먼저 정치를 잘해서 나라의 힘을 부강하게 만든 뒤 전쟁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승리하는 군대는 먼저 이기고 난 뒤에 전투를 하고, 패하는 군대는 먼저 전투부터 시작해 놓고 승리를 바란다.
승리를 위한 다섯가지 요소
① 땅의 넓고 좁음 ② 자원의 많고 적음 ③ 인구의 많고 적음 ④ 전력의 강하고 약함 ⑤ 승패의 예측
전쟁에는 요행수가 없다. 따라서 치밀한 판단으로 대처해야 한다. 승리하는 군대는 큰 문제를 작은 문제 풀 듯 세밀하게 대비하고, 패배 하는 군대는 작은 일도 큰 일처럼 힘들어 한다.
〈 병세편 〉
많은 군사를 능률적으로 다스리려면 나누어 조직을 잘 짜야한다. 조직이 잘 짜여지면 질서있게 군사를 움직일 수 있다.
전쟁을 할때면 먼저 정도 즉, 적과 정면으로 맞부딪쳐 싸우면서 그 동안에 적군의 약점이나 헛점을 발견한다. 그리고나서 기도 즉, 기공법인 기습작전을 써서 적군의 헛점을 찔러 적군이 혼란에 빠지는 틈을 타서 승리를 거두는 것이 최선이다.
세차게 흐르는 물이 큰 바위도 뜨게 하는 것은 기세가 있기 때문이고, 매가 다른 새의 목을 쪼고 날개를 꺽는 것은 기회포착과 순식간에 해치우는 절도가 있기 때문이다.
전쟁을 잘하는 장수는 끈질기게 기회를 노리다가도 한번 공격이 시작되면, 적이 정신을 차릴 틈도 주지않고 밀어 붙인다. 기세를 잡게되면 모든 것이 이로운 쪽으로만 흘러 순식간에 승리를 얻을 수 있다.
혼란은 질서에서 생기고, 겁은 용기에서 생기며, 약함은 강함에서 생기는 법이다. 그러므로 호기를 잡았을때 방심하지 말고 고삐를 당겨야 한다.
명장은 군대의 사기와 힘에서 승부를 걸고, 싸우는 사람의 능력에 책임을 전가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적재적소에 알맞은 인재를 골라 역할을 맡김으로써 집단으로서의 힘을 발휘하게 한다.
〈 허실편 〉
싸움터에 먼저 가 적군을 기다리면 편하고, 뒤늦게 달려가 싸우게 되면 고달프고 불리하다. 그러므로 유능한 장수는 뜻대로 적을 움직이게 하여 힘을 뺀다음 승리를 낚는다.
추천자료
- 중소기업 성공요인 실패요인
- [마케팅] 인터넷 마케팅
- [E business] Ebiz와 경영전략(재무회계 원가관리)
- 차이나 프로젝트 독후감
- 인터넷 마케팅 전략
- 21C 리더십
- : 대(對)중국 협상 대응전략
- 히딩크 리더십에 대해서
- 한일 문화의 대비적 고찰
- 노자의 도덕경 요약 및 감상 - 노자의 도덕경을 읽고
- 전략적 경영과 기업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
- [마케팅원론]_성공을 위한 인생의_SWOT분석
- 슈퍼차이나 독후감 감상문 서평 KBS 슈퍼차이나 제작팀
- 협상조정론 자기 주변의 소소한 일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갈등상황을 세 가지 협상방법(Brid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