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백겸의 생애와 사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백겸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한백겸’의 생애와 학문경향

3. 『구암집』을 통해 본 실학사상

4. 『동국지리지』의 역사적 의의

5. [일일답사기] ‘남한강변을 따라서’

6. 나오며

본문내용

매우 힘들었다. 공사중으로 닦아 놓은 길을 통해 왔더라면 좋았을 것을, 현재 공사중인 도로를 따라 매우 위험하게 외길을 따라 법천사를 찾았다. 사실 우리가 법천사를 찾아갔던 길이 바로 법천사의 입구를 찾아가는 길이었다는 점에서 위안을 얻기는 했지만 말이다. 즉 우리는 법천사의 남쪽으로 들어갔던 것이다. 특히, 법천사지의 당간지주는 지금 나의 인상에 가장 깊게 남았다. 아무런 장식이 없는 법천사의 당간지주에는 왠지 모를 부드러움과 단아함이랄까 어떤 간결미를 느낄 수 있었다. 법천사는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지고, 그 위에 서원이 세워졌다고 한다. 법천사지 발굴터 앞 큰 바위에는 '서원'이라고 이름이 새겨져있었다.
남한강변을 따라 칠봉서원터, 손곡리, 노림리, 흥원창, 거돈사지, 법천사지 등 많은 곳을 둘러 본 하루의 해가 어느덧 서쪽을 향해 뉘엿뉘엿 가고 있을 즈음, 원주에 태어나 원주에서 23년을 살면서 내가 태어난 고향,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관심이 확인된 것 같은 뿌듯함을 느꼈다. 비록 한백겸과 관련되어 있는 유물이 많이 남아 있지는 않았지만, 그에 삶자취를 여기저기에서 느낄 수 있었기에 그 아쉬움을 덜해만 갔다.
6. 나오며
본문에서는 흔히 실학의 선구자로 알려져있는 한백겸, 그가 경험한 시대의 역사적 배경 및 구성과 성격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그의 저술서 『구암집』과 『동국지리지』 한백겸이 살았던 시기는 성리학적 통치이념과 그에 기반을 둔 경국대전적 제반 봉건사회질서에 본질적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역사적 전환기의 상황아래 학자와 관료로서 생애를 살았던 그의 인간상에 엿보이는 여러 특징들은 말년에 그의 저서에 저술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구암유고를 보면, 한백겸이 지방관료로서의 실제경험을 바탕으로 공물제도 개혁론을 구상 제의한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말년에 저술한 동국지리지의 구성내용에서, 삼국 이전 시대에서는 민족사 내지 민족문화의 주체적 생성 발전을 강조하려 하였고, 삼국시대에서는 예상되는 통일민족국가의 정통성 계승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에서는 통일민족국가의 완성 내지 자주독립성을 저해하는 이민족의 침략에 적극 대처할 방안 모색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조선 전기에서는 왜란을 전후한 시기의 체험을 통해 성리학적 가치체계의 한계와 그에 기반을 둔 경국대전적 제반 사회질서의 모순을 비판 극복하려 하였다. 조선후기 초에서는 중세적 가치체계의 한계와 사회질서의 모순으로 초래된 왜란과 그 이후의 역사적 시련에 대응할 역사학과 지리학적 현실대응방안으로서 근대지향적인 실학적 인식체계에 의한 역사지리서를 저술하려 했다는 점이다.
한백겸은 구암집과 동국지리지를 저술함으로써, 중세적 역사서와 지리서의 서술체계 및 의식의 기반이 된 중세적 가치체계의 한계를 비판 극복하고, 근대지향적인 실학적 현실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라 볼 수 있겠다.
원유한, 「韓百謙의 『東國地理誌』 成立背景과 性格」, p.24
즉, 한백겸의 사상과 저서를 통해, 역사학과 지리학에 대한 종래의 성리학적 인식체계의 한계가 실학적 인식체계로 극복되면서 역사지리학은 새로운 학풍으로 생성되고, 또한 역사지리학은 실학사상이 확대 발전된 조선후기에 성장·발전하여 한국 근대 역사지리학의 발전에 기여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하)』,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9
方東仁, 「久菴 韓百謙의 實學思想」,
원유한, 「韓百謙의 『東國地理誌』 成立背景과 性格」, 『2002년도 강원의 얼 선양을 위한 학술 대회 : 七峰書院과 原州의 精神文化 再照明』, 사단법인 운곡학회 주관, 2002.
윤희면, 「한백겸의 『동국지리지』」, 역사학보 93, 1982.
원영환, 「칠봉서원의 역사적 의미」, p.12
정구복, 「韓百謙의 東國地理誌에 대한 一考 - 역사지리학의 성립을 중심으로」, 한국실학사상논문선집, 전북사학2
오영교, 「鄭宗榮과 鄭氏 關東派 門中에 관한 연구」『2002년도 강원의 얼 선양을 위한 학술 대회 : 七峰書院과 原州의 精神文化 再照明』, 2002, 사단법인 운곡학회 주관, p.43~47
정호훈, 『朝鮮後期 政治思想 硏究- 17세기 北人系南人을 중심으로』, 혜안, 2004
박찬승·한영우·조동걸 엮음,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창작과 비평사, 1994
제 15회 한국고전연구 심포지움 -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의 종합적 검토 - : 한백겸의 학문과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저술동기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6.06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2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