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1. 이전의 교육과정과의 차이점과 이 과제를 통하여 의도한바
2. 과연 확률 교육은 학교 교육에서 필요한 것인가?
3. 과연 그렇다면 학생들의 확률 이해를 위해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가?
4. 그렇다면 우리는 확률을 어떻게 이해시키면서 쉽게 학습시킬 수 있을까?
5. 제 1차시 수업과정 및 목표, 계획
6. 제 2차시 수업과정 및 목표, 계획.
7. 제 3차시 수업과정 및 목표, 계획
8. 제 4차시 수업과정 및 목표, 계획.
9. 제 5차시 수업과정 및 목표, 계획.
10. 제 6차시 수업과정 및 목표, 계획.
11. 제 7차시 수업과정 및 목표, 계획.
12. 새롭게 시도한 확률학습방식과 기존의 학습방식의 특징 및 장단점
2. 과연 확률 교육은 학교 교육에서 필요한 것인가?
3. 과연 그렇다면 학생들의 확률 이해를 위해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가?
4. 그렇다면 우리는 확률을 어떻게 이해시키면서 쉽게 학습시킬 수 있을까?
5. 제 1차시 수업과정 및 목표, 계획
6. 제 2차시 수업과정 및 목표, 계획.
7. 제 3차시 수업과정 및 목표, 계획
8. 제 4차시 수업과정 및 목표, 계획.
9. 제 5차시 수업과정 및 목표, 계획.
10. 제 6차시 수업과정 및 목표, 계획.
11. 제 7차시 수업과정 및 목표, 계획.
12. 새롭게 시도한 확률학습방식과 기존의 학습방식의 특징 및 장단점
본문내용
의해 해석, 선정, 조직된 가치 체계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양미경): 학습자의 주체적인 해석의 과정을 중시하고, 학습자의 당사자적인 참여와 체험을 전제로 학습이 성립해야 하며, 학습자 내부에서 비롯되고 갱신되어 가는 자신의 목표 의식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의 자발적인 의지와 통제력을 신뢰해야 한다.
(박영배): 교과서에 학생 중심적 개별화의 원리, 발문 중심적 상호 작용의 원리, 의미 지향적 활동의 원리, 반영적 추상화의 원리를 반영해야 한다.
III. 구성주의의 수학 교과서에의 구현
1. 수학 교과서에서 수학적 지식의 조작적 성격의 구현
활동 중심적 수학 교수 학습의 원리: 아동에게 구체적인 조작 활동을 하게 하여 아동이 활동으로부터 의미 있게 수학적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자. 조작활동을 수학 교과서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각의 수학 내용이 어떤 조작으로부터 추상된 것인가를 알아야 한다. 조작활동을 수학 교과서에 구현한다고 할 때 그것이 중등학교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생각해보아야 한다.
2. 수학 교과서에서 수학적 지식의 공적(사회적) 성격의 구현
사회적 구성주의에 따르면, 수학적 지식의 형성 과정에서 사회적인 비판과 합의과정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회적 상호작용(의사소통과 합의)을 수학 교수 학습과 수학 교과서에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자. 과제제시 조별활동 발표 및 토의 토의결과 정리
3. 학생들의 수준차를 고려한 다양한 수준의 수학 교과서
급진적 구성주의는 학생 개개인이 각기 다양한 방식으로 그들 자신의 지식을 구성하도록 하는 교육을 지지한다. 학생들의 다양성과 개인차를 고려하여 가능한 한 수준별 이동수업이나 열린 교육과 같은 차별화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느낀 점 -확률의 수업 시나리오를 작성하면서..... >
이번 수업 시나리오 과제를 하면서 정말 그동안에 생각지 못한 것들을 생각할 수 있었다. 우리 조가 한 부분은 수학의 확률과 관련된 부분이었다.
여기서 우리나라와 미국의 수업 방식을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미국 수업방식의 특징으로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각 영역과 과목간의 통합, 사회적이슈·문제현상(실생활)과 관련된 수업 소재의 선택, 주관식형 평가방식 등을 볼 수 있다. 그 밖에 평가결과는 학습자의 능력을 파악하여 학습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주의할만하다.
이처럼 미국수업의 특징들을 우리나라의 교육방식에 접목하여 수업 시나리오를 작성하라는 과제를 받았을 때는 정말 난감했다. 과연 어떤 식으로 수업 시나리오를 만들어야 할까? 그리고 소재는 어떤 것을 사용해야 될까?
과연 수업 시간에 확률에 대한 배운 내용 중 어떤 내용이 기억이 날까? 약간씩의 차이가 날수도 있겠지만, 보통 확률과 관련된 이론만이 어렴풋이 떠오르지 않을까? 우리의 경우에는 확률과 관련된 수업이 아주 지루하고 재미가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러한 기존의 수업방식의 변화를 이루고자, 미국의 수업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요즘의 현실이지만, 실효를 거두고 있지는 않은 것 같다.
