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념과 분류
Ⅱ. 역 학
Ⅲ. 원 인
Ⅵ. 임상양상
V. 진단<DSM-IV 진단기준- 정신분열증>
Ⅵ. 경과 및 예후
VII. 치 료
Ⅱ. 역 학
Ⅲ. 원 인
Ⅵ. 임상양상
V. 진단<DSM-IV 진단기준- 정신분열증>
Ⅵ. 경과 및 예후
VII. 치 료
본문내용
이한 행동, 개인위생의 혼란, 괴상한 생각 등 전구증상이 대개 1년여에 걸쳐 발견되고 다음 환각, 망상 등 명백한 정신병적 증상이 나타난다. 발병 후 회복하는 수도 있고 회복과 재발이 반복되기도 하고, 지속적 만성화 과정을 밟기도 한다. 재발은 스트레스에 의하기도 하나 흔히 예측 불가능하다.
정신분열증의 예후를 판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요인 ;
1예후가 좋은 경우는 발병이 급성일수록, 병기간이 짧을 때, 과거 정신과적 병력이 없을때, 정동증상이나 착란 confusion이 있을 때, 발병한 만한 원인적 사건이 있을 때, 발병전에 직업상이나 성생활면에서 사회적으로 적응이 잘 이뤄지고 있었을 때, 결혼생활이 잘 영위되고 주위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 대인관계가 좋아 감정적으로 따뜻하고 자연스런 유대관계를 맺고 있었을 때, 발병시 나이가 많을 때 등이다.
2예후가 나쁜 경우로는 점진적 발병, 병기간이 길 때, 과거 정신과적 병력이 있을 때, 정동의 둔마, 강박증상, 공격적 증상 등이 있을 때, 병전성격이 나쁠 때, 독신일 때, 직업기능이 낮았을 때, 발병 연령이 어릴 때, 감정적인 철퇴나 무관심한 감정반응을 보일 때, 발병 후 2-3년 후에도 호전이 없을 때, 가정내에 긴장감이 고조되어 있을 때 등이다.
대체로 남자보다 여자에서 예후가 좋다. 13%는 좋은 예후를, 42%는 중간 정도, 45%는 나쁜 예후를 보인다고 한다. 선진국에서보다 저개발국에서 예후가 좋다고 한다. 저개발 국가에서는 주로 가족이 환자들을 돌보고 사회적 압박도 적으며, 사회에서 더 잘 받아들이기 때문일 것이다. 혼란형(파과형)과 단순형이 예후가 나쁘고 긴장형이 좋은 편이다. 퇴원 후 약물유지요법을 잘 지키지 않는 환자는 재발하기 쉽다. 정신분열증 환자의 최종적인 결과 final outcome는 완전하고 영구적인 회복 full and permanent recovery 에서부터 경감상태 remission, 안정된 만성화 및 종말상태로의 황폐화 등 다양하다.
VII. 치 료
정신분열증 치료를 선택하는 기준
치료 목표부터 설정해야 한다. 치료는 가장 신속해야 하고 값이 비싸지 않고 효과적이어야 한다. 정신약물요법이 가장 이상적이다.
환자의 사회복귀와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환자의 원숙한 전문적 치료의 도움뿐 아니라 가족과 사회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모두 노력하여야 한다. 환자가 자신을 개선시킬 수 있게 스스로 할 수 있는 적절한 과제를 주어 능력을 개선시켜 최종적으로 사회복귀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1. 입원치료
입원은 정확한 진단, 일관성 있는 약물치료, 환자의 자해 및 타인에 대한 난폭행동으로부터의 보호, 기본 생활적 욕구(식사, 의복 등)에 대한 제공을 위해 필요하다. 약물치료는 특히 중요한데, 입원이 필요한 이유로는 정확한 진단을 위한 검사와 관찰을 위해, 특수치료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예 : ECT), 자살예방을 위해, 그리고 약물치료의 심각한 부작용에 대한 조처를 위해 등등이다. 최근 경향은 무의미한 장기입원을 피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능한 한 지역사회로 빨리 복귀하는 것이다.
2. 개인 정신치료
역동적 방법보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지지요법이 선호된다. 즉 환자가 새로운 대응 전략, 현실검증, 문제해결, 스트레스와 재발에 관련한 문제 인식 등을 배우게 한다. 치료관계의 형성을 위해 우선 치료자와 환자간의 인간관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어떤 때는 그러한 관계형성을 위해 치료자가 적극적으로 행동한다. Manfred Bleuler가 올바른 치료적 태도는 환자를 형제처럼 받아들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첫째, 건강한 상태로 남아 있는 환자의 자아에 계속해서 조용히 호소해 가며 환자 자신의 책임감을 강조해 가야 하고, 둘째, 자폐적인 환자에게 갑작스런 해석을 해준다든지 의외로 퇴원을 하게 해서 자폐적인 세계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흔들어 줄 만한 충격을 준다는 것이다. 셋째 원칙은 주어진 상황을 극적으로 이용하여 환자의 관심을 끌어 내는 것이다.
