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 있다는 가정이 성립됨.
환상작용에 의해 가능.
-서사극의 배우들 : 제4의 벽이 있다는 가정을 무시
사건이 어떻게 일어났고 진행됐는지를 대중에게 알리는 보고자 또는 증인의 입장에서 사건의 전말을 시범해 보임.
4벽의 가정이 깨어지면 ‘배우가 직접 관객과 대화할 수 있다.’는 원리가 성립됨.
‘배우는 자신이 관객에게 보여지고 있다.’는 의식을 표현할 수 있고 스스로를 ‘자신을 관찰하고 시험해 보일 수도 있을 것’임.
환상이라는 사실주의적 수단을 배제하는 효과
관객은 무대상의 사건이 실제라고 착각에 빠지는 환각적 상황에서 해방됨.
‘관객에게 직접 대화(addressing the audience directly)’, \'관객에게 보여지고 있다는 의식의 표현(expression of his awareness of being watched)\', 그리고 ‘자기관찰(self-observation)’ 등은 실제 이화효과 연기술로 개발되어 활 용되고 있다.
감정이입 배제(removal of empathy)
사실주의 연극에 있어 무대와 관객과의 교감-감정이입(empathy)을 바탕으로 이루어짐. 배우들은 이 심리적 작용을 일으키기 위하여 자신들이 표현하는 역할이나 상황 속으로 최대한 밀접하게 관객을 접근시키려함. 이 목적을 위해서 그들은 관객이 자기들(극중인물)에게 동화되기를 희망하며, 자연아로서의 자기를 예술적인(극적인) 다른 모습으로 가 능한 한 완전하게 변이시키려함.
이화효과를 위한 연기술에서는 이와 정 반대임. 이화효과를 추구하는 배우는 감정이입 작용을 야기하는 어떤 노력도 하지 말아야 함. 배우는 관객이 비판적 입장에서 극을 바라볼 수 있도록 역점을 두어야 함. 그럼에도 어떤 특별한 성 격을 재현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들의 행동을 보여주기 위해서 때로 감정이입 방법을 완전히 포기하지 말아야 할 경 우가 있는데, 배우가 자기 자신 이와의 어떤 인물을 묘사하기 위해서는 특별히 훈련된 연기술이 없는 일반적 인물이 하는 것처럼 하면서 이 방법을 사용함. 즉 배우 자신이 행동하는 것과 같이 해보임. 다른 사람의 행동을 해 보일때는 어떤 사건의 증인이 다른 사람들에게 그 사건 속의 희생자가 어떻게 행동 했는가를 보이는 것처럼 연기함.
이 경우, 관객이 무대 상의 환상(illusion)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이 때, 배우는 감정이입을 포 기하면서 또한 동시에 허용하는 입장, 그의 성격은 서로 다른 이중적 모습을 일시에 들어내 보이게 됨. 배우는 자신 이 실 제 연기하고 있는 것에 대한 것 외에도 다른 생각들을 떠올리게끔 암시적으로 연기함. 다시 말해서, 배우는 가 능 한 한 다른 대안이 나오게끔 연기해야 하며, 연기는 다른 추론에 대한 가능성을 항시 허용, 가능한 여러 변형중의 하나를 재현해야 함.
예)독일의 여배우 헬레네 바이겔(Helene Weigel, 1900-1971, 1929년 브레히트와 결혼) 이 희랍극〈오이디푸스 왕〉(Oedipus Rex) 중 왕비의 죽음을 알리는 장면에서 하녀역을 연기할 때
얼굴을 온통 하얗게 분장한 그녀는 아무런 감정없이 그저 “죽었다!죽었다! 이오카스테가 죽었다!”라고 외쳤다. 그녀 의 목소리는 비탄이나 통곡하는 아무런 감정 없이 그저 찢어지는 듯한 날카로움만이 섞여 있었다. 여기서 그녀가 사용한 것은 완전히 감정이입 수단을 포기하지 않으려 했다는 시도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면서도 아무런 비탄의 감정을 섞지 않은 것이나 얼굴을 온통 하얗게 칠하여 안면연기를 포기한 것은 감정이입을 거부하는 시도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기술을 위한 용어를「not, ... but」이라 하는데 ‘포기’와 동시에 ‘완전 포기 부정’의 이중적 의미 를 내포한다.
변헝의 포기
전통극의 배우-작가가 묘사한 극중 인물 속으로 자신을 변형시킴. 때문에 그는 매 공연마다 완전하게 새로이 태어나 야 함.
