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경제변동(經濟變動)의 의미와 유형
제 1절. 경제변동(經濟變動) 이란?
제 2절. 경제변동(經濟變動)의 4가지 유형
(1) 장기추세변동(trend, T)
(2) 경기순환(business cycle, C)
(3) 계절변동(seasonal fluctuations, S)
(4) 불규칙변동 또는 우연변동(irregular or random fluctuations, I)
제 3절. 경기변동(景氣變動)의 특징
제 2장. 경기순환(景氣循環)국면과 종류
제 1절. 순환주기란 무엇인가?
제 2절. 경기순환(景氣循環)의 국면
(1) 경기순환(景氣循環)의 분석방법
(2) 경기순환(景氣循環)의 국면
1. 밋첼의 2분법
2. 3분법
3. 슘페터의 4분법
4. 5분법
5. 6분법
(3) 경기순환(景氣循環)의 국면에 따른 특징
제 3절. 경기순환(景氣循環)의 종류
(1) 단기의 키친 순환 (Kitchen Cycle) = 소순환
(2) 장기의 쥬글러 순환 (Juglar cycle)
(3) 크즈네츠 순환
(4) 최장기의 콘드라티에프 파동 (Kondratieff wave)
제 4절. 경기 순환(景氣循環)의 지속성과 변동성 문제
(1) 유발투자(induced investment)의 역할을 강조하는 견해
(2) 자본재투자에서 건설기간을 강조하는 견해
(3) 가격이나 임금의 경직성을 근거로 경기변동의 지속성을 설명하는 견해
제 3장. 경기지수(景氣指數)의 종류와 작성방법
제1절. 경기지수(景氣指數)의 분류와 한계
(1) 경기지수(景氣指數)의 분류
(2) 경기지수(景氣指數)의 의의와 한계
제 2절. 경기지수(景氣指數)의 종류와 작성방법
(1) 경기확산지수(DI)
(2) 기업실사지수(BIS)
(3) 경기종합지수(CI)
제 4장. 경기변동(景氣變動)이론의 발전
제 1절. 외생적 경기학설
(1) 제본스 (W.S Jevons)의 태양 흑점설
(2) 피구 (A.C Pigou) 의 심리설
제 2절. 케인즈 이전의 내생적 경기변동이론
(1) 세이 (J.B Say)의 부분적 과잉생산설 (세이의 법칙)
(2) 맬서스(T.R Malthus)의 일반적 과잉생산설
(3) 아프타리온(A. Aftalion)의 가속도 원리와 과잉 투자설
(4) 호트레이(R.G Hawtrey)의 화폐적 과잉투자설
(5) 슘페터(J.A Schumpter)의 혁신설
(6) 마르크스(K. Marx)학파의 공황이론
제 3절. 케인즈 이후의 경기변동이론
(1) 사뮤엘슨(P.A Samuelson)의 승수·가속도 원리 결합 모형
(2) 힉스(J. Hicks)의 제약된 순환 이론
(3) 블랑샤드(O. blanchard)의 승수-가속도 모형의 재검토
제 4절. 새고전학파의 경기변동이론
(1) 화폐적 경기변동이론 : 루카스 공급곡선
(2) 실물적 경기변동 이론
제 5절. 새 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이론
(1) 맨큐 (N.G Mankiw)의 메뉴비용이론
제 6절. 최근의 경기변동이론
(1) 금융 가속도 이론(financial accelerator theory)
(2) 릴리엔(D. Lilien)의 부문간 이동 모형
(3) 동태적 요소모형
(4) 정치적 경기변동이론
제 1절. 경제변동(經濟變動) 이란?
제 2절. 경제변동(經濟變動)의 4가지 유형
(1) 장기추세변동(trend, T)
(2) 경기순환(business cycle, C)
(3) 계절변동(seasonal fluctuations, S)
(4) 불규칙변동 또는 우연변동(irregular or random fluctuations, I)
제 3절. 경기변동(景氣變動)의 특징
제 2장. 경기순환(景氣循環)국면과 종류
제 1절. 순환주기란 무엇인가?