지금 우리가 이번 과제를 하는 목적도 이런 현실을 개혁하고자 하는 노력 중의 하나일 것이다. 이번 과제를 진행하면서 가장 중점을 둔 점은 '흥미있고 재미있는 수업'을 하면서 확률을 가르치는 것이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확률과 관련된 일화를 제시하는 것, 아니면 확률과 관련된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했다. 예를 들어서, 확률과 관련하여 '도박이 확률부터 시작되었다'라는 내용을 수업 전에 학습자들에게 얘기한다든지, 아니면 '당신이 운동장에 나가서 축구를 할 경우 죽을 확률은 어떻게 될까?'와 같이 한번쯤 생각해 봐야 할 흥미있는 질문을 한다든지, 얼마든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이런 수업을 함으로써 학습자의 주의 집중을 유발할 수 있지만, 자칫 정작 배워야 할 확률과 관련된 기본 지식 습득에 대해서는 소홀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결국, 가장 적합한 수업이라는 것은 확률에 대한 기본 지식 습득과 학습자의 흥미 유발이라는 두 마리의 새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수업이라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말하는 건 쉽겠지만, 이것을 실천하는데 있어서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가능성이 있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이번 과제를 하면서 약간은 생소한 소재나 평가기준을 도입하였다. 기존의 수업에 익숙해져 있던 우리는 처음에는 방향조차 잡지 못하면서 방황하였지만, 조금씩 과제를 하면서 방향을 잡고, 내용을 선정하고, 평가기준·성취기준을 만들면서 성장해가는 느낌을 받았다.
우리는 과연 일선에 나가서 어떠한 형태의 수업을 진행할까? 이번 과제를 하는 것처럼 기존의 수업에 반대하여 새로운 수업시나리오를 만들어서 수업을 할 수 있을까? 아님 지금까지 우리 선배들이 그렇게 해 왔던 것처럼 기존의 전철을 밟을까? 우리는 후자의 경우가 될까봐 아주 두렵다. 이런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서 지금부터 부단한 노력을 해야겠다. 아직 우리에게는 부족한 것이 너무 많다.
이번 과제는 우리에게 아주 큰 경종을 울리도록 만들어 주었다는 점에서 크게 감사한다.
한 학기 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참 고 문 헌
수학사랑 저널 http://www.mathlove.or.kr/doc/mf4/
수학사랑 1, 2, 3회 MF 프로시딩
데보라 J.베넷, 확률의 함정, 영림카디널, 2000
이경화, 확률 개념의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학위 논문,1996
우정호,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부,1998
중학교 수학 8(나), 박윤범 외 3인, 대한교과서(주)
중학교 수학 8(나) 교사용 지도서, 박윤범 외 3인, 대한교과서(주)
NCTM(1992).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경문사
과학동아
수학사랑 저널 27호, 2001. 6, 이해를 위한 학습
http://www.cue.ac.kr/~eerc/clinic.htm 진주 교육대학교 초등연구소
www.edunet4u.net/top.html (에듀넷 수업자료)
www.education.chonnam.ac.kr (복권당첨확률과 관련된 내용)
(양미경): 학습자의 주체적인 해석의 과정을 중시하고, 학습자의 당사자적인 참여와 체험을 전제로 학습이 성립해야 하며, 학습자 내부에서 비롯되고 갱신되어 가는 자신의 목표 의식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의 자발적인 의지와 통제력을 신뢰해야 한다.
(박영배): 교과서에 학생 중심적 개별화의 원리, 발문 중심적 상호 작용의 원리, 의미 지향적 활동의 원리, 반영적 추상화의 원리를 반영해야 한다.
III. 구성주의의 수학 교과서에의 구현
1. 수학 교과서에서 수학적 지식의 조작적 성격의 구현
활동 중심적 수학 교수 학습의 원리: 아동에게 구체적인 조작 활동을 하게 하여 아동이 활동으로부터 의미 있게 수학적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자. 조작활동을 수학 교과서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각의 수학 내용이 어떤 조작으로부터 추상된 것인가를 알아야 한다. 조작활동을 수학 교과서에 구현한다고 할 때 그것이 중등학교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생각해보아야 한다.
2. 수학 교과서에서 수학적 지식의 공적(사회적) 성격의 구현
사회적 구성주의에 따르면, 수학적 지식의 형성 과정에서 사회적인 비판과 합의과정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회적 상호작용(의사소통과 합의)을 수학 교수 학습과 수학 교과서에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자. 과제제시 조별활동 발표 및 토의 토의결과 정리
3. 학생들의 수준차를 고려한 다양한 수준의 수학 교과서
급진적 구성주의는 학생 개개인이 각기 다양한 방식으로 그들 자신의 지식을 구성하도록 하는 교육을 지지한다. 학생들의 다양성과 개인차를 고려하여 가능한 한 수준별 이동수업이나 열린 교육과 같은 차별화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느낀 점 -확률의 수업 시나리오를 작성하면서..... >
이번 수업 시나리오 과제를 하면서 정말 그동안에 생각지 못한 것들을 생각할 수 있었다. 우리 조가 한 부분은 수학의 확률과 관련된 부분이었다.
