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의 철학사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율곡의 철학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철학적 입장과 학풍
(2) 율곡의 이기론
1) 이기지묘
2) 이통기국
3) 기발이승
(3) 율곡의 심성론
1) 심·성·정·의
2) 인심도심론

3. 결 론

본문내용

氣의 정신, 氣의 역할, 氣의 위상이 율곡의 철학에서는 理만큼이나 중요한 위치로 자리잡는다. 理와 氣의 균형, 理와 氣의 조화, 이것이 율곡 철학의 근본 정신이요, 理氣之妙의 현대적 의미인 것이다.
2) 理通氣局
율곡의 理通氣局論은 理氣之妙를 전제로 한 理의 無形性과 氣의 有形性을 근거로 전개된다. 다시 말하면 理는 形而上의 것으로서 無形의 특성을 가지며, 氣는 形而下의 것으로서 有形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理는 두루 通할 수 있고, 氣는 限定·局限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것은 곧 理의 通時空性과 氣의 局時空性으로 요약할 수 있겠다. 여기서 萬物의 관계가 가능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각각 通時空的이고 局時空的인 理와 氣가 내재되어 개체들이 變性 속에 普遍性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윤지희, 「율곡 이이의 심성론 연구」, pp. 10~12.
이렇듯 理通氣局은 이러한 理와 氣, 形上과 形下가 하나로 묘합해 있는 존재 자체의 표현인데, 이것은 本體 속에서 流行을 보고 流行 가운데에서 本體를 보는 관점이다. 율곡은 이것의 구체적인 예로, 人性이 物性이 아닌 것이 氣局이고 사람의 理가 곧 사물의 理라는 것이 理通이라 하였다. 또한 그릇에는 모나고 둥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6.24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0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