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목차
청주대학교 공연예술과 일상생활 중간 기말 내용족보입니다.
본문내용
행인들이
-공연 장소는 ‘상점 앞 극장’ 주로 사용 → 까페극장 앤디워홀의〈마지막 사랑〉
-〈Mr. Dead and Mrs. Free〉(1981년 오비상수상) 공연장면을 길에
-조지워싱턴 다리의 환경을 극에 활용 서서 바라보고 있다.
-극장 밖 길거리를 공연 공간으로 활용
이미지연극(The Theatre of Images)
본질적 : 시각적인 여러 매체들을 극적으로 무대화, 관객과 연기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 의식과 관념적인 환상이 충돌하고 대비 접촉하여 종래의 극장에서 체험하던 것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무대 시(stage poem)적 이 미지에 도달
근본적 : ‘해프닝’과 밀접하게 연결, 영상, 연기, 음악, 무용, 회화, 시각디자인 등 다매체를 활용
집단적으로 단편적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그 단편들을 다른 장르의 매체들과 동시 대비식으로 합성하거나 평행 병열하며 매체 간 연합을 통해 작품을 구성 → 시각 중심의 연극 ‘theatre of vision’
로버트 윌슨「버드 호프만 재단」
- 다매체 체계를 통해 비서술적, 비언어적인 연극세계를 창조
- 조명과 음악의 시청각적 효과를 극대화
- 움직임, 무용, 슬라이드, 드로잉 등의 회화적이고도 조형적인 배치와 조화를 통해 새로운 시각적 경험 세계를 시도
- 분해, 해체되어 본래의 의미 전달 기능 상실
- 감각적인 기호나 부호 : 시청각적 요소로 제시
리차드 포먼 「본체론적 히스테릭 극단」
- 대사 중심의 전통 연극에 비교하여 직관적인 이미지 중심 연극을 주장
- ‘정해진 목적 없는 메시지(disorientation massage)’의 연극
- ‘동시 발생적인 우연의 연극(theatre of coincidence)’이라고 정의
- 리 브루어는 자신의 작품이 전통역극에 비교되는 다매체를 활용하는 ‘공연 시(performance poem)’라고 부름
정리하기
오픈 씨어터
-조셉 체이킨의 리드, 공연보다 연습 과정에 중점을 둠, 공동창작 방식을 발전시킴, 비재현적 연기술 개발
해프닝
-애런 캐프로가 최초로 시도, 전시중인 작품의 모든 환경을 작품으로 인정, 다매체, 우연성 존중, 관중의 존재 인정
환경연극
-리차드 쉐크너가 주장, 무대와 객석의 구분을 없앰, 관객을 극적 요소로 인정, 극장과 접근 가능한 모든 환경을 극적 요소로 인정
이미지연극
-대사중심 연극을 반대하고 다매체를 활용을 통한 시각적 이미지 체험 시도, 종래의 문학적 희곡을 반대하고 독립적인 공연 대본을 사용, 비서술적 비언어적 무대창조, 대표적 연출가로는 로버트 윌슨, 리차드 포먼, 리 브루어 등
【13주차 1교시】 공연예술의 일상적 활용
학습목표
- 예술적 삶과 일상적 삶의 만남의 의미, 미적 감동의 세계와 선진 문화사회,
- 공연학적 아이디어의 일상에의 적용
공연예술의 일상적 활용
◆낭만주의 예술가 : 우리가 살고있는 이 세계를 타락한 속세로 규정하고 작품에 의한 미적 체험을 통해서 속세로부터 초월
◆모더니스트(modernist) : 실생활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려 하지만 여전히 질이 다른 두 가지의 세계로 보려하며, 예술 적 관점을 통해서 실생활을 바라보고 평가
포스트모더니스트(postmodernist)
- 예술 장르 간의 벽 허물기, 나아가서 실생활과의 경계 허물기
- 예술세계와 실생활을 동등시, 실생활을 예술세계 속에 끌어들여 작품화
ex) : 환경연극, 해프닝, 실생활 자체에서 미를 발견
◆ 여가사회
선진사회라고도 하는 여가사회에서는 삶의 질을 최대의 사회적 이슈로 삼는 것이 일반적
1. 실생활에 예술에서의 아이디어를 동원하는 일은 필연적일 수 밖에 없다.
- 이미 우리 사회에서도 그러한 기미들이 자주 감지된다.
2. 공연학
-집단적 인간군의 행동 형태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속성을 파악
-미적으로 재구성하여 감동적인 공연으로 작품화 하는 미적 사고 체계
-공연학의 아이디어를 실생활에 활용하는 경향이 확산
-미국, 영국 등과 같은 소위 문화 선진사회 자주 보인다.