여기서 우리나라와 미국의 수업 방식을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미국 수업방식의 특징으로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각 영역과 과목간의 통합, 사회적이슈·문제현상(실생활)과 관련된 수업 소재의 선택, 주관식형 평가방식 등을 볼 수 있다. 그 밖에 평가결과는 학습자의 능력을 파악하여 학습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주의할만하다.
이처럼 미국수업의 특징들을 우리나라의 교육방식에 접목하여 수업 시나리오를 작성하라는 과제를 받았을 때는 정말 난감했다. 과연 어떤 식으로 수업 시나리오를 만들어야 할까? 그리고 소재는 어떤 것을 사용해야 될까?
과연 수업 시간에 확률에 대한 배운 내용 중 어떤 내용이 기억이 날까? 약간씩의 차이가 날수도 있겠지만, 보통 확률과 관련된 이론만이 어렴풋이 떠오르지 않을까? 우리의 경우에는 확률과 관련된 수업이 아주 지루하고 재미가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러한 기존의 수업방식의 변화를 이루고자, 미국의 수업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요즘의 현실이지만, 실효를 거두고 있지는 않은 것 같다.
지금 우리가 이번 과제를 하는 목적도 이런 현실을 개혁하고자 하는 노력 중의 하나일 것이다. 이번 과제를 진행하면서 가장 중점을 둔 점은 '흥미있고 재미있는 수업'을 하면서 확률을 가르치는 것이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확률과 관련된 일화를 제시하는 것, 아니면 확률과 관련된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했다. 예를 들어서, 확률과 관련하여 '도박이 확률부터 시작되었다'라는 내용을 수업 전에 학습자들에게 얘기한다든지, 아니면 '당신이 운동장에 나가서 축구를 할 경우 죽을 확률은 어떻게 될까?'와 같이 한번쯤 생각해 봐야 할 흥미있는 질문을 한다든지, 얼마든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이런 수업을 함으로써 학습자의 주의 집중을 유발할 수 있지만, 자칫 정작 배워야 할 확률과 관련된 기본 지식 습득에 대해서는 소홀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결국, 가장 적합한 수업이라는 것은 확률에 대한 기본 지식 습득과 학습자의 흥미 유발이라는 두 마리의 새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수업이라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말하는 건 쉽겠지만, 이것을 실천하는데 있어서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가능성이 있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이번 과제를 하면서 약간은 생소한 소재나 평가기준을 도입하였다. 기존의 수업에 익숙해져 있던 우리는 처음에는 방향조차 잡지 못하면서 방황하였지만, 조금씩 과제를 하면서 방향을 잡고, 내용을 선정하고, 평가기준·성취기준을 만들면서 성장해가는 느낌을 받았다.
우리는 과연 일선에 나가서 어떠한 형태의 수업을 진행할까? 이번 과제를 하는 것처럼 기존의 수업에 반대하여 새로운 수업시나리오를 만들어서 수업을 할 수 있을까? 아님 지금까지 우리 선배들이 그렇게 해 왔던 것처럼 기존의 전철을 밟을까? 우리는 후자의 경우가 될까봐 아주 두렵다. 이런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서 지금부터 부단한 노력을 해야겠다. 아직 우리에게는 부족한 것이 너무 많다.
이번 과제는 우리에게 아주 큰 경종을 울리도록 만들어 주었다는 점에서 크게 감사한다.
한 학기 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참 고 문 헌
수학사랑 저널 http://www.mathlove.or.kr/doc/mf4/
수학사랑 1, 2, 3회 MF 프로시딩
데보라 J.베넷, 확률의 함정, 영림카디널, 2000
이경화, 확률 개념의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학위 논문,1996
우정호,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부,1998
중학교 수학 8(나), 박윤범 외 3인, 대한교과서(주)
중학교 수학 8(나) 교사용 지도서, 박윤범 외 3인, 대한교과서(주)
NCTM(1992).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경문사
과학동아
수학사랑 저널 27호, 2001. 6, 이해를 위한 학습
http://www.cue.ac.kr/~eerc/clinic.htm 진주 교육대학교 초등연구소
www.edunet4u.net/top.html (에듀넷 수업자료)
www.education.chonnam.ac.kr (복권당첨확률과 관련된 내용)
추천자료
통계학개론
6학년 과학 7단원 전자석 지도안 세안
선형계획법 과제 연습문제
학문 분야 중심 교육과정 통합
한번 보면 이야기책 두 번 보면 경영학책 [독서감상문] 경영서적을 읽고
수학교육 내용정리
심리학의 오해(K.E. 스타노비치) - 감상문/독후감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3학년 수학과(수학교육) 목표, 초등학교 3학년 수학과(수학교육) 실태와 내용, 초등...
수학과교육 측정영역학습지도의 개념, 수학과교육 측정영역학습지도의 의의, 수학과교육 측정...
윈스턴 처칠의 일생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연구
1승 9패의 진정한 의미(야나이 다다시와 애플의 스티븐잡스)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의 강화 및 조건형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