이화효과를 추구하는 배우-무대에서 자신이 연가하는 역할 속으로 완전히 변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음. 증인으로서 역 할. 그는 가능한 한도 내에서 극중 인물을 연기하지만 결코 완전히 자신을 변형시키려고 하지 않는다. 그는 증인 혹 은 시범자로 남아야 하고, 타인으로 표현되는 인물을 연기해 야 함. 그리고 시범해 보이는 인물 속으로 완전히 몰입해서는 안 됨. 만약 관중의 주의가 그의 몰입한 모습에 빠져든다면 이화효과는 사라짐.
⇒이를 위한 연기술 : ‘역할 바꾸기(exchanging role)’, \'역할 비약하기(jumping role)\', \'인용(quotation)\', \'3인칭화 (transposition into the third position)\', \'과거화(transposition into the past)\', \'무대지문 크게 말하기(speaking the stage direction out loud)\', \'시구내용 통속적 산문으로 바꾸기(paraphrasing the verse\'s content in vulgrprose)\', \'감정 제스처로 만들기(developing emotions into a gesture)\', \'역사적 사건화(historicalization)\' 등
2.환경연극적 스타일
-환경연극은 리차드 쉐크너(Richard Schechner, 1934-, 뉴욕대 교수)가 일반화시킨 용어임.
-환경연극은 해프닝(happening)과 전통연극 사이에 있는 존재. 관객과 연기자들이 동일한 물리적 공간을 점유, 관객은 자신이 관람자일 뿐이라고 생각해도 전체적으로 볼 때 공연의 한 부분이 됨. 공연은 발견공간(found space)에서 일어 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변형공간(transformed space)에서도 일어남.
발견공간-무대 장치 등을 통해 극중 공간으로 변형시킨 공간이 아니라 일상적 공간 그 자체를 말함. 따라서 전통적 인 극장 구조가 파기되고, 그 대신 관객과 연기자들이 서로 섞일 수 있는 장소가 됨. 공간과 관객 그리고 연기자 간 관계의 성격상 초점이 신축적이고 다양해지며, 한가시 이상의 사건이 동시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음.
환경연극의 조건(여섯가지 원칙)
①예술은 때로 일상생활과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다.
②모든 공간은 공연을 위하여 활용
환상작용에 의해 가능.
-서사극의 배우들 : 제4의 벽이 있다는 가정을 무시
사건이 어떻게 일어났고 진행됐는지를 대중에게 알리는 보고자 또는 증인의 입장에서 사건의 전말을 시범해 보임.
4벽의 가정이 깨어지면 ‘배우가 직접 관객과 대화할 수 있다.’는 원리가 성립됨.
‘배우는 자신이 관객에게 보여지고 있다.’는 의식을 표현할 수 있고 스스로를 ‘자신을 관찰하고 시험해 보일 수도 있을 것’임.
환상이라는 사실주의적 수단을 배제하는 효과
관객은 무대상의 사건이 실제라고 착각에 빠지는 환각적 상황에서 해방됨.
‘관객에게 직접 대화(addressing the audience directly)’, \'관객에게 보여지고 있다는 의식의 표현(expression of his awareness of being watched)\', 그리고 ‘자기관찰(self-observation)’ 등은 실제 이화효과 연기술로 개발되어 활 용되고 있다.
감정이입 배제(removal of empathy)
사실주의 연극에 있어 무대와 관객과의 교감-감정이입(empathy)을 바탕으로 이루어짐. 배우들은 이 심리적 작용을 일으키기 위하여 자신들이 표현하는 역할이나 상황 속으로 최대한 밀접하게 관객을 접근시키려함. 이 목적을 위해서 그들은 관객이 자기들(극중인물)에게 동화되기를 희망하며, 자연아로서의 자기를 예술적인(극적인) 다른 모습으로 가 능한 한 완전하게 변이시키려함.
이화효과를 위한 연기술에서는 이와 정 반대임. 이화효과를 추구하는 배우는 감정이입 작용을 야기하는 어떤 노력도 하지 말아야 함. 배우는 관객이 비판적 입장에서 극을 바라볼 수 있도록 역점을 두어야 함. 그럼에도 어떤 특별한 성 격을 재현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들의 행동을 보여주기 위해서 때로 감정이입 방법을 완전히 포기하지 말아야 할 경 우가 있는데, 배우가 자기 자신 이와의 어떤 인물을 묘사하기 위해서는 특별히 훈련된 연기술이 없는 일반적 인물이 하는 것처럼 하면서 이 방법을 사용함. 즉 배우 자신이 행동하는 것과 같이 해보임. 다른 사람의 행동을 해 보일때는 어떤 사건의 증인이 다른 사람들에게 그 사건 속의 희생자가 어떻게 행동 했는가를 보이는 것처럼 연기함.
