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Ⅱ. 본론
A. ‘무식한 공대생’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무식함’의 의미.
1. 타대생이 생각하는 ‘무식한 공대생’
2. 공대생이 생각하는 ‘무식한 공대생’
3. ‘무식함’의 의미
B. 왜 ‘무식한 공대생’이 되었나?
1.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부족
2. 공학이라는 전공에 대한 편견
C. 어떻게 해야 ‘무식한 공대생’이라는 오명을 벗을 수 있을까?
1. 커뮤니케이션 능력 개선
2. 공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편견의 극복
Ⅲ. 결론
Ⅱ. 본론
A. ‘무식한 공대생’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무식함’의 의미.
1. 타대생이 생각하는 ‘무식한 공대생’
2. 공대생이 생각하는 ‘무식한 공대생’
3. ‘무식함’의 의미
B. 왜 ‘무식한 공대생’이 되었나?
1.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부족
2. 공학이라는 전공에 대한 편견
C. 어떻게 해야 ‘무식한 공대생’이라는 오명을 벗을 수 있을까?
1. 커뮤니케이션 능력 개선
2. 공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편견의 극복
Ⅲ. 결론
본문내용
ment of Labor,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Bureau of Labor Statistics, U. S. Department of Labor, 2000
과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이공계기피 현상이 사회적으로 크게 문제되고 있다. 이처럼 관련 학문에 대한 인식은 그 학문을 하는 사람에 대한 사회적 대우에 따라 영향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편견의 극복을 위해서 공학이라는 학문의 성격 자체를 바꾸어 버릴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은 바꿀 수 있다. 지금은 종영되었지만 예전에 SBS에서 방영되는 프로그램인 '호기심 천국'이나, 지금 현재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SBS의 '사이언스 파크'등의 프로그램이 일반인의 과학에 대한 인식을 새로 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과학을 일상생활과 연관시켜서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여, 모든 사람이 과학을 신기하고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Ⅲ. 결론
조사결과 '공대생이 무식하다는 인식'은 실제로 존재하였고, 그 주요 원인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부족, 공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편견이 언급되었다. 이것을 극복하는 일은 공대생 스스로의 노력과, 일반인의 공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공대생의 의사소통 문제의 해결이 중요하다. 공학 분야가 전문성이 깊어 갈수록 비전문가들의 이해가 그만큼 더 어려워지기 때문에, 공학자들은 이를 잘 설명할 수 있는 표현능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병기, "공학도의 작문 및 발표교육", 공학교육과 기술, 한국공학기술학회, 1997. p.1.
그러므로 공학 분야 학생들에게 사회성 교육을 제공해야 하고, 그 기본 요소로서 작문 및 발표 능력 개발을 필수 교육 과정 중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자원도 없고, 국토도 작은 우리나라가 세계경제규모 13위의 경제 강국으로 올라서게 된 것은 공업의 발전으로 인한 결과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주력산업 된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의 분야도 공학의 결정체이며, 공학도들의 노력이 없었으면, 이룰 수 없는 일들이었다. 앞으로 나라를 이끌 공대생들이 자신감을 잃게 된다면, 나라의 기강도 흔들린다는 마음으로 공학에 대한 자부심과 확신을 갖고, 부족한 것들은 고쳐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과학동아, "글을 잘 쓰는 과학자가 성공할 확률이 높다", 과학동아, 2001.
이병기, "공학도의 작문 및 발표교육", 공학교육과 기술, 한국공학기술학회, 1997.
이종인 옮김, 엘런 피즈ㆍ바바라 피즈 - 말을 듣지 않는 남자 지도를 읽지 못하는 여자, 서울: (주)가야넷, 2000.
이택식, "공학과 공학자 그리고 기술", 서울대학교 출판사, 1996.
U.S. Department of Labor,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Bureau of Labor Statistics, U.S. Department of Labor, 2000.
참고 Web Site
네이버 백과사전 - http://100.naver.com/
과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이공계기피 현상이 사회적으로 크게 문제되고 있다. 이처럼 관련 학문에 대한 인식은 그 학문을 하는 사람에 대한 사회적 대우에 따라 영향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편견의 극복을 위해서 공학이라는 학문의 성격 자체를 바꾸어 버릴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은 바꿀 수 있다. 지금은 종영되었지만 예전에 SBS에서 방영되는 프로그램인 '호기심 천국'이나, 지금 현재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SBS의 '사이언스 파크'등의 프로그램이 일반인의 과학에 대한 인식을 새로 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과학을 일상생활과 연관시켜서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여, 모든 사람이 과학을 신기하고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Ⅲ. 결론
조사결과 '공대생이 무식하다는 인식'은 실제로 존재하였고, 그 주요 원인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부족, 공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편견이 언급되었다. 이것을 극복하는 일은 공대생 스스로의 노력과, 일반인의 공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공대생의 의사소통 문제의 해결이 중요하다. 공학 분야가 전문성이 깊어 갈수록 비전문가들의 이해가 그만큼 더 어려워지기 때문에, 공학자들은 이를 잘 설명할 수 있는 표현능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병기, "공학도의 작문 및 발표교육", 공학교육과 기술, 한국공학기술학회, 1997. p.1.
그러므로 공학 분야 학생들에게 사회성 교육을 제공해야 하고, 그 기본 요소로서 작문 및 발표 능력 개발을 필수 교육 과정 중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자원도 없고, 국토도 작은 우리나라가 세계경제규모 13위의 경제 강국으로 올라서게 된 것은 공업의 발전으로 인한 결과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주력산업 된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의 분야도 공학의 결정체이며, 공학도들의 노력이 없었으면, 이룰 수 없는 일들이었다. 앞으로 나라를 이끌 공대생들이 자신감을 잃게 된다면, 나라의 기강도 흔들린다는 마음으로 공학에 대한 자부심과 확신을 갖고, 부족한 것들은 고쳐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과학동아, "글을 잘 쓰는 과학자가 성공할 확률이 높다", 과학동아, 2001.
이병기, "공학도의 작문 및 발표교육", 공학교육과 기술, 한국공학기술학회, 1997.
이종인 옮김, 엘런 피즈ㆍ바바라 피즈 - 말을 듣지 않는 남자 지도를 읽지 못하는 여자, 서울: (주)가야넷, 2000.
이택식, "공학과 공학자 그리고 기술", 서울대학교 출판사, 1996.
U.S. Department of Labor,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Bureau of Labor Statistics, U.S. Department of Labor, 2000.
참고 Web Site
네이버 백과사전 - http://100.naver.com/
추천자료
해킹의 종류와 유형 그 대처방안
돼지가 한 마리도 죽지 않던 날
한여름밤의 꿈 세익스피어
소설-어린왕자 를 읽고
조선시대 상류층(특권계급양반)
상수도 요점 정리
노자의 도덕경 번역을 통한 이해
철학 역사를 만나다 독후감
[서강대]해체주의에 대하여 철학사적 역할, 해체주의란 무엇인가
[노인][고령자][인지적 특징][발달과업][역할변화][신체변화]노인(고령자) 정의, 노인(고령자...
과학과 종교의 대화방식 - 유물론관점에서
리더십 정의 및 성공한 리더(칭기즈칸)의 성공 요인 분석, 실패한 리더(히틀러) 분석
언어와 역사 - 세계의 어족과 언어 [언어들 사이의 친근성]
<지성에서 영성으로>를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