3. 집단치료
집단치료는 대인관계에서의 문제점 발견과 그 개선, 특히 실생활에 대한 계획수립에 효과적이다.
4. 가족치료
정신분열증의 원인은 물론 치료에도 가족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질병 자체가 가정내의 심각한 문제와 대개 동반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정신분열증을 그 가족 전체의 질병으로 보기도 한다.
5. 약물치료
정신분열증의 치료에 있어서 약물이 실질적인 가치가 대단하다는 것은 여러모로 증명되어 있으며, 특히 그 증상을 경감시키는 데에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약물요법이 치료의 전부가 될 수는 없다. 지속적 효과와 사회적 적응을 위해서는 정신치료가 필요하다. 의사는 우선 치료해야 할 목표증상 target symptoms을 잘 파악하고, 둘째, 이전치료에서 효과있었던 약물을 고려하고, 셋째, 적정량을 최소한 4-6주간 투여한 후 효과가 없으면 변경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넷째, 여러 가지 약물을 한꺼번에 투여하는 polypharmacy를 가급적이면 피하도록 한다. 다섯째, 증세가 회복되더라도 재발방지를 위해 유지요법이 꼭 필요하다.
6. 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
환자들이 보이는 괴이하고 병적인 행동을 감소시키고, 대화를 촉진하며 잘 적응된 정상적인 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행동요법이 필요할 수 있다. 그 기술로는 token economy와 사회적 기술훈련 social skill training 등이 있다. 입원환자, 통원가료중인 환자 모두에게 매우 유용하다. 특히 환자와 그 가족들간의 부정적인 상호관계의 개선이나 생산적인 방향으로 행동을 교정해 가는 데 있어서는 가장 기대되는 치료방법일 수 있다.
7. 기타 치료
전기 경련 요법 electroconvulsive therapy(ECT)을 정신분열증에 사용할 수 있다. 신경외과적 수술처치를 하는 정신외과 psychosurgery가 있다. 가족과 같이 있기에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낮병원 day hospital 또는 집단거주치료센터(halfway house)가 적절하다. 정상적 직업활동이 곤란한 환자에게 작업실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
정신분열증의 예후를 판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요인 ;
1예후가 좋은 경우는 발병이 급성일수록, 병기간이 짧을 때, 과거 정신과적 병력이 없을때, 정동증상이나 착란 confusion이 있을 때, 발병한 만한 원인적 사건이 있을 때, 발병전에 직업상이나 성생활면에서 사회적으로 적응이 잘 이뤄지고 있었을 때, 결혼생활이 잘 영위되고 주위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 대인관계가 좋아 감정적으로 따뜻하고 자연스런 유대관계를 맺고 있었을 때, 발병시 나이가 많을 때 등이다.
2예후가 나쁜 경우로는 점진적 발병, 병기간이 길 때, 과거 정신과적 병력이 있을 때, 정동의 둔마, 강박증상, 공격적 증상 등이 있을 때, 병전성격이 나쁠 때, 독신일 때, 직업기능이 낮았을 때, 발병 연령이 어릴 때, 감정적인 철퇴나 무관심한 감정반응을 보일 때, 발병 후 2-3년 후에도 호전이 없을 때, 가정내에 긴장감이 고조되어 있을 때 등이다.
대체로 남자보다 여자에서 예후가 좋다. 13%는 좋은 예후를, 42%는 중간 정도, 45%는 나쁜 예후를 보인다고 한다. 선진국에서보다 저개발국에서 예후가 좋다고 한다. 저개발 국가에서는 주로 가족이 환자들을 돌보고 사회적 압박도 적으며, 사회에서 더 잘 받아들이기 때문일 것이다. 혼란형(파과형)과 단순형이 예후가 나쁘고 긴장형이 좋은 편이다. 퇴원 후 약물유지요법을 잘 지키지 않는 환자는 재발하기 쉽다. 정신분열증 환자의 최종적인 결과 final outcome는 완전하고 영구적인 회복 full and permanent recovery 에서부터 경감상태 remission, 안정된 만성화 및 종말상태로의 황폐화 등 다양하다.
VII. 치 료
정신분열증 치료를 선택하는 기준
치료 목표부터 설정해야 한다. 치료는 가장 신속해야 하고 값이 비싸지 않고 효과적이어야 한다. 정신약물요법이 가장 이상적이다.