제 2절. 경기순환(景氣循環)의 국면
(1) 경기순환(景氣循環)의 분석방법
(2) 경기순환(景氣循環)의 국면
1. 밋첼의 2분법
2. 3분법
3. 슘페터의 4분법
4. 5분법
5. 6분법
(3) 경기순환(景氣循環)의 국면에 따른 특징
제 3절. 경기순환(景氣循環)의 종류
(1) 단기의 키친 순환 (Kitchen Cycle) = 소순환
(2) 장기의 쥬글러 순환 (Juglar cycle)
(3) 크즈네츠 순환
(4) 최장기의 콘드라티에프 파동 (Kondratieff wave)
제 4절. 경기 순환(景氣循環)의 지속성과 변동성 문제
(1) 유발투자(induced investment)의 역할을 강조하는 견해
(2) 자본재투자에서 건설기간을 강조하는 견해
(3) 가격이나 임금의 경직성을 근거로 경기변동의 지속성을 설명하는 견해
제 3장. 경기지수(景氣指數)의 종류와 작성방법
제1절. 경기지수(景氣指數)의 분류와 한계
(1) 경기지수(景氣指數)의 분류
(2) 경기지수(景氣指數)의 의의와 한계
제 2절. 경기지수(景氣指數)의 종류와 작성방법
(1) 경기확산지수(DI)
(2) 기업실사지수(BIS)
(3) 경기종합지수(CI)
제 4장. 경기변동(景氣變動)이론의 발전
제 1절. 외생적 경기학설
(1) 제본스 (W.S Jevons)의 태양 흑점설
(2) 피구 (A.C Pigou) 의 심리설
제 2절. 케인즈 이전의 내생적 경기변동이론
(1) 세이 (J.B Say)의 부분적 과잉생산설 (세이의 법칙)
(2) 맬서스(T.R Malthus)의 일반적 과잉생산설
(3) 아프타리온(A. Aftalion)의 가속도 원리와 과잉 투자설
(4) 호트레이(R.G Hawtrey)의 화폐적 과잉투자설
(5) 슘페터(J.A Schumpter)의 혁신설
(6) 마르크스(K. Marx)학파의 공황이론
제 3절. 케인즈 이후의 경기변동이론
(1) 사뮤엘슨(P.A Samuelson)의 승수·가속도 원리 결합 모형
(2) 힉스(J. Hicks)의 제약된 순환 이론
(3) 블랑샤드(O. blanchard)의 승수-가속도 모형의 재검토
제 4절. 새고전학파의 경기변동이론
(1) 화폐적 경기변동이론 : 루카스 공급곡선
(2) 실물적 경기변동 이론
제 5절. 새 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이론
(1) 맨큐 (N.G Mankiw)의 메뉴비용이론
제 6절. 최근의 경기변동이론
(1) 금융 가속도 이론(financial accelerator theory)
(2) 릴리엔(D. Lilien)의 부문간 이동 모형
(3) 동태적 요소모형
(4) 정치적 경기변동이론
본문내용
iw)는 이처럼 사소해 보이는 메뉴비용의 존재가 재화가격의 경직성을 유발하고 결국 경기변동을 발생시킬 수 있음을 설명한다.
제 6절. 최근의 경기변동이론
(1) 금융 가속도 이론(financial accelerator theory)
우리는 앞에서 어떻게 비교적 작은 충격이 총경제 활동의 대폭적인 변동을 가져올 수 있는가 하는 수수께끼를 논의하였다. 예를 들면 장기 실질 이자율에 대해서 비교적 경미한 영향을 미치는 통화정책의 변동이 투자와 총생산에 커다란 변동을 몰고 오는 경우가 많다. 금융가속도 이론은 「작은 충격, 큰 변동」(small shock, large cycle)의 원인을 자금시장의 특성에서 찾으려고 한다. 버낸키(B. Bernanke) 거틀러(M. gertler) 길크리스트(S. Gilchrist)는 자금시장의 변동이 최초의 실질 또는 화폐적 충격의 효과를 증폭시키고(amplify) 증식시킴(propagate)을 발견하였다.
그들 이론의 요점은 기업이나 가계가 지나치게 많은 신용(대출)을 안고 있을 경우 그들은 경기 변동에 가장 민감한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비우호적인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해보자. 이러한 충격은 자금시장의 조건을 악화시켜 그러한 기업이나 가계의 외부자금에 대한 접근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기업이나 가계가 외부자금의 차입을 가장 필요로 하는 시점이기도 하다.
