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선천성 심장질환에 대한 동향
Ⅱ. 본론
1. 활로씨 4징후의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단
5. 합병증
6. 치료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선천성 심장질환에 대한 동향
Ⅱ. 본론
1. 활로씨 4징후의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단
5. 합병증
6. 치료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nate 1~2 cc/kg sig IV →Morphine
sulfate 0.1~0.2 mg/kg sig SQ or IM →propranolol 0.1mg/kg IV, 1~4mg/kg/day PO →
Phenylephrine 0.02mg/kg IV →Ketamine 1~3mg/kg IV →Correct anemia (Hct 은 55~65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65 이상이면 phlebotomy 시행)
3)수술적 치료
①적응증 : 어린 영아에서 청색증이 심하고 적혈구 과당증이 심하며, 저산소 발작이나 실신 발작
이 자주 반복될 때에는 우선 단락 수술을 해 주었다가 18~36 개월에 완전 교정술을 해주거나
또는 처음부터 교정수술을 해준다.
②시기 : 생후 1년 이내에 바람직하지 못한 자연 경과를 보이면 즉시 완전교정술을 시행한다.
생후 1~2개월 정도에 진단되어 심한 증상이 있다면 1차로 고식적 단락술을 시행하고 12개월 이
내에 완전 교정술을 계획한다. 매우 어린 나이에 진단이 내려졌으나 증상이 경미하고 해부학적
형태가 복잡하지 않으면 3~24개월에 시행하나, 근래에는 조기 수술을 하는 경향이다.
③방법
A. 단락수술
-3개월 이후에는 Blalock-Taussing 수술법(쇄골하동맥-폐동맥 고혈압을 유발시킬수 잇어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3개월 미만에서는 Gore -tex shunt 가 이용된다.
-Waterson 이나 Pott 수술은 울혈성 심부전이나 폐동맥 고혈압을 유발 시킬 수 있어 별로 사용
되지 않는다.
B. 우심실 유출로 : 누두부 중격의 parietal extension을 절제하여 내경을
sulfate 0.1~0.2 mg/kg sig SQ or IM →propranolol 0.1mg/kg IV, 1~4mg/kg/day PO →
Phenylephrine 0.02mg/kg IV →Ketamine 1~3mg/kg IV →Correct anemia (Hct 은 55~65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65 이상이면 phlebotomy 시행)
3)수술적 치료
①적응증 : 어린 영아에서 청색증이 심하고 적혈구 과당증이 심하며, 저산소 발작이나 실신 발작
이 자주 반복될 때에는 우선 단락 수술을 해 주었다가 18~36 개월에 완전 교정술을 해주거나
또는 처음부터 교정수술을 해준다.
②시기 : 생후 1년 이내에 바람직하지 못한 자연 경과를 보이면 즉시 완전교정술을 시행한다.
생후 1~2개월 정도에 진단되어 심한 증상이 있다면 1차로 고식적 단락술을 시행하고 12개월 이
내에 완전 교정술을 계획한다. 매우 어린 나이에 진단이 내려졌으나 증상이 경미하고 해부학적
형태가 복잡하지 않으면 3~24개월에 시행하나, 근래에는 조기 수술을 하는 경향이다.
③방법
A. 단락수술
-3개월 이후에는 Blalock-Taussing 수술법(쇄골하동맥-폐동맥 고혈압을 유발시킬수 잇어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3개월 미만에서는 Gore -tex shunt 가 이용된다.
-Waterson 이나 Pott 수술은 울혈성 심부전이나 폐동맥 고혈압을 유발 시킬 수 있어 별로 사용
되지 않는다.
B. 우심실 유출로 : 누두부 중격의 parietal extension을 절제하여 내경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