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7차 교육과정의 상황-인터넷에 울려온 학생의 소리
2. 7차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3.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
4. 참교육을 위한 길
2. 7차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3.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
4. 참교육을 위한 길
본문내용
중요한 것인가?
배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됨\'을 배우는 것이다. 그러나 갈수록 치열한 경쟁속에서 공부를 해야만 하는 아이들의 마음속에 \'사람됨\'이란 명제가 가슴 깊이 뿌리 박혀 있을까? 또한 교사와 학생사이에 인격적인 만남이 유지될 수 있을까?
지금 세계적인 교육과정의 추세는 장애아동까지 통합하여 협력학습으로 나아가고 있지만 7차 교육과정은 80%의 낙오자를 만드는 교육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은 경쟁을 통한 효율성의 관점이 아니라 100년을 내다보는 복지적 관점에서 보아야 할 것이다. 우열반의 편성이 아니라 학습 수준과 학습내용의 적정화·감소를 이루어야 하며 협력학습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금의 학교는 아이들의 학교라고 말할 수 없다. 학생들이 원하는 활동은 줄어만 가고 실제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학교라는 것은 학생들의 삶을 풍성하게 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하고 학생들이 주체의식을 갖고 자기의 권리와 의무를 행사 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그 대안으로 각 학교에 학생회 기구를 법제화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교의 제반활동에서 학생을 교육주체롤 세워 학교 예·결산, 학교교육과정 운영 등에 대해 학생회 대표가 참여하여, 학생회가 학교운영의 한 축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특별활동 시간을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본다. 7차 교육과정은 실제적으로 과목도 늘어나고 다양한 과목을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특별활동을 할 시간과 심리적 여유가 없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함께 하는 교육\'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점점 더 삭막해져가는 세상에서 아이들에게 경쟁만을 부추긴다면 그들은 진정 삶의 의미를 느끼지 못하며 살아갈 것이며 비인간화가 횡행하는 국가와 사회가 이루어질 것이다. \'인간화\'의 문제는 교육에 달려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은 무서운 힘을 갖고 있다. 교육자의 입장에 선 우리들은 이러한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고민해야만 하며 참교육을 위한 길을 끊임없이 생각해야 할 것이다.
《참고 도서》
·천보선, 김학한 「신자유주의와 한국교육의 진로」 서울 : 한울, 1998
·「교육 마당」 교육인적자원부, 2000, 11월호 2001, 3월호
·「처음 처럼」 내일을 여는책, 2000, 7-8월호 2001, 1-2월호
· http://ktu.or.kr/
· http://myhome.netsgo.com/
· http://moe.go.kr/
배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됨\'을 배우는 것이다. 그러나 갈수록 치열한 경쟁속에서 공부를 해야만 하는 아이들의 마음속에 \'사람됨\'이란 명제가 가슴 깊이 뿌리 박혀 있을까? 또한 교사와 학생사이에 인격적인 만남이 유지될 수 있을까?
지금 세계적인 교육과정의 추세는 장애아동까지 통합하여 협력학습으로 나아가고 있지만 7차 교육과정은 80%의 낙오자를 만드는 교육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은 경쟁을 통한 효율성의 관점이 아니라 100년을 내다보는 복지적 관점에서 보아야 할 것이다. 우열반의 편성이 아니라 학습 수준과 학습내용의 적정화·감소를 이루어야 하며 협력학습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금의 학교는 아이들의 학교라고 말할 수 없다. 학생들이 원하는 활동은 줄어만 가고 실제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학교라는 것은 학생들의 삶을 풍성하게 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하고 학생들이 주체의식을 갖고 자기의 권리와 의무를 행사 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그 대안으로 각 학교에 학생회 기구를 법제화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교의 제반활동에서 학생을 교육주체롤 세워 학교 예·결산, 학교교육과정 운영 등에 대해 학생회 대표가 참여하여, 학생회가 학교운영의 한 축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특별활동 시간을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본다. 7차 교육과정은 실제적으로 과목도 늘어나고 다양한 과목을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특별활동을 할 시간과 심리적 여유가 없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함께 하는 교육\'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점점 더 삭막해져가는 세상에서 아이들에게 경쟁만을 부추긴다면 그들은 진정 삶의 의미를 느끼지 못하며 살아갈 것이며 비인간화가 횡행하는 국가와 사회가 이루어질 것이다. \'인간화\'의 문제는 교육에 달려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은 무서운 힘을 갖고 있다. 교육자의 입장에 선 우리들은 이러한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고민해야만 하며 참교육을 위한 길을 끊임없이 생각해야 할 것이다.
《참고 도서》
·천보선, 김학한 「신자유주의와 한국교육의 진로」 서울 : 한울, 1998
·「교육 마당」 교육인적자원부, 2000, 11월호 2001, 3월호
·「처음 처럼」 내일을 여는책, 2000, 7-8월호 2001, 1-2월호
· http://ktu.or.kr/
· http://myhome.netsgo.com/
· http://moe.g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