환자의 사회복귀와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환자의 원숙한 전문적 치료의 도움뿐 아니라 가족과 사회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모두 노력하여야 한다. 환자가 자신을 개선시킬 수 있게 스스로 할 수 있는 적절한 과제를 주어 능력을 개선시켜 최종적으로 사회복귀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1. 입원치료
입원은 정확한 진단, 일관성 있는 약물치료, 환자의 자해 및 타인에 대한 난폭행동으로부터의 보호, 기본 생활적 욕구(식사, 의복 등)에 대한 제공을 위해 필요하다. 약물치료는 특히 중요한데, 입원이 필요한 이유로는 정확한 진단을 위한 검사와 관찰을 위해, 특수치료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예 : ECT), 자살예방을 위해, 그리고 약물치료의 심각한 부작용에 대한 조처를 위해 등등이다. 최근 경향은 무의미한 장기입원을 피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능한 한 지역사회로 빨리 복귀하는 것이다.
2. 개인 정신치료
역동적 방법보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지지요법이 선호된다. 즉 환자가 새로운 대응 전략, 현실검증, 문제해결, 스트레스와 재발에 관련한 문제 인식 등을 배우게 한다. 치료관계의 형성을 위해 우선 치료자와 환자간의 인간관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어떤 때는 그러한 관계형성을 위해 치료자가 적극적으로 행동한다. Manfred Bleuler가 올바른 치료적 태도는 환자를 형제처럼 받아들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첫째, 건강한 상태로 남아 있는 환자의 자아에 계속해서 조용히 호소해 가며 환자 자신의 책임감을 강조해 가야 하고, 둘째, 자폐적인 환자에게 갑작스런 해석을 해준다든지 의외로 퇴원을 하게 해서 자폐적인 세계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흔들어 줄 만한 충격을 준다는 것이다. 셋째 원칙은 주어진 상황을 극적으로 이용하여 환자의 관심을 끌어 내는 것이다.
3. 집단치료
집단치료는 대인관계에서의 문제점 발견과 그 개선, 특히 실생활에 대한 계획수립에 효과적이다.
4. 가족치료
정신분열증의 원인은 물론 치료에도 가족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질병 자체가 가정내의 심각한 문제와 대개 동반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정신분열증을 그 가족 전체의 질병으로 보기도 한다.
5. 약물치료
정신분열증의 치료에 있어서 약물이 실질적인 가치가 대단하다는 것은 여러모로 증명되어 있으며, 특히 그 증상을 경감시키는 데에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약물요법이 치료의 전부가 될 수는 없다. 지속적 효과와 사회적 적응을 위해서는 정신치료가 필요하다. 의사는 우선 치료해야 할 목표증상 target symptoms을 잘 파악하고, 둘째, 이전치료에서 효과있었던 약물을 고려하고, 셋째, 적정량을 최소한 4-6주간 투여한 후 효과가 없으면 변경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넷째, 여러 가지 약물을 한꺼번에 투여하는 polypharmacy를 가급적이면 피하도록 한다. 다섯째, 증세가 회복되더라도 재발방지를 위해 유지요법이 꼭 필요하다.
6. 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
환자들이 보이는 괴이하고 병적인 행동을 감소시키고, 대화를 촉진하며 잘 적응된 정상적인 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행동요법이 필요할 수 있다. 그 기술로는 token economy와 사회적 기술훈련 social skill training 등이 있다. 입원환자, 통원가료중인 환자 모두에게 매우 유용하다. 특히 환자와 그 가족들간의 부정적인 상호관계의 개선이나 생산적인 방향으로 행동을 교정해 가는 데 있어서는 가장 기대되는 치료방법일 수 있다.
7. 기타 치료
전기 경련 요법 electroconvulsive therapy(ECT)을 정신분열증에 사용할 수 있다. 신경외과적 수술처치를 하는 정신외과 psychosurgery가 있다. 가족과 같이 있기에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낮병원 day hospital 또는 집단거주치료센터(halfway house)가 적절하다. 정상적 직업활동이 곤란한 환자에게 작업실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
추천자료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방안 및 사례 례포트 (2007년 추천 우수 레포트 ...
[정신분열][정신분열증][정신질환][정신병][정신분열증치료][정신분열증예방]정신분열증의 정...
[간호학]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case study
SPR 스키조 정신분열 문헌고찰
사례보고서(정신분열)
[간호학] 정신분열병 SCHIZOPHRENIC DISORDERS
Schizophrenia(정신분열증)의 병태 생리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아동의 정신분열증 (Cos: Childhood-Onset Schizop...
조현병(정신분열병)의 지역사회 개입 중 우리나라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
[정신분열증] 정신분열증의 원인 및 정의, 정신분열증의 증상(양성증상, 음성증상), 정신분열...
Schizophrenia(정신분열병) - case study
정신분열병(조현병, 정신분열증) - 정신분열병의 개념과 원인 및 치료방법
case study - 정신분열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