이 경우, 관객이 무대 상의 환상(illusion)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이 때, 배우는 감정이입을 포 기하면서 또한 동시에 허용하는 입장, 그의 성격은 서로 다른 이중적 모습을 일시에 들어내 보이게 됨. 배우는 자신 이 실 제 연기하고 있는 것에 대한 것 외에도 다른 생각들을 떠올리게끔 암시적으로 연기함. 다시 말해서, 배우는 가 능 한 한 다른 대안이 나오게끔 연기해야 하며, 연기는 다른 추론에 대한 가능성을 항시 허용, 가능한 여러 변형중의 하나를 재현해야 함.
예)독일의 여배우 헬레네 바이겔(Helene Weigel, 1900-1971, 1929년 브레히트와 결혼) 이 희랍극〈오이디푸스 왕〉(Oedipus Rex) 중 왕비의 죽음을 알리는 장면에서 하녀역을 연기할 때
얼굴을 온통 하얗게 분장한 그녀는 아무런 감정없이 그저 “죽었다!죽었다! 이오카스테가 죽었다!”라고 외쳤다. 그녀 의 목소리는 비탄이나 통곡하는 아무런 감정 없이 그저 찢어지는 듯한 날카로움만이 섞여 있었다. 여기서 그녀가 사용한 것은 완전히 감정이입 수단을 포기하지 않으려 했다는 시도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면서도 아무런 비탄의 감정을 섞지 않은 것이나 얼굴을 온통 하얗게 칠하여 안면연기를 포기한 것은 감정이입을 거부하는 시도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기술을 위한 용어를「not, ... but」이라 하는데 ‘포기’와 동시에 ‘완전 포기 부정’의 이중적 의미 를 내포한다.
변헝의 포기
전통극의 배우-작가가 묘사한 극중 인물 속으로 자신을 변형시킴. 때문에 그는 매 공연마다 완전하게 새로이 태어나 야 함.
이화효과를 추구하는 배우-무대에서 자신이 연가하는 역할 속으로 완전히 변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음. 증인으로서 역 할. 그는 가능한 한도 내에서 극중 인물을 연기하지만 결코 완전히 자신을 변형시키려고 하지 않는다. 그는 증인 혹 은 시범자로 남아야 하고, 타인으로 표현되는 인물을 연기해 야 함. 그리고 시범해 보이는 인물 속으로 완전히 몰입해서는 안 됨. 만약 관중의 주의가 그의 몰입한 모습에 빠져든다면 이화효과는 사라짐.
⇒이를 위한 연기술 : ‘역할 바꾸기(exchanging role)’, \'역할 비약하기(jumping role)\', \'인용(quotation)\', \'3인칭화 (transposition into the third position)\', \'과거화(transposition into the past)\', \'무대지문 크게 말하기(speaking the stage direction out loud)\', \'시구내용 통속적 산문으로 바꾸기(paraphrasing the verse\'s content in vulgrprose)\', \'감정 제스처로 만들기(developing emotions into a gesture)\', \'역사적 사건화(historicalization)\' 등
2.환경연극적 스타일
-환경연극은 리차드 쉐크너(Richard Schechner, 1934-, 뉴욕대 교수)가 일반화시킨 용어임.
-환경연극은 해프닝(happening)과 전통연극 사이에 있는 존재. 관객과 연기자들이 동일한 물리적 공간을 점유, 관객은 자신이 관람자일 뿐이라고 생각해도 전체적으로 볼 때 공연의 한 부분이 됨. 공연은 발견공간(found space)에서 일어 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변형공간(transformed space)에서도 일어남.
발견공간-무대 장치 등을 통해 극중 공간으로 변형시킨 공간이 아니라 일상적 공간 그 자체를 말함. 따라서 전통적 인 극장 구조가 파기되고, 그 대신 관객과 연기자들이 서로 섞일 수 있는 장소가 됨. 공간과 관객 그리고 연기자 간 관계의 성격상 초점이 신축적이고 다양해지며, 한가시 이상의 사건이 동시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음.
환경연극의 조건(여섯가지 원칙)
①예술은 때로 일상생활과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다.
②모든 공간은 공연을 위하여 활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