행사의 공연화
◆공연예술
-원시 제의식(ritual)에서 기원
-오늘날에도 다양한 형태의 의식과 그 과정상의 행사들이 행해지고 있다.
-거의 모든 스포츠 경기는 본 경기에 앞서 여하한 형태로든 일정의 의식이나 세레모니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의식이나 세레모니들은 대게 그것이 시작된 초기의 전통적 모습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국경일 기념식
-장충동 국립극장이나 세종로 세종문화회관이 흔히 사용 → ‘proscenium-arch stage’형
-무대와 객석은 분리형이 일반적 → 객석은 시민의 자리
-무대에는 사회 지도층급의 지체 높은 분들의 자리를 지위의 순서에 따라 배정하는 것이 상식
-객석은 시민들의 자리, 식은 전반적으로 시민들은 소외되거나 수동적일 수 밖에 없으며 신분계층적이고 비민주적인 모습을 보임
◆공연적 아이디어를 활용한 성공적 행사의 예
1987년 7월 4일 워싱턴 D.C.에서의 미국 독립 200주년 기념식은 민주주의와 자유에 대한 의지를 무대적으로 구현한 행사로 유명하다. 기념식장은 원싱턴 D.C.의 아레나극장이었는데, 인류 평등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하여 원형무대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중앙에 합창대를 위한 원형 공간을 두고 그 둘레에 360° 원형으로 객석을 만든다. 고대 희랍 시대의 코러스를 연상케 한다. 원형으로 둘러앉았으므로 ‘proscenium arch stage’에서와 같이 단상의 귀빈과 단하의 시민으로 분리되는 모습이 없어졌다. 서로 동등하게 둘어 앉아 마주 보는 형태를 이룬다. 신분계층적 좌석 구도를 피하려는 의도다. 객석 앞줄에는 대통령과 정부 요인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앉고 그들 사이사이에 일반 시민들이 섞여 앉는다. 식은 환경연극 아이디어를 응용하여 시민들이 참여하는 순서를 포함한다. 전체 식순은 전통적 관례를 따르지만 기념 연설에는 대통령과 정부 요인들 외에 일반 시민들의 순서도 넣는다. 연설은 대통령, 시민, 정부인사, 시민, 사회적 인사, 시민 식으로 신분 서열 순서를 없애고 섞어서 진행한다. 시민 연사로는 평범한 일반인, 흑인, 신체장애자 등이 포함된다. 시민 연사들은 솔직한 의견을 말한다. 흑인과 장애자는 평소의 사회에 대한
-공연 장소는 ‘상점 앞 극장’ 주로 사용 → 까페극장 앤디워홀의〈마지막 사랑〉
-〈Mr. Dead and Mrs. Free〉(1981년 오비상수상) 공연장면을 길에
-조지워싱턴 다리의 환경을 극에 활용 서서 바라보고 있다.
-극장 밖 길거리를 공연 공간으로 활용
이미지연극(The Theatre of Images)
본질적 : 시각적인 여러 매체들을 극적으로 무대화, 관객과 연기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 의식과 관념적인 환상이 충돌하고 대비 접촉하여 종래의 극장에서 체험하던 것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무대 시(stage poem)적 이 미지에 도달
근본적 : ‘해프닝’과 밀접하게 연결, 영상, 연기, 음악, 무용, 회화, 시각디자인 등 다매체를 활용
집단적으로 단편적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그 단편들을 다른 장르의 매체들과 동시 대비식으로 합성하거나 평행 병열하며 매체 간 연합을 통해 작품을 구성 → 시각 중심의 연극 ‘theatre of vision’
로버트 윌슨「버드 호프만 재단」
- 다매체 체계를 통해 비서술적, 비언어적인 연극세계를 창조
- 조명과 음악의 시청각적 효과를 극대화
- 움직임, 무용, 슬라이드, 드로잉 등의 회화적이고도 조형적인 배치와 조화를 통해 새로운 시각적 경험 세계를 시도
- 분해, 해체되어 본래의 의미 전달 기능 상실
- 감각적인 기호나 부호 : 시청각적 요소로 제시
리차드 포먼 「본체론적 히스테릭 극단」
- 대사 중심의 전통 연극에 비교하여 직관적인 이미지 중심 연극을 주장
- ‘정해진 목적 없는 메시지(disorientation massage)’의 연극
- ‘동시 발생적인 우연의 연극(theatre of coincidence)’이라고 정의
- 리 브루어는 자신의 작품이 전통역극에 비교되는 다매체를 활용하는 ‘공연 시(performance poem)’라고 부름
정리하기
오픈 씨어터
-조셉 체이킨의 리드, 공연보다 연습 과정에 중점을 둠, 공동창작 방식을 발전시킴, 비재현적 연기술 개발
