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 [사회복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 [사회복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노인복지에 대한 기본적 이해
(1) 노인과 노인복지에 대한 개념
(2) 노인복지의 기본 목표와 필요성
(3) 현대 사회의 노인
◈노인문제의 발생원인
◈노인인구증가현황
◈노인학대
◈노인취업
◈노인의 성문화

2. 노인복지의 정책과 서비스프로그램
(1) 노인복지 정책
◈소득보장정책
◈의료보장정책
◈주거보장정책
(2) 노인복지 프로그램- 문제점과 개선방향 포함
◈노인복지시설현황
◈노인복지서비스
◈사회활동지원 서비스(노인의 사회참여)

3. 정부의 노인복지 정책 방향

Ⅲ. 결론

본문내용

생활에 필요한 모든 보호를 받는 서비스를 말한다. 노인시설은 처음 무의무탁한 저소득층의 고령노인들을 위해 자선단체나 종교기관에 수용하여 필요한 침식과 요양을 무료로 제공하는 관리보호로 시작되었으나 근래에는 사회보장제도에 근거한 국가예산을 투입하여 요보호노인의 보호관리 뿐 아니라 치료, 재활까지도 제공하는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5. 선진국의 노인복지정책 방향
앞으로 2000년대에 가서는 다수 국가가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구미선진국들과 일본은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변화되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국가에서는 앞으로 계속되는 노인인구의 증가와 노인문제의 심각성을 예견하고 보다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노인복지대책에 많은 관심을 갖고 노인문제의 핵심을 이루는 빈곤, 질병, 역할상실, 소외감, 고독감등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모든 노인들에게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생활, \'성공적인 노후생활\'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 3가지 노인복지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가. 건강한 노후생활
성공적인 노후생활에는 건강유지가 필수 조건이므로 노후 소득보장이 되어있는 나라에서는 노인의 빈곤문제 보다는 장기보호문제에 더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들 국가에서는 노인들의 건강문제를 과거의 치료중심에서 질병예방, 보건관리, 건강보호 등을 강조하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병약한 노인들도 병원이나 요양시설에 장기간 수용하여 치료하는 것보다는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지역사회의 모든 자원을 활용하여 보호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고 인간적인 접근이라고 생각하여 다양한 재가노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재가노인에게 필요한 의료장비와 의료서비스를 환자가정에 전달하여 도와주는 고도기술을 이용한 재가노인보호(High-tech Home Care), 가정임종간호(Hospice At Home), 가정요양보호(Skilled Home Health Care) 등을 실시하여 보다 인간적이고 개별적인 재가 노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나. 생산적인 노후생활
고령노인의 빈곤문제를 장기적인 차원에서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실시하고 있는 사회보장제도의 고정된 연금으로는 물가의 상승이나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어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보충연금제나 의료보조 등을 통하여 노후생활을 도와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정부의 재정부담을 증가시키고 오히려 사회로부터 노인들을 격리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 쉽다.
따라서 각 국에서는 정년연령을 연장하거나 노인이 계속해서 일하기를 원하고 일할 능력이 있는 사람에게는 언제까지나 근무할 수 있는 자유정년 퇴직제를 제공하며 일단 은퇴한 노인들에게도 재취업의 기회를 제공하여 생산적인 활동을 계속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고 취업활동이 어렵거나 취업을 원하지 않는 노인들은 자원활동, 학습활동, 사회활동 등 의미 있는 여가활동을 통하여 보람 있고 생산적인 노후생활을 계속하도록 정책적인 지원을 한다.
다. 통합적인 노후생활
노인들은 여러 사람과 사이좋게 지내기를 원하며 가족은 물론 이웃, 친구, 친지들과 다정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싶어한다. 이러한 노인들의 사회적,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노후생활의 고독과 소외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진국에서는 노인들을 사회적으로 통합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시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① 노인취업을 장려하여 직장활동을 통한 사회적 통합
② 공동사용주택, 3세대주택 등 주거환경을 통한 환경적 통합
③ 여가활동, 종교활동, 사회활동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세대간의 통합
④ 가정봉사원 파견, 주간보호사업, 시설노인 방문 등 노인세대와 지역주민간의 통합을 들 수 있다.
세계 여러 나라의 노인복지 동향을 보면 모든 국가들이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특별히 OECD국가들은 이미 고령화 또는 고령사회로서의 복잡한 노인문제들을 갖고 있다. 수명연장으로 인한 후기 고령노인의 증가, 심신이 쇠약한 독거 노인들의 생활대책, 병약한 노인들을 위한 장기 보호문제, 의료보호에 지출되는 재정부담 등으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으며, 그들은 노인들의 시설보호가 국가재정에 막중한 부담이 되므로 재가노인복지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들 복지 선진국들은 노인부양 문제가 가정의 책임이라기보다는 사회의 책임으로 인식하고 가정부양에서 사회부양체제로 정책을 세우고 있다.
▣ 참고문헌 ▣
노인건강증진프로그램연구소 http://www.noinhealthprogram.com/health_26_old.htm
은주의 노인복지에 관한 사이트 http://chunma.yu.ac.kr/~m0112854/noin.htm
광진구청사이트 http://www.gwangjin.go.kr/04_life/01_walfare/life_walfare_01b.html
영주의 노인학홈페이지 http://myhome.hanafos.com/~godder/
한국노인학대연구회 http://www.elderabuse.or.kr/index/main.htm
아름다운 노년생활 http://www.komericanjournal.com/senior_sex000.htm
http://living.snu.ac.kr/%7Echildfamily/provideold.htm
http://www.degok.co.kr/dh/dh075.htm
한신논문집 제12집
사회복지신문 11월 3일자
사회복지학 장인협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전게서 서병숙
김근홍, 한독노인복지이해, 서울:학문사, 2001.
이혜원, 노인복지론 이론과 실제, 서울:곡풍출판사, 2000.
장인협 외, 사회복지학,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최순남, 현대 노인 복지론, 서울:한신대학교출판부, 2000.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통합) 사회부, 지도자 세미나 자료집, 2001. 1.
사단법인 샬롬노인문화원, 지도자 세미나 자료집, 2000. 4.
고양곤, 1995, 한국의 노인과 세계의 노인(세계노인의날 기념 세미나 자료)
장인협최성재, 1995,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한국노인문제연구소, 1995, 유럽의 노인복지, 홍익제
한국여성개발원, 1996, 노인보호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구
\'99서울국제노년학대회 조직위원회, 1999, 21세기 노인부양과 여성노인의 문제
  • 가격1,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4.06.25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3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