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철학적 입장과 학풍
(2) 율곡의 이기론
1) 이기지묘
2) 이통기국
3) 기발이승
(3) 율곡의 심성론
1) 심·성·정·의
2) 인심도심론
3. 결 론
2. 본 론
(1) 철학적 입장과 학풍
(2) 율곡의 이기론
1) 이기지묘
2) 이통기국
3) 기발이승
(3) 율곡의 심성론
1) 심·성·정·의
2) 인심도심론
3. 결 론
본문내용
氣의 정신, 氣의 역할, 氣의 위상이 율곡의 철학에서는 理만큼이나 중요한 위치로 자리잡는다. 理와 氣의 균형, 理와 氣의 조화, 이것이 율곡 철학의 근본 정신이요, 理氣之妙의 현대적 의미인 것이다.
2) 理通氣局
율곡의 理通氣局論은 理氣之妙를 전제로 한 理의 無形性과 氣의 有形性을 근거로 전개된다. 다시 말하면 理는 形而上의 것으로서 無形의 특성을 가지며, 氣는 形而下의 것으로서 有形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理는 두루 通할 수 있고, 氣는 限定·局限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것은 곧 理의 通時空性과 氣의 局時空性으로 요약할 수 있겠다. 여기서 萬物의 관계가 가능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각각 通時空的이고 局時空的인 理와 氣가 내재되어 개체들이 變性 속에 普遍性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윤지희, 「율곡 이이의 심성론 연구」, pp. 10~12.
이렇듯 理通氣局은 이러한 理와 氣, 形上과 形下가 하나로 묘합해 있는 존재 자체의 표현인데, 이것은 本體 속에서 流行을 보고 流行 가운데에서 本體를 보는 관점이다. 율곡은 이것의 구체적인 예로, 人性이 物性이 아닌 것이 氣局이고 사람의 理가 곧 사물의 理라는 것이 理通이라 하였다. 또한 그릇에는 모나고 둥
2) 理通氣局
율곡의 理通氣局論은 理氣之妙를 전제로 한 理의 無形性과 氣의 有形性을 근거로 전개된다. 다시 말하면 理는 形而上의 것으로서 無形의 특성을 가지며, 氣는 形而下의 것으로서 有形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理는 두루 通할 수 있고, 氣는 限定·局限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것은 곧 理의 通時空性과 氣의 局時空性으로 요약할 수 있겠다. 여기서 萬物의 관계가 가능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각각 通時空的이고 局時空的인 理와 氣가 내재되어 개체들이 變性 속에 普遍性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윤지희, 「율곡 이이의 심성론 연구」, pp. 10~12.
이렇듯 理通氣局은 이러한 理와 氣, 形上과 形下가 하나로 묘합해 있는 존재 자체의 표현인데, 이것은 本體 속에서 流行을 보고 流行 가운데에서 本體를 보는 관점이다. 율곡은 이것의 구체적인 예로, 人性이 物性이 아닌 것이 氣局이고 사람의 理가 곧 사물의 理라는 것이 理通이라 하였다. 또한 그릇에는 모나고 둥
추천자료
주자학의 한국전파와 퇴계학
동서양 교육사상가
인물성동이론 (이간, 한원진)
남도시가문학.송강정철
한글 전용론과 한자 병기론
조선성리학의 성립과 사단칠정론
지방자치단체 장성을 방문하고
척화표의 영수 김상헌 발표자료
이인화 장편소설 ‘영원한 제국’을 읽고 - 소설 속에서 나타나는 노론과 남인의 사상차이를 중...
실학자 정약용과 성리학의 사상
오죽헌 문화답사 및 직접 방문한 나의 소감과 느낀 점 및 감상문
[16C][16세기][도교][문학][구개음화]16C(16세기)의 도교, 16C(16세기)의 문학, 16C(16세기)...
사단칠정논변의 핵심은 도덕 심성과 도덕 실천이다 - 퇴계 이황(退溪 李滉) (퇴계 이황의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