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사고의 방향을 알려주고 행위의 동기를 마련해주고 있다. 지금도 우리는 아름다운 자연 속에 유유자적하는 삶을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또는 험난한 세상 속에서도 자기 분수를 알고 여유있는 태도를 취하는 당당하고 의젓한 사람에게서, 또는 온갖 불행의 연속에도 굴하지 않고 초연한 모습으로 자기 소임을 다하는 사람에게서 늘 노자의 도가적인 낌새를 느낀다. 그런 사람들은 우리의 동경의 대상이 된다. 한마디로 도덕경은 사람들의 꿈의 집합체이며, 꼭 도달하고픈 유토피아인 것이다. 실현할 수 없는 것을 알기에 더욱 더 간절한, 그런 이상의 세계. 실현가능성이 없다 해도 혼란스럽고 힘든 세상에서 도덕경이라는 책으로 마음의 위안을 삼고, 좀더 자신을 수련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도덕경의 존재가치는 충분하다고 본다.
추천자료
한의 기원과 역사
[사범/법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중국의 미중종교와 한국의 도교는
배움의 도를 읽고
도교란 무엇인가
2010년 1학기 동서양고전 기말시험 핵심체크
동서양고전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0년 동계계절시험 동서양고전 시험범위 핵심체크
[유교적 공동체][유교적 전통][유교적 인간관][유교적 근본주의][유교적 참여]유교적 공동체,...
광주시 폴리 비평
도가사상과 방중술(房中術) - 도(道)란 무엇인가, 도교 방중술, 방중술 수련법과 테크릭, 체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A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arl Logers)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