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의 식문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앙아시아의 식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러시아의 식문화
1. 자연적 환경
2. 사회적 환경
3. 러시아 역사와 함께한 음식
4. 러시아 음식의 특징과 대표적 음식
5. 러시아의 술과 차
6. 러시아의 음주문화
7. 러시아의 일상식
8. 러시아의 축제와 음식


Ⅱ. 몽골의 식문화
1. 자연적 환경
2. 사회적 환경
3. 몽골의 목축(유목) 문화
4. 몽골의 식생활
5. 몽골의 음식
6. 몽골의 생활양식

Ⅲ. 몽골음식점 체험기
징기스칸 & 뽀엔트 비교


Ⅳ. 몽골문화원 탐방

본문내용

한 러시아 요리에서 스메타나(sour cream)는 약방의 감초이다. 러시아식 전통적인 소스인 스메타나는 마요네즈와 비슷한데 드레싱 대신 사용하고 있다. 스메타나는 만능 소스로 많은 러시아 요리에 첨가되는데, 이 스메타나를 스뵤클라(빨간무)로 만든 수프 \'보르쉬\'에 섞으면 깨끗한 분홍색을 띤 크림 같은 수프가 되며, 러시아 전통 팬케이크인 \'블린\'에 바르면 산뜻한 전채가 되기도 한다. \'주리엥\'이나 \'바프 스트로게노프\'의 화이트소스로 하면 러시아다운 맛이 난다.
러시아인들의 주식은 주로 호밀을 사용하는 흘례프(빵)이다. 빵과 함께 러시아인들의 식탁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감자이다. 당근, 양파, 버섯, 피망과 토마토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먹거리이다. 최근에는 고춧가루, 고추장, 된장, 미역, 김, 두부, 콩나물 같은 한국음식 재료도 쉽게 구할 수 있다. 한국과 큰 차이점은 아직도 싱싱한 생선을 구하는 것이 힘들지만 최근 람스트로 같은 대형 슈퍼에서는 살아있는 향어도 구할 수 있다.
http://russia.co.kr/Doc/russianfood.asp
: 러시아 비즈니스 포탈 사이트로서, 러시아 사회전반, 식문화, 최상위 레스토랑의 소개 및 요리가격을 알려주는 전문 사이트 임.
1) 흑 빵
고대로부터 러시아에서는 구운 빵만이 아니라 빵을 만드는 곡물 자체를 хлеб라고 하는데, 밀, 호밀, 보리, 수수, 귀리가 러시아인의 기본적인 곡물로 간주되어 왔다. 밀로 만든 빵은 종종 진미로 활용 되었으며, 매일 주식으로 먹었던 빵은 호밀로 만들었다. 귀리, 보리, 수수로는 기본적으로 죽을 끓여 먹
었다. 그러나 모든 것의 기초가 되는 것은 항상 빵이었다.
빵은 러시아인들의 주식으로 주로 호밀이 주원료이다. 호밀을 러시아의 한랭하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랐고 이를 원료로 한 검은 빵은 영양이 많다고 하여 러시아인들에게 늘 사랑을 받아왔다. 러시아의
검은 빵은 다른 유럽 등지의 검은 빵보다 더 찰지고 신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종류도 다양해서 호밀로만 만든 흑빵과 곡식을 섞은 흑빵, 딱딱한 흑빵, 부드러운 흑빵 등 여러 가지를 맛볼 수 있다. 처음에 약간 시큼한 맛이 입에 안 맞을 수도 있으나 한번 그 맛에 빠지면 다시는 흰 빵을 찾지 않을 것이다.
2) 죽
빵 못지않게 죽도 러시아인의 주식이나 다름없었다. 즉 “메밀 죽은 우리의 어머니­호밀 빵은 우리의 아
버지”, “죽이 없는 식사는 식사가 아니다”와 같은 죽에 대한 러시아인의 표현은 죽이 러시아인의 일상 식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단적으로 설명해 주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죽은 고대러시아에서는 종종 결혼 피로연에 등장 하였다. 또한 적대적인 세력들 사이에 평화협정을 체결할 때에도 죽을 끓였다. 동맹과 우정의 표시로서 예전에는 적대자들이었던 이들이 같은 식탁에 앉아 죽을 같이 먹었다. 만약 양측이 평화에 관한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들과 함께 죽을 끓이지 말라”. 지금까지도 러시아에서는 고집 센 사람들에 대해 그렇게 말하고 있다.
