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환자관리
1) 환자의 권리와 의무
(1) 환자의 권리
⓵ 진료받을 권리
⓶ 알 권리 및 자기결정권
⓷ 비밀을 보호받을 권리
⓸ 상담, 조정을 신청할 권리
(2) 환자의 의무
⓵ 의료인에 대한 신뢰, 존중의 의무
⓶ 부정한 방법으로 진료를 받지 않을 의무
2. 운영관리
1) 안전관리
(1) 환자 확인
(2) 수혈
(3) 투약
(4) 낙상
(5) 욕창
(6) 화상
(7) 자살
(8) 수술 확인
(9) 보호대 적용
(10) 무단외출 ·탈원
(11) 화재
2) 물품관리
(1) 물품 종류
(2) 물품관리 과정
⓵ 물품의 기준량 설정
⓶ 물품의 청구 및 공급체계
⓷ 물품보관
⓸ 재고관리
(3) 가치분석 기법
(4) 물품관리의 실제
⓵ 진료재로
⓶ 멸균품
3) 약품관리
(1) 약품처방체계: 정규처방, 응급/추가처방, prn처방, 퇴원처방
(2) 약품관리과정
(3) 고위험 약품관리
(4) 고주의성 약품관리
(5) 마약류 관리
(6) 응급약품 및 응급물품 관리
4) 감염관리
5) 전파경로별 격리지침
5) 낙상관리
6) 린넨관리
7) 인력관리
8) 환경관리
(1) 환자의 사생활 유지
(2) 심미적 환경
(3) 환기
(4) 온도와 습도
(5) 조명
(6) 소음
1) 환자의 권리와 의무
(1) 환자의 권리
⓵ 진료받을 권리
⓶ 알 권리 및 자기결정권
⓷ 비밀을 보호받을 권리
⓸ 상담, 조정을 신청할 권리
(2) 환자의 의무
⓵ 의료인에 대한 신뢰, 존중의 의무
⓶ 부정한 방법으로 진료를 받지 않을 의무
2. 운영관리
1) 안전관리
(1) 환자 확인
(2) 수혈
(3) 투약
(4) 낙상
(5) 욕창
(6) 화상
(7) 자살
(8) 수술 확인
(9) 보호대 적용
(10) 무단외출 ·탈원
(11) 화재
2) 물품관리
(1) 물품 종류
(2) 물품관리 과정
⓵ 물품의 기준량 설정
⓶ 물품의 청구 및 공급체계
⓷ 물품보관
⓸ 재고관리
(3) 가치분석 기법
(4) 물품관리의 실제
⓵ 진료재로
⓶ 멸균품
3) 약품관리
(1) 약품처방체계: 정규처방, 응급/추가처방, prn처방, 퇴원처방
(2) 약품관리과정
(3) 고위험 약품관리
(4) 고주의성 약품관리
(5) 마약류 관리
(6) 응급약품 및 응급물품 관리
4) 감염관리
5) 전파경로별 격리지침
5) 낙상관리
6) 린넨관리
7) 인력관리
8) 환경관리
(1) 환자의 사생활 유지
(2) 심미적 환경
(3) 환기
(4) 온도와 습도
(5) 조명
(6) 소음
본문내용
점수가 비대상군이거나 낙상위험요인이 제거되는 시점
사례: ㅇㅇ의료원 외과게 간호간병병동에서는 낙상 예방을 위한 간호로 side rail 올리기, 침대 바퀴 고정하기, Morse Fall Scale을 사용하여 낙상 위험도 평가하기, 낙상 위험도 팻말 이용하여 침대 앞에 부착하기, 팔찌에 낙상 위험 스티커 붙이기 등을 수행한다.
6) 린넨관리
세탁한 리넨은 청결하고 습하지 않는 곳에 보관함. 정수량은 1일 사용량의 1.5배
리넨류는 문을 닫을 수 있는 장에 보관하고 사용 후에 덮개가 있는 햄퍼에 넣어 지정된 장소에 보관함.
사례: ㅇㅇ의료원 외과게 간호간병병동에서는 세탁된 리넨은 리넨실에 중류와 사이즈별로 분류되있으며 주기적으로 여분의 옷이 들어와서 여유롭게 정리됨을 관찰했다. 사용된 리넨류는 덮개가 있는 햄퍼에 격리의료물품과 일반으로 구분하여 보관한다.
