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란 무엇인가?
1.기가 정신(情神)의 근체(根滯)일 때
2.기가 곡식(穀食)에서 생길 때
3.기가 위로 변해서 밖을 호위
4.기를 조화할때..
●과학이 밝힌 기(氣)
8. 면역과 기(氣)
1.기가 정신(情神)의 근체(根滯)일 때
2.기가 곡식(穀食)에서 생길 때
3.기가 위로 변해서 밖을 호위
4.기를 조화할때..
●과학이 밝힌 기(氣)
8. 면역과 기(氣)
본문내용
가
기타
·정전기력의 발생
8. 면역과 기(氣)
■■■■■■■■■■■■■■■■■■■■■■■■■■■■■■■■■■■■■■■■■■■■■■■■■■■■■■■■■■■■■■■■■■■■■■■■■■■■■■■■■■■■■■■■■■■■■■■■■■■■■■■■■■■■■■■■■■■■■■■■■■■■■■■■■■■■■■
기(氣)의 움직임은 우리 몸의 내부에 잠재하고 있는 자연치유력의 근원이며 마음 뿐 아니라 신체의 건강과 깊은 관계가 있다. 심신의학은 마음과 몸, 즉 정신과 물질의 고나계에 대하여 새로운 연구의 길을 열고 잇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우리의 생존을 가능케하는 방어체계인 면역과 기(氣)의 주제는 서양의 현대 생명과학과 동양의 전통적 인체과학을 종합한 지금까지 따로따로 나누어 생각해 오던 정신과학과 물질과학이 하나로 통합하여 과학기술과 마음(정신)의 세계를 연결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우리는 원초적인 철학의 문제로 돌아간다. 그것은 바로 우주에 있어서의 우리 인간의 위치, 원래부터 있었으나 잃고 살았던 자연과 조화된 인간관과 세계관이 새롭게 싹틔워지는 것이다.
다른 학문에 비해 기(氣)(여기서는 기수련을 주로 이야기함)가 우리 몸의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는 이제 걸음마 단계라고 보아야 할 것 같다. 그러나 한 단계씩 생명과학이 꽃피워 낸 연구방법을 동원하여 열심히 연구해 나가면 우리는 기(氣)가 면역계에 과연 어떠한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가를 자세히 밝힐 것으로 본다. 한편 기(氣)수련은 현재 우리 몸이 자연치유력을 증대시키는 탁월한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부작용이 거의 없는 특징 때문에 앞으로 생물치료법(biotheraphy)에 널리 받아 들여질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과학이 기(氣)를 이해하고 이것의 효과가 증명될수록 기(氣)는 면역결핍증의 치료 및 예방에 널리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
1. 유아서 야스오 편역. 기(氣)와 인간과학. 서울, 여강출판사. 1992
2. 사사키 시케미. 초능력의 비밀-기(氣)의 정체-. 서울, 동화문화사. 1992
3. 유아사 야스오 저. 기(氣)-인체가 내뿜는 에네르기-. 서울, 도서출판 화계. 1991
기타
·정전기력의 발생
8. 면역과 기(氣)
■■■■■■■■■■■■■■■■■■■■■■■■■■■■■■■■■■■■■■■■■■■■■■■■■■■■■■■■■■■■■■■■■■■■■■■■■■■■■■■■■■■■■■■■■■■■■■■■■■■■■■■■■■■■■■■■■■■■■■■■■■■■■■■■■■■■■■
기(氣)의 움직임은 우리 몸의 내부에 잠재하고 있는 자연치유력의 근원이며 마음 뿐 아니라 신체의 건강과 깊은 관계가 있다. 심신의학은 마음과 몸, 즉 정신과 물질의 고나계에 대하여 새로운 연구의 길을 열고 잇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우리의 생존을 가능케하는 방어체계인 면역과 기(氣)의 주제는 서양의 현대 생명과학과 동양의 전통적 인체과학을 종합한 지금까지 따로따로 나누어 생각해 오던 정신과학과 물질과학이 하나로 통합하여 과학기술과 마음(정신)의 세계를 연결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우리는 원초적인 철학의 문제로 돌아간다. 그것은 바로 우주에 있어서의 우리 인간의 위치, 원래부터 있었으나 잃고 살았던 자연과 조화된 인간관과 세계관이 새롭게 싹틔워지는 것이다.
다른 학문에 비해 기(氣)(여기서는 기수련을 주로 이야기함)가 우리 몸의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는 이제 걸음마 단계라고 보아야 할 것 같다. 그러나 한 단계씩 생명과학이 꽃피워 낸 연구방법을 동원하여 열심히 연구해 나가면 우리는 기(氣)가 면역계에 과연 어떠한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가를 자세히 밝힐 것으로 본다. 한편 기(氣)수련은 현재 우리 몸이 자연치유력을 증대시키는 탁월한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부작용이 거의 없는 특징 때문에 앞으로 생물치료법(biotheraphy)에 널리 받아 들여질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과학이 기(氣)를 이해하고 이것의 효과가 증명될수록 기(氣)는 면역결핍증의 치료 및 예방에 널리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
1. 유아서 야스오 편역. 기(氣)와 인간과학. 서울, 여강출판사. 1992
2. 사사키 시케미. 초능력의 비밀-기(氣)의 정체-. 서울, 동화문화사. 1992
3. 유아사 야스오 저. 기(氣)-인체가 내뿜는 에네르기-. 서울, 도서출판 화계. 1991
추천자료
급수별 한자(8급)
태극 음양론은 성리학
조선전기 신진사대부의 성장과 성리학의 발달에 관하여
[사회과학] 고3 청소년을 위한 여가생활 프로그램
동학사상과 교육
다섯가지 사랑의 언어를 읽고
풍수지리와 도시계획
연암 박지원 열하일기 옥갑야화 허생전 실학파 중상학파 실학자
[풍수사상]한국 전통주거의 음양사상 및 현대적 적용
[설화][한국의 설화 사례][일본의 설화 사례][인도의 설화 사례][중국의 설화 사례][한국][일...
실학(實學)이란 무엇인가?
심즉리설,치양지설,지행합일설
가톨릭 신자의 정체성을 혼란시키는 요인과 현재 교회가 풀어가야 할 신흥영성의 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