그 결과 가계의 지출과 기업의 투자가 둔화되고 이러한 지출의 감소는 경기침체를 더욱 악화시킨다. 버낸키 등은 자급시장의 조건의 작은 변동에 의해 야기된 최초의 충격이 총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금융가속도(financial accelerate)라고 불렀다.
그들은 자금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거래비용(이자를 포함한)을 부담하는 차입자가 경기침체의 1차적 희생자가 되며 이러한 차입자에 의한 지출, 생산 및 투자의 감축이 경기침체의 효과를 더욱 악화시킨다고 주장한다.
(2) 릴리엔(D. Lilien)의 부문간 이동 모형
부문간 이동모형(sectoral shift model)은 외적 충격을 경기후퇴에 연관시키고 있는 점에서 실물경기순환이론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 이 모형은 경기변동의 원인을 어느 산업에는 우호적이지만 다른 산업에는 비우호적인 외적충격에서 찾는다.
이러한 충격은 근로자의 산업간 재 이동을 촉발시킨다. 이런 이동의 과정에서 전체실업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고 총생산이 감소한다. 그 이유는 충격을 받아 위축되는 산업에서 해고되는 많은 근로자들이 충격의 영향으로 호황을 누리는 산업에서 일자리를 찾을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이들 실업의 대부분은 구조적(일부는 마찰적)실업이다. 구조적 실업 상태에 있는 실직자들이 새로운 기술을 요하는 다른 산업에 흡수되기 위해서는 직업 재훈련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그들은 상당한 기간 구조적 실업자로 남아 있게 될 것이며 그 영향으로 총생산은 둔화된다.
이러한 부문간 이동은 주로 외적충격이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에 변화를 가져오던 가 또는 상품을 생산하는 상대적 비용에 변동을 가져오기 때문에 일어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떤 상품이나 용역의 생산이 보다 에너지 소비적일 경우 석유가격상승은 이러한 상품의 생산 비용을 상대적으로 높게 만들어 부문간 이동을 촉진시킨다.
(3) 동태적 요소모형
최근의 경기변동 이론의 한 특징적인 현상은 경기순환 시에 나타나는 거시경제변수들의 움직임의 특징을 단위 근(unit roots)과 공적분(cointegration)과 같은 시계열분석의 관점에서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예를 들면 스탁(J. Stock)과 왓슨(M. Watson)은 경기변동시 많은 거시경제변수들의 비정상형태(nonstationarity)를 체제전환(regime switching)의 관점에서 분석하려는 노력으로써 이는 해밀턴(J. Hamilton)에 의해 주도되어 왔다.
해밀턴의 체제전환 모형은 경제상태를 경기확장과 경기수축의 두 개의 상태(state)로 구분하고 경제가 경기 확장기에 놓을 확률과 경기 수축기에 놓을 확률을 모형 안에 반영한다.
이러한 모형에서는 경기확장에서 경기수축으로 또는 경기수축에서 경기확장으로 경제상태가 전환되는 확률을 구명함으로써 경기변동의 전환점(turning point)을 찾으려고 한다
최근 디볼드(F. Diebold)와 루드부쉬(G. Rudbush)는 동태적 요소모형과 체제전환 모형을 종합하는 이론을 개발하고 있다.
