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모방론
2. 재현론
3. 신-재현론(The Neo-Representational Theory of Art)
4. 회화적 재현(pictorial representation)의 특징
2. 재현론
3. 신-재현론(The Neo-Representational Theory of Art)
4. 회화적 재현(pictorial representation)의 특징
본문내용
. 따라서 지도에서의 재현은 회화적 재현이 아닐 수 있다. 이러한 \"알아차림\"을 가능하게 해주는 방법이 \"닮음\"이라면 이 견해는 전통적 견해와 겹친다. 하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것이 바로 과학(아마도 예술 심리학)의 영역이 될 것이다. 예술 철학은 \"무엇이 \'X가 Y를 회화에서 재현했다\'의 의미인가?\"라는 질문에 \"\'알아차림\'이라는 개념이 핵심적이다\"라는 답변에서 멈춘다. \"어떻게 알아차리는가?\"는 심리학적인 질문인 것 같다.
참고문헌 ------------------------------------------------------
1. 그.네도쉬운 지음, 최철준 옮김, 예술론 개요, 한국문화사, 1999.
2. HAROLD OSBORNE 지음, 서배식 옮김, 미학과 예술론, 대왕사, 1984.
참고문헌 ------------------------------------------------------
1. 그.네도쉬운 지음, 최철준 옮김, 예술론 개요, 한국문화사, 1999.
2. HAROLD OSBORNE 지음, 서배식 옮김, 미학과 예술론, 대왕사, 198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