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단백뇨
1. 정의
2. 단백뇨의 종류
3. 사구체성 단백뇨 발생의 기전
Ⅱ 신질환
1. 사구체 신질환
2. 신증후군
1. 정의
2. 단백뇨의 종류
3. 사구체성 단백뇨 발생의 기전
Ⅱ 신질환
1. 사구체 신질환
2. 신증후군
본문내용
류성 신병증에서 보이는 단백뇨와 같은 경우이다. 또 심부전, 운동 후 단백뇨, 그리고 기립성 단백뇨 등도 혈역학적 변화에 의하여 단백뇨가 초래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대개 하루 2gm이하이며, 알부민과 낮은 분자량의 단백들이 모두 배출된다.
※ 요검사에 있어서 protein
정상인 요를 단백정성시험하면 거의가 음성을 보이나, 정상시험에서 음성이라고 하여도 다백이 아주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정상뇨에도 1일에 40~80mg 정도 단백이 배설되고 있다. 1일에 100mg이상 배설되어야 요단백 정성시험으로 검출된다. 정상뇨에 포함된 단백을 cellulose acetate막 전기영동법으로 분획하면 단백분획상을 얻는데, albumin 분획이 약 40%를 차지하고 globulin 영역의 분리는 좋지 않아 α2와 β영역에서 완만한 peak를 형성한다. 이 정상뇨단백의 약 40%는 주로 세뇨관에서 유래된 조직 단백이므로 전기영동상에서 넓은 band를 형성하고 나머지 약 60%는 혈액에서 유래하는 혈청단백으로 정상적으로 사구체 기저막을 통과하여 요중에 누출되어 나온 것이다. 그 중 albumin이 가장 많아서 약 2/3을 점유하고 그 외 비교적 분자량이 작은 α1
※ 요검사에 있어서 protein
정상인 요를 단백정성시험하면 거의가 음성을 보이나, 정상시험에서 음성이라고 하여도 다백이 아주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정상뇨에도 1일에 40~80mg 정도 단백이 배설되고 있다. 1일에 100mg이상 배설되어야 요단백 정성시험으로 검출된다. 정상뇨에 포함된 단백을 cellulose acetate막 전기영동법으로 분획하면 단백분획상을 얻는데, albumin 분획이 약 40%를 차지하고 globulin 영역의 분리는 좋지 않아 α2와 β영역에서 완만한 peak를 형성한다. 이 정상뇨단백의 약 40%는 주로 세뇨관에서 유래된 조직 단백이므로 전기영동상에서 넓은 band를 형성하고 나머지 약 60%는 혈액에서 유래하는 혈청단백으로 정상적으로 사구체 기저막을 통과하여 요중에 누출되어 나온 것이다. 그 중 albumin이 가장 많아서 약 2/3을 점유하고 그 외 비교적 분자량이 작은 α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