(4) 정치적 경기변동이론
앞장에서 잠시 알아본 바 있는 정치적 경기변동이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예일대학의 페어(R. Fair)는 1916년부터 76년까지 미국의 대통령 선거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경제 상황이 선거 결과에 매우 심대한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특히 그는 선거가 있는 해에 실업률이 감소하거나 1인당국민소득이 증가할 경우 현직 대통령이 재선되거나 현직 대통령 소속 정당인 여당의 후보자가 당선되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노드하우스(W. Nordhaus)가 제안한 정치적 경기순환이론(Political business cycle)에 의하면 현직 대통령은 선거가 있는 해에 경제를 부양시키기 위해 통화 및 재정확대정책을 시행하고픈 유혹을 받는다. 그 이유는 페어의 결과가 보여주듯이 실업률의 하락과 소득의 증가가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을 크게 높여 주기 때문이다. 미국의 37대 닉슨 대통령이 72년 그의 재선을 위하여 통화 및 재정확대정책을 채택한 것은 잘 알려진 일이며 이러한 확대정책은 그 이후 미국 경제에 많은 주름살을 가져왔고 이는 미국에 있어서 가장 대표적인 정치적 경기순환의 예로 꼽힌다. 선거 경기이론은 대통령 선거기간 중 확대 재정 및 통화정책의 영향으로 실업이 일시적으로 하락하고 소득이 증가하게 되지만 그 여파로 선거 후에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되어 정부는 다시 긴축정책으로 선회하게 될 가능성이 많다는 점을 주목한다. 정치인들은 일단 당선만 되면 이제는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기 위해 긴축정책으로 정책기조를 바꾸려고 하며 이에 따라 실업은 다시 늘고 소득이 둔화되는 등 경기순환이 일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제 6절. 최근의 경기변동이론
(1) 금융 가속도 이론(financial accelerator theory)
우리는 앞에서 어떻게 비교적 작은 충격이 총경제 활동의 대폭적인 변동을 가져올 수 있는가 하는 수수께끼를 논의하였다. 예를 들면 장기 실질 이자율에 대해서 비교적 경미한 영향을 미치는 통화정책의 변동이 투자와 총생산에 커다란 변동을 몰고 오는 경우가 많다. 금융가속도 이론은 「작은 충격, 큰 변동」(small shock, large cycle)의 원인을 자금시장의 특성에서 찾으려고 한다. 버낸키(B. Bernanke) 거틀러(M. gertler) 길크리스트(S. Gilchrist)는 자금시장의 변동이 최초의 실질 또는 화폐적 충격의 효과를 증폭시키고(amplify) 증식시킴(propagate)을 발견하였다.
그들 이론의 요점은 기업이나 가계가 지나치게 많은 신용(대출)을 안고 있을 경우 그들은 경기 변동에 가장 민감한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비우호적인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해보자. 이러한 충격은 자금시장의 조건을 악화시켜 그러한 기업이나 가계의 외부자금에 대한 접근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기업이나 가계가 외부자금의 차입을 가장 필요로 하는 시점이기도 하다.
그 결과 가계의 지출과 기업의 투자가 둔화되고 이러한 지출의 감소는 경기침체를 더욱 악화시킨다. 버낸키 등은 자급시장의 조건의 작은 변동에 의해 야기된 최초의 충격이 총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금융가속도(financial accelerate)라고 불렀다.
그들은 자금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거래비용(이자를 포함한)을 부담하는 차입자가 경기침체의 1차적 희생자가 되며 이러한 차입자에 의한 지출, 생산 및 투자의 감축이 경기침체의 효과를 더욱 악화시킨다고 주장한다.
(2) 릴리엔(D. Lilien)의 부문간 이동 모형
부문간 이동모형(sectoral shift model)은 외적 충격을 경기후퇴에 연관시키고 있는 점에서 실물경기순환이론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 이 모형은 경기변동의 원인을 어느 산업에는 우호적이지만 다른 산업에는 비우호적인 외적충격에서 찾는다.
이러한 충격은 근로자의 산업간 재 이동을 촉발시킨다. 이런 이동의 과정에서 전체실업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고 총생산이 감소한다. 그 이유는 충격을 받아 위축되는 산업에서 해고되는 많은 근로자들이 충격의 영향으로 호황을 누리는 산업에서 일자리를 찾을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이들 실업의 대부분은 구조적(일부는 마찰적)실업이다. 구조적 실업 상태에 있는 실직자들이 새로운 기술을 요하는 다른 산업에 흡수되기 위해서는 직업 재훈련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그들은 상당한 기간 구조적 실업자로 남아 있게 될 것이며 그 영향으로 총생산은 둔화된다.
이러한 부문간 이동은 주로 외적충격이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에 변화를 가져오던 가 또는 상품을 생산하는 상대적 비용에 변동을 가져오기 때문에 일어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떤 상품이나 용역의 생산이 보다 에너지 소비적일 경우 석유가격상승은 이러한 상품의 생산 비용을 상대적으로 높게 만들어 부문간 이동을 촉진시킨다.