7) 인력관리
간호인력관리시스템은 간호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산출하여 간호 인적자원관리 정책기획을 돕는다. 대표적으로 간호사 근무표 작성은 특정 간호단위에 직원의 근무-비근무시간의 유형을 기획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사례: ㅇㅇ의료원 외과게 간호간병병동에서는 인력관리를 위해 수간호사 선생님이 근무표를 제작하여 간호인력에게 공평성과 에측성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행정업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8) 환경관리
간호단위 환경이란 간호단위를 둘러싸고 있으면서 간호단위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일체의 상황이다. 환자의 건강증진을 위해 깨끗하고 위생적이며 아름다운 심미적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안전하고 사생활이 유지되는 안정된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이 간호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다.
(1) 환자의 사생활 유지
: 환자의 사생활 보호란 환자의 개인정보, 진료정보 및 신체적 보호를 의미함. 환자가 병원 첫 방문시 개인정보 수집, 이용안내에 대해 서면동의를 받는다. 간호수행이나 치료시(도뇨, 주사, 변기 사용 등) 신체노출을 최소화한다.
(2) 심미적 환경
병동의 아름다운 환경은 환자에게 안정감과 건강회복에 도움을 준다.
붉은색, 주황색 같은 따뜻한 색= 회복기 환자 / 차가운 색상= 만성환자에게 적합
적절한 채색조건은 심리, 정서적 안정감을 주어 능률을 향상시킨다.
ex) 소아과 병동에서 간호사복과 환아복의 색깔을 같게하여 공포감 감소, 친근감 증진
동물 그림, 입원실이나 복도에 그림 전시
(3) 환기
환기는 환자를 편하게 하고 건강을 증진시킨다. 환기방법은 주로 중앙조절 환기 방법을 사용한다.
- 입원실 창문- 일반상황에서는 열리지 않도록, 정화된 공기가 시간당 4회 이상 유입되는 방식 사용.
- 중환자실 환기- HEPA 필터 이용, 시간당 회 이상(12회 이상 권장) 유지. 여과기는 정기적으로 교환. 출입문은 이중문 설치하여 항상 닫음
- 격리실- 전실을 두어 이중문 설치, 환자 상태에 따라 양압, 음압으로 조절
- 수술실- 최소한 실내 환기 횟수 20회/h 이상, 환기량 5회/h의 환기로 하고, 20%는 신선한 공기로 유지. 수술실내 이동을 줄이고 기자재를 최소한으로, 문 닫음
(4) 온도와 습도
환경의 쾌적함과 환경오염에 영향, 환자의 정신적 신체적 안녕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 인체에 쾌적한 온도= 18~20도, 습도= 40~70%
- 병원환경 온도= 18~28도, 습도= 40~60%
- 입원실 온도= 18~24도, 습도 40~60%
- 중환자실 온도= 25~27도, 습도 50~60%
- 신생아중환자실& 신생아실 온도= 26~28도, 습도40~60%
- 수술실 온도= 18~24도, 습도 50~55%
- 응급실 온도 22~26도 정도
(5) 조명
입원실 조도= 100Lux, 처치등 켰을 때= 200Lux, 중환자실= 400Lux
(6) 소음
대화소리:40~60dB, 입원실: 30dB 이하, 중환자실: 30~35dB 이하
간호사실, 준비실, 처치실 등: 40dB이하로 유지되도록 함.
소음 감소 방법: 방문객 최소화, 공공장소 만듬, 의료진의 발소리 대화소리 줄임
(7) 청결
환자의 체액이나 혈액에 의한 오염 즉시 제거
사례: ㅇㅇ의료원 외과게 간호간병병동에서는 단순도뇨를 실시할 때, 커튼을 쳐서 신체 노출을 최소화 하였고, 환자의 사생활 보호를 한다. pcr 검사결과가 나오기 전인 환자분은 따로 코호트 병실에서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지내도록 하며 다른 환자와 격리한다. 그 방에 간호 학생은 들어가지 않도록 하였으며 만약 들어간다면 AP가운, 장갑, N95 마스크를 착용하고 들어가도록 한다.
사례: ㅇㅇ의료원 외과게 간호간병병동에서는 낙상 예방을 위한 간호로 side rail 올리기, 침대 바퀴 고정하기, Morse Fall Scale을 사용하여 낙상 위험도 평가하기, 낙상 위험도 팻말 이용하여 침대 앞에 부착하기, 팔찌에 낙상 위험 스티커 붙이기 등을 수행한다.
6) 린넨관리
세탁한 리넨은 청결하고 습하지 않는 곳에 보관함. 정수량은 1일 사용량의 1.5배
리넨류는 문을 닫을 수 있는 장에 보관하고 사용 후에 덮개가 있는 햄퍼에 넣어 지정된 장소에 보관함.