해프닝
-애런 캐프로가 최초로 시도, 전시중인 작품의 모든 환경을 작품으로 인정, 다매체, 우연성 존중, 관중의 존재 인정
환경연극
-리차드 쉐크너가 주장, 무대와 객석의 구분을 없앰, 관객을 극적 요소로 인정, 극장과 접근 가능한 모든 환경을 극적 요소로 인정
이미지연극
-대사중심 연극을 반대하고 다매체를 활용을 통한 시각적 이미지 체험 시도, 종래의 문학적 희곡을 반대하고 독립적인 공연 대본을 사용, 비서술적 비언어적 무대창조, 대표적 연출가로는 로버트 윌슨, 리차드 포먼, 리 브루어 등
【13주차 1교시】 공연예술의 일상적 활용
학습목표
- 예술적 삶과 일상적 삶의 만남의 의미, 미적 감동의 세계와 선진 문화사회,
- 공연학적 아이디어의 일상에의 적용
공연예술의 일상적 활용
◆낭만주의 예술가 : 우리가 살고있는 이 세계를 타락한 속세로 규정하고 작품에 의한 미적 체험을 통해서 속세로부터 초월
◆모더니스트(modernist) : 실생활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려 하지만 여전히 질이 다른 두 가지의 세계로 보려하며, 예술 적 관점을 통해서 실생활을 바라보고 평가
포스트모더니스트(postmodernist)
- 예술 장르 간의 벽 허물기, 나아가서 실생활과의 경계 허물기
- 예술세계와 실생활을 동등시, 실생활을 예술세계 속에 끌어들여 작품화
ex) : 환경연극, 해프닝, 실생활 자체에서 미를 발견
◆ 여가사회
선진사회라고도 하는 여가사회에서는 삶의 질을 최대의 사회적 이슈로 삼는 것이 일반적
1. 실생활에 예술에서의 아이디어를 동원하는 일은 필연적일 수 밖에 없다.
- 이미 우리 사회에서도 그러한 기미들이 자주 감지된다.
2. 공연학
-집단적 인간군의 행동 형태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속성을 파악
-미적으로 재구성하여 감동적인 공연으로 작품화 하는 미적 사고 체계
-공연학의 아이디어를 실생활에 활용하는 경향이 확산
-미국, 영국 등과 같은 소위 문화 선진사회 자주 보인다.
행사의 공연화
◆공연예술
-원시 제의식(ritual)에서 기원
-오늘날에도 다양한 형태의 의식과 그 과정상의 행사들이 행해지고 있다.
-거의 모든 스포츠 경기는 본 경기에 앞서 여하한 형태로든 일정의 의식이나 세레모니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의식이나 세레모니들은 대게 그것이 시작된 초기의 전통적 모습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국경일 기념식
-장충동 국립극장이나 세종로 세종문화회관이 흔히 사용 → ‘proscenium-arch stage’형
-무대와 객석은 분리형이 일반적 → 객석은 시민의 자리
-무대에는 사회 지도층급의 지체 높은 분들의 자리를 지위의 순서에 따라 배정하는 것이 상식
-객석은 시민들의 자리, 식은 전반적으로 시민들은 소외되거나 수동적일 수 밖에 없으며 신분계층적이고 비민주적인 모습을 보임
◆공연적 아이디어를 활용한 성공적 행사의 예
1987년 7월 4일 워싱턴 D.C.에서의 미국 독립 200주년 기념식은 민주주의와 자유에 대한 의지를 무대적으로 구현한 행사로 유명하다. 기념식장은 원싱턴 D.C.의 아레나극장이었는데, 인류 평등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하여 원형무대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중앙에 합창대를 위한 원형 공간을 두고 그 둘레에 360° 원형으로 객석을 만든다. 고대 희랍 시대의 코러스를 연상케 한다. 원형으로 둘러앉았으므로 ‘proscenium arch stage’에서와 같이 단상의 귀빈과 단하의 시민으로 분리되는 모습이 없어졌다. 서로 동등하게 둘어 앉아 마주 보는 형태를 이룬다. 신분계층적 좌석 구도를 피하려는 의도다. 객석 앞줄에는 대통령과 정부 요인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앉고 그들 사이사이에 일반 시민들이 섞여 앉는다. 식은 환경연극 아이디어를 응용하여 시민들이 참여하는 순서를 포함한다. 전체 식순은 전통적 관례를 따르지만 기념 연설에는 대통령과 정부 요인들 외에 일반 시민들의 순서도 넣는다. 연설은 대통령, 시민, 정부인사, 시민, 사회적 인사, 시민 식으로 신분 서열 순서를 없애고 섞어서 진행한다. 시민 연사로는 평범한 일반인, 흑인, 신체장애자 등이 포함된다. 시민 연사들은 솔직한 의견을 말한다. 흑인과 장애자는 평소의 사회에 대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