3) 시 치
러시아인들은시치와 죽은 우리의 양식이라고 말하기를 좋아한다. 사실 고대 러시아에서는 모든 야채국고 수프를 시치라고 불렀으나, 16세기이후에 와서야 비로소 양배추 수프를 시치라고 불렀다. 그런데 가난한 사람들이 먹는 시치와 부자들이 먹는 시치가 달랐다. 가난한 사람들은 간단한, 즉 고기가 없고 때때로 양배추와 양파만 있는 시치를 먹었고, 부자들은 기름진, 시치, 즉 고기가 든 시치를 먹었다.
4) 블 린
러시아인의 일상적인 음식 가운데 아마도 가장 오래 되고 대중적인 음식은 아마도 팬케이크라 할 수 있는블린일 것이다. 블린은 반죽에 러시아 특유의 유제품인 케피르를 첨가해서 쫄깃쫄깃한 맛을 내는 것으로 가장 경제적인 밀가루 음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둥글고 얇은 팬케이크에 연어알, 잼, 치즈, 스메타나, 햄, 고기 등을 넣어서 먹는다. 블린은 접대를 받았을 때 맛있게 먹어야 한다. 다시 말해 진지하지 못한 마음으로 일하는 중간에 먹어서는 안 되며, 오늘날에도 러시아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식품 중에 하나로 길거리에서 간단히 허기를 채우거나 식사 때에 자주 먹는다. 최근에는 블린 전문점이 많이 생겨서 성업 중이며, 축제 때나 일요일에 요리하는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라 하겠다.
5) 피로그
오늘날 노점에서 판매될 정도로 일상적인 음식이면서 블린과 같이 축제 음식으로서 빠지지 않은 음식은 우리나라의 만두와 비슷한 피로그이다. 피로그라는 단어 자체가 연회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지는데, 피로그는 처음부터 명절의 빵을 의미했다. 피로그는 지금까지 명절 식탁의 장식으로 여겨진다.
6) 케피르
케피르는 러시아 특유의 유제품으로 떠먹는 요구르트와 비슷하나 더 발효되어 신맛이 강하고 걸쭉하다. 케피르는 소화를 촉진시켜 변비에 특히 좋다. 러시아 사람들은 케피르를 우유처럼 마시거나 잼과 섞어서 마신다. 딸기 맛, 멜론 맛, 바닐라 맛 등 여러 가지 종류가 판매되고 있다.
7) 아이스크림
러시아의 아이스크림인 \'마로제노에\'는 부드럽고 유지방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길모퉁이나 키오스크에서 판다. 러시아인들은 겨울에도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마로제노에를 즐긴다. 요즘은 외국 브랜드 아이
스크림이 상점에서는 찾을 수 있으니 한 번 맛을 보는 것도 좋겠다.
8) 고 기
전체적으로 육식성인 유럽인의 식성에 따라 러시아의 음식에도 고기로 만든 음식이 많다. 물론 가장 값진 고기 음식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쇠고기이지만, 송아지고기, 특히 젖소 송아지고기로 만든 커틀릿은 쇠고기에 뒤지지 않는다. 식탁에는 그냥 돼지고기가 아니라 통째로 구운 새끼 돼지고기도 오른다. 독특한 국물과 향기 때문에 러시안 인들은 특히 양고기를 좋아한다.
9) 샤실릭
샤실릭은 코카서스 음식으로 샴프론(길다란 쇠꼬챙이)에 절인 고기와 야채를 꽂아서 숯불에 구워 먹는 음식이다. 원래는 양고기로 만들었지만 돼지고기나 닭고기 심지어는 연어나 수닥(러시아 어류)을 꽂아 먹기도 한다. 러시아인들이 여가 시간에 야외로 나가서 먹는 음식 중 대표적이다. 야외에 나가서 자연속에서 숯불고기를 먹으면 그 맛이 일품이다.
10)
  • 가격3,0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04.06.29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