(3) 동태적 요소모형
최근의 경기변동 이론의 한 특징적인 현상은 경기순환 시에 나타나는 거시경제변수들의 움직임의 특징을 단위 근(unit roots)과 공적분(cointegration)과 같은 시계열분석의 관점에서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예를 들면 스탁(J. Stock)과 왓슨(M. Watson)은 경기변동시 많은 거시경제변수들의 비정상형태(nonstationarity)를 체제전환(regime switching)의 관점에서 분석하려는 노력으로써 이는 해밀턴(J. Hamilton)에 의해 주도되어 왔다.
해밀턴의 체제전환 모형은 경제상태를 경기확장과 경기수축의 두 개의 상태(state)로 구분하고 경제가 경기 확장기에 놓을 확률과 경기 수축기에 놓을 확률을 모형 안에 반영한다.
이러한 모형에서는 경기확장에서 경기수축으로 또는 경기수축에서 경기확장으로 경제상태가 전환되는 확률을 구명함으로써 경기변동의 전환점(turning point)을 찾으려고 한다
최근 디볼드(F. Diebold)와 루드부쉬(G. Rudbush)는 동태적 요소모형과 체제전환 모형을 종합하는 이론을 개발하고 있다.
(4) 정치적 경기변동이론
앞장에서 잠시 알아본 바 있는 정치적 경기변동이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예일대학의 페어(R. Fair)는 1916년부터 76년까지 미국의 대통령 선거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경제 상황이 선거 결과에 매우 심대한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특히 그는 선거가 있는 해에 실업률이 감소하거나 1인당국민소득이 증가할 경우 현직 대통령이 재선되거나 현직 대통령 소속 정당인 여당의 후보자가 당선되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노드하우스(W. Nordhaus)가 제안한 정치적 경기순환이론(Political business cycle)에 의하면 현직 대통령은 선거가 있는 해에 경제를 부양시키기 위해 통화 및 재정확대정책을 시행하고픈 유혹을 받는다. 그 이유는 페어의 결과가 보여주듯이 실업률의 하락과 소득의 증가가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을 크게 높여 주기 때문이다. 미국의 37대 닉슨 대통령이 72년 그의 재선을 위하여 통화 및 재정확대정책을 채택한 것은 잘 알려진 일이며 이러한 확대정책은 그 이후 미국 경제에 많은 주름살을 가져왔고 이는 미국에 있어서 가장 대표적인 정치적 경기순환의 예로 꼽힌다. 선거 경기이론은 대통령 선거기간 중 확대 재정 및 통화정책의 영향으로 실업이 일시적으로 하락하고 소득이 증가하게 되지만 그 여파로 선거 후에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되어 정부는 다시 긴축정책으로 선회하게 될 가능성이 많다는 점을 주목한다. 정치인들은 일단 당선만 되면 이제는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기 위해 긴축정책으로 정책기조를 바꾸려고 하며 이에 따라 실업은 다시 늘고 소득이 둔화되는 등 경기순환이 일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추천자료
- 주가변동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변동과 교육팽창
- 사회변동과 교육
- 환율(원-달러)의 변동요인과 환율의 변동이 수출/수입 기업에 미치는 영향
- [환율결정이론]환율결정이론의 의의, 환율결정이론의 중요성, 환율결정이론의 기점, 환율결정...
- 환율변동에 따른 국내 중소무역업체의 환리스크 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 산업별 성장, 산업별 생산지수변동과 스펙트럼분석, 산업별 생산변동 총체적 충격과 부문충격...
- [농산물가격폭등]국제 농산물가격 상승 및 변동 심화의 원인과 극복 대책 - 농산물가격 변동 ...
- [가격제한][가격제한폭제도][옵션][주가변동성][VaR(위험가치)추정]가격제한과 가격제한폭제...
- [사회학][사회주의][갈등론][사회변동][페미니즘]사회학과 사회주의, 사회학과 갈등론, 사회...
- [금리][금리변동위험][은행내부금리][장단기금리격차][미국정책금리][금리인상][요구불예금금...
- [위험][환리스크]환위험(환리스크), 파생금융상품위험(파생금융상품리스크), 금리변동위험(금...
- [임금격차][임금][고용구조변동][노동운동]임금격차의 원인, 임금격차의 기존연구, 임금격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