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진사대부의 성장과 공민왕의 개혁정치
2. 이성계의 위화도회군
3. 성리학의 수용과 이해
4. 사림파의 대두와 성리학의 발달
5. 붕당정치
6. 성리학적 향촌질서
2. 이성계의 위화도회군
3. 성리학의 수용과 이해
4. 사림파의 대두와 성리학의 발달
5. 붕당정치
6. 성리학적 향촌질서
본문내용
이후의 서원 건립과 향약시행의 노력 등이 바로 그것이다.
유향소는 군현 단위로 부과되는 부세를 농민에게 배정하고 거두는 과정에 관여하고 이를 감독하는 곳으로 그 지역의 인사권을 장악함으로써 향리와 농민을 통제하였다.
서원은 학문연구와 선현 제향을 위하여 사림에 의해 설립된 사설 교육기관이 동시에 향촌 자치기구라 할 수 있는데 주로 그 지방의 양반자제들을 교육하였다. 이 중 사액서원은 국가로부터 서적.노비. 토지 등을 지급받았고 면세. 면역의 특권까지 누렸으므로 관학인 향교를 학문과 세력, 권위면에서 능가하였다.
이들 서원은 지방에서 중소 지주층의 지식인화를 촉진시키고 사림의 확대 재생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여러 차례의 사화에 의해 탄압을 받은 사림들의 활로를 개척하는 터전이 되었고, 사림들이 정치여론 집단을 형성하고 훗날 붕당정치의 저변으로 기능하기도 하였다.
향약은 서원과 함께 향촌사회에서 성리학적 질서를 도모하려는 사림파의 노력이 보다 적극적으로 표출된 것으로 훈구세력들의 지방 통제수단으로 이용되던 경재소, 유향소 등을 철폐하는 대신 향약이 향촌사회의 향권을 가짐으로써 향촌 중에서 훈구계의 비리를 배제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향약은 여러 차례 그 시행이 중단 되었다가 결국 수령에 의해 자의적으로 시행이 맡겨지게 되어 '주현향약(州縣鄕約)'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주현향약은 수령의 주도하에 재지사족에 바탕을 두고 운영되는 것이었으므로 그 조직도 대체로 유향소나 서원을 중심으로 한 군현 단위의 상부조직이 위주여서 사족들이 군현 차원에서 자신들의 이익을 옹호하려는 성격이 짙었다.
유향소는 군현 단위로 부과되는 부세를 농민에게 배정하고 거두는 과정에 관여하고 이를 감독하는 곳으로 그 지역의 인사권을 장악함으로써 향리와 농민을 통제하였다.
서원은 학문연구와 선현 제향을 위하여 사림에 의해 설립된 사설 교육기관이 동시에 향촌 자치기구라 할 수 있는데 주로 그 지방의 양반자제들을 교육하였다. 이 중 사액서원은 국가로부터 서적.노비. 토지 등을 지급받았고 면세. 면역의 특권까지 누렸으므로 관학인 향교를 학문과 세력, 권위면에서 능가하였다.
이들 서원은 지방에서 중소 지주층의 지식인화를 촉진시키고 사림의 확대 재생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여러 차례의 사화에 의해 탄압을 받은 사림들의 활로를 개척하는 터전이 되었고, 사림들이 정치여론 집단을 형성하고 훗날 붕당정치의 저변으로 기능하기도 하였다.
향약은 서원과 함께 향촌사회에서 성리학적 질서를 도모하려는 사림파의 노력이 보다 적극적으로 표출된 것으로 훈구세력들의 지방 통제수단으로 이용되던 경재소, 유향소 등을 철폐하는 대신 향약이 향촌사회의 향권을 가짐으로써 향촌 중에서 훈구계의 비리를 배제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향약은 여러 차례 그 시행이 중단 되었다가 결국 수령에 의해 자의적으로 시행이 맡겨지게 되어 '주현향약(州縣鄕約)'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주현향약은 수령의 주도하에 재지사족에 바탕을 두고 운영되는 것이었으므로 그 조직도 대체로 유향소나 서원을 중심으로 한 군현 단위의 상부조직이 위주여서 사족들이 군현 차원에서 자신들의 이익을 옹호하려는 성격이 짙었다.
추천자료
8강 조선중기
실학사상이 조선사회에 끼친 영향
북한의 고전문학사 - 조선시대
조선시대 과전법의 내용과 수취제도
조선시대 재산상속
조선후기 천기(天機)론과 그 문예사상사적 함의
조선시대 향교
[경제학] 조선후기 농업기술의 변화에 따른 사회의 변화 - 농업변화에 따른 경제적인 측면의 ...
성리학(주자학)의 정의, 성리학(주자학)의 인간관, 성리학(주자학) 교육사상, 성리학(주자학)...
조선시대의 재산상속
[인간관][도덕적 인간관][성리학적 인간관][이성적 인간관][도덕][성리학][이성]인간관의 유...
임진왜란전후의 변화와 조선 후기의 내재적 발전론과 그 비판
실학(實學) 사상(思想)의 개괄(槪括) (주자학, 조선말의 사회적 배경, 실학 사상의 발생, 실...
성리학 - 성리학에서의 배움, 현대사회에서 성리학의 ‘배움’이 갖는 중요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