사례: ㅇㅇ의료원 외과게 간호간병병동에서는 세탁된 리넨은 리넨실에 중류와 사이즈별로 분류되있으며 주기적으로 여분의 옷이 들어와서 여유롭게 정리됨을 관찰했다. 사용된 리넨류는 덮개가 있는 햄퍼에 격리의료물품과 일반으로 구분하여 보관한다.
7) 인력관리
간호인력관리시스템은 간호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산출하여 간호 인적자원관리 정책기획을 돕는다. 대표적으로 간호사 근무표 작성은 특정 간호단위에 직원의 근무-비근무시간의 유형을 기획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사례: ㅇㅇ의료원 외과게 간호간병병동에서는 인력관리를 위해 수간호사 선생님이 근무표를 제작하여 간호인력에게 공평성과 에측성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행정업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8) 환경관리
간호단위 환경이란 간호단위를 둘러싸고 있으면서 간호단위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일체의 상황이다. 환자의 건강증진을 위해 깨끗하고 위생적이며 아름다운 심미적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안전하고 사생활이 유지되는 안정된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이 간호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다.
(1) 환자의 사생활 유지
: 환자의 사생활 보호란 환자의 개인정보, 진료정보 및 신체적 보호를 의미함. 환자가 병원 첫 방문시 개인정보 수집, 이용안내에 대해 서면동의를 받는다. 간호수행이나 치료시(도뇨, 주사, 변기 사용 등) 신체노출을 최소화한다.
(2) 심미적 환경
병동의 아름다운 환경은 환자에게 안정감과 건강회복에 도움을 준다.
붉은색, 주황색 같은 따뜻한 색= 회복기 환자 / 차가운 색상= 만성환자에게 적합
적절한 채색조건은 심리, 정서적 안정감을 주어 능률을 향상시킨다.
ex) 소아과 병동에서 간호사복과 환아복의 색깔을 같게하여 공포감 감소, 친근감 증진
동물 그림, 입원실이나 복도에 그림 전시
(3) 환기
환기는 환자를 편하게 하고 건강을 증진시킨다. 환기방법은 주로 중앙조절 환기 방법을 사용한다.
- 입원실 창문- 일반상황에서는 열리지 않도록, 정화된 공기가 시간당 4회 이상 유입되는 방식 사용.
- 중환자실 환기- HEPA 필터 이용, 시간당 회 이상(12회 이상 권장) 유지. 여과기는 정기적으로 교환. 출입문은 이중문 설치하여 항상 닫음
- 격리실- 전실을 두어 이중문 설치, 환자 상태에 따라 양압, 음압으로 조절
- 수술실- 최소한 실내 환기 횟수 20회/h 이상, 환기량 5회/h의 환기로 하고, 20%는 신선한 공기로 유지. 수술실내 이동을 줄이고 기자재를 최소한으로, 문 닫음
(4) 온도와 습도
환경의 쾌적함과 환경오염에 영향, 환자의 정신적 신체적 안녕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 인체에 쾌적한 온도= 18~20도, 습도= 40~70%
- 병원환경 온도= 18~28도, 습도= 40~60%
- 입원실 온도= 18~24도, 습도 40~60%
- 중환자실 온도= 25~27도, 습도 50~60%
- 신생아중환자실& 신생아실 온도= 26~28도, 습도40~60%
- 수술실 온도= 18~24도, 습도 50~55%
- 응급실 온도 22~26도 정도
(5) 조명
입원실 조도= 100Lux, 처치등 켰을 때= 200Lux, 중환자실= 400Lux
(6) 소음
대화소리:40~60dB, 입원실: 30dB 이하, 중환자실: 30~35dB 이하
간호사실, 준비실, 처치실 등: 40dB이하로 유지되도록 함.
소음 감소 방법: 방문객 최소화, 공공장소 만듬, 의료진의 발소리 대화소리 줄임
(7) 청결
환자의 체액이나 혈액에 의한 오염 즉시 제거
사례: ㅇㅇ의료원 외과게 간호간병병동에서는 단순도뇨를 실시할 때, 커튼을 쳐서 신체 노출을 최소화 하였고, 환자의 사생활 보호를 한다. pcr 검사결과가 나오기 전인 환자분은 따로 코호트 병실에서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지내도록 하며 다른 환자와 격리한다. 그 방에 간호 학생은 들어가지 않도록 하였으며 만약 들어간다면 AP가운, 장갑, N95 마스크를 착용하고 들어가도록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