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중의 실용적인 부국 강병책
위대한 개혁가
김정일은 관중을 배워야
상공업자들에겐 병역면제
위대한 개혁가
김정일은 관중을 배워야
상공업자들에겐 병역면제
본문내용
수 있습니다. 러시아의 개혁이 실패하고 중국의 개혁이 성공한 이유도 이와 비슷합니다. 러시아에서는 집단농장의 사유화를 하지 못했던 데 대해 중국은 등소평의 지도력에 힘입어 이것을 해냈던 것입니다.
상공업자들에겐 병역면제
관중의 개혁이 또 있습니다. 관중은 제나라를 21개 행정구역으로 나누어 다스렸습니다. 이들중 6개 지역은 상공업자들이 사는 지역이었습니다. 관중은 이 상공업자들의 구역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병역의무를 면제해주었습니다. 관중이 보기에는 상공업이 농업보다는 생산성이 높으므로 상공업자들을 군대로 데리고 가는 것보다는 이들로 하여금 열심히 돈을 벌고 물건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 군사력을 강화시키는 데 있어서도 더 유리하다는 판단을 했던 것입니다.
이것도 관중의 아주 유연한 발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경직된 도덕론이나 기계적 평등론으로 보면 말이 안될지 모르지만 관중은 부국강병이란 대명제를 위해서 실리와 국익을 도모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관중의 이런 실용적 개혁정책으로 해서 제나라에는 많은 상인과 기술자들이 몰려와서 장사도 하고 물건도 많이 만들게 되었습니다. 특히 해안지방에서는 소금을 만드는 산업이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소금은 곡식만큼이나 중요한 물자였습니다.
요사이 말로 하면 관중은 외국인들이 많이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였던 것입니다. 즉 상공업자들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병역면제와 같은 특혜를 주었던 것이므로 기술과 돈을 가진 사람들이 제나라로 몰려들었던 것입니다. 일종의 자유무역지대 구상이라 할까요. 나라의 부가 증가하니 자연히 세금도 많이 걷히게 되었습니다. 세금이 많이 걷히니 군대도 강력하게 유지할 수가 있었습니다.
이 관중의 개혁정책은 기원전 7세기의 일입니다. 로마가 겨우 생겨나고 있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이런 시대에 벌써 관중과 같은 실용주의 정치인이 중국에 나타났으니 인간사의 원리라는 것은 결국 그 본질은 변함이 없고 시대에 따라서 형식만 조금씩 바뀔 뿐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중국역사상 최초의 명재상이라고 일컬어지는 관중은 또 관리들의 임무를 전문화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때까지 제나라의 공무원들은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일들을 총람하는 식이었습니다. 관중의 건의에 따라 환공은 전문영역을 설정하여 업무를 세분하였습니다. 사회가 발전하여 복잡하게 되는 데 따른 정부기능의 조정이었던 것입니다. 이런 관중의 사상을 담은 책이 「관자」 24권입니다.
상공업자들에겐 병역면제
관중의 개혁이 또 있습니다. 관중은 제나라를 21개 행정구역으로 나누어 다스렸습니다. 이들중 6개 지역은 상공업자들이 사는 지역이었습니다. 관중은 이 상공업자들의 구역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병역의무를 면제해주었습니다. 관중이 보기에는 상공업이 농업보다는 생산성이 높으므로 상공업자들을 군대로 데리고 가는 것보다는 이들로 하여금 열심히 돈을 벌고 물건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 군사력을 강화시키는 데 있어서도 더 유리하다는 판단을 했던 것입니다.
이것도 관중의 아주 유연한 발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경직된 도덕론이나 기계적 평등론으로 보면 말이 안될지 모르지만 관중은 부국강병이란 대명제를 위해서 실리와 국익을 도모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관중의 이런 실용적 개혁정책으로 해서 제나라에는 많은 상인과 기술자들이 몰려와서 장사도 하고 물건도 많이 만들게 되었습니다. 특히 해안지방에서는 소금을 만드는 산업이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소금은 곡식만큼이나 중요한 물자였습니다.
요사이 말로 하면 관중은 외국인들이 많이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였던 것입니다. 즉 상공업자들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병역면제와 같은 특혜를 주었던 것이므로 기술과 돈을 가진 사람들이 제나라로 몰려들었던 것입니다. 일종의 자유무역지대 구상이라 할까요. 나라의 부가 증가하니 자연히 세금도 많이 걷히게 되었습니다. 세금이 많이 걷히니 군대도 강력하게 유지할 수가 있었습니다.
이 관중의 개혁정책은 기원전 7세기의 일입니다. 로마가 겨우 생겨나고 있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이런 시대에 벌써 관중과 같은 실용주의 정치인이 중국에 나타났으니 인간사의 원리라는 것은 결국 그 본질은 변함이 없고 시대에 따라서 형식만 조금씩 바뀔 뿐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중국역사상 최초의 명재상이라고 일컬어지는 관중은 또 관리들의 임무를 전문화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때까지 제나라의 공무원들은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일들을 총람하는 식이었습니다. 관중의 건의에 따라 환공은 전문영역을 설정하여 업무를 세분하였습니다. 사회가 발전하여 복잡하게 되는 데 따른 정부기능의 조정이었던 것입니다. 이런 관중의 사상을 담은 책이 「관자」 24권입니다.
추천자료
중화사상과 중국의 근대화
[독서감상문] 레미제라블 장발쟝
빛의 회절
[채만식의 태평천하 독후감][채만식의 태평천하 독서감상문][채만식의 태평천하 서평][채만식...
대학 내에 들어온 상업시설
[공무도하가][공무도하가의 배경설화][공무도하가의 작품해제][공무도하가의 작품이해]공무도...
[미술] 미술관 감상문
[가정폭력][가정폭력의 심각성][가정폭력의 영향][가정폭력 대책]가정폭력의 유형, 가정폭력...
광고로 배우는 아이디어발상법 - 기말
데이 문화 정의, 종류, 상업화 변질, 빼빼로 데이, 공격적 데이마케팅 양산, 사회학적 이론 ...
영화 버킷리스트를 보고
중합공학실험_에폭시수지 합성
아동 안전사고 사례 (믹서기에 손을 베는 안전사고 사례, 회전문에 다치는 안전사고 사례, 급...
간호윤리와 법 - 법윤리 상황극 보고서 ( 서론, 본론, 관련 법 조항, 관련 사례, 해결방안,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