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학교의 학습풍토
1) 학습풍토의 정의
2) 학습풍토의 주요개념
3) 학습풍토의 유형화
4) 학습풍토의 요소
※부천고등학교와 원종고등학교의 비교
B. 학습풍토와 좋은 학교
1) 좋은 학교의 기준
2) 좋은 학교(Quality School)를 위한 개선방법
C.『교실붕괴』(敎室崩壞)에 대하여
○ 수업 시간의 문제
○ 교권의 붕괴
1) 학습풍토의 정의
2) 학습풍토의 주요개념
3) 학습풍토의 유형화
4) 학습풍토의 요소
※부천고등학교와 원종고등학교의 비교
B. 학습풍토와 좋은 학교
1) 좋은 학교의 기준
2) 좋은 학교(Quality School)를 위한 개선방법
C.『교실붕괴』(敎室崩壞)에 대하여
○ 수업 시간의 문제
○ 교권의 붕괴
본문내용
거한 빈곤, 결손가정의 청소년들이 어쩔 수 없이 학업을 중도에 그만두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현재는 학력주의에 따른 입시위주의 획일적인 학교교육에 대한 거부감, 가족의 구조와 기능의 약화, 청소년 유해 환경의 번창 등으로 인한 자발적인 중퇴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중퇴 학생 대부분이 "유학", "질병", "가정형편상" 과 같은 그럴듯한 사유를 붙이기 때문에 눈 가리고 아옹 하는 식이 되어 교실붕괴에 따른 중퇴자의 숫자를 정확히 파악하기조차 힘들다.
한편 요즈음 정원 미달로 애를 먹고 있는 실업고는 이러한 경우와 상이하다. 서울시내의 경우 실업고는 3명중 1명이 장기결석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실업고이든 인문고이든「교실붕괴」차원을 넘어 사실상 학교해체 양상까지 보이고 있어 국가적 차원에서 특별한 대책이 요구된다.
교권의 붕괴
얼마 전에 울산지역 한 고교의 학생부장 교사는 훈계 차원에서 머리를 한 대 쥐어박으면 눈을 치켜뜨고 대드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말한다. 또, 인천시 중학교에서 있었던 일인데 그 학교 여교사는 수업시간에 치맛단을 꿰매는 학생을 적발, 회초리로 손바닥을 몇 차례 때렸다가 112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에게 체벌이유를 설명하던 중 그만 울음을 터뜨린 적도 있다.
또, 경기도 고양시 초등학교 4학년 교실에서 발생한 임신한 여교사의 폭행은 우리 국민에게 큰 충격을 준 바 있으며, 어느 여교사가 수업시간에 거의 누운 채 앉아 있는 학생에게 나무랐다가 뺨을 얻어맞은 일이 있었고, 지난해 4월 경기도 초등학교 1학년 담임이었던 교사는 수업시간에 다른 아이들을 괴롭히고 가정통신문을 찢는 등 말썽을 부리는 학생에게 주의를 주었고 그 아이는 즉시 집에 가 부모에게 사실을 알렸고 그 학생의 아버지는 수업중인 그 교사와 교감에게 폭행 · 폭언을 퍼부어 사건은 경찰 수사로까지 비화된 적도 있었다. 또, 제주도에서는 학생 50명이 교사의 훈계와 체벌에 항의, 유리창 등을 깨며 집단 난동을 부린 일도 있었다.
이 같은 참담한 현실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들은 점점 더 위축될 수밖에 없으며, 교사로서의 지도를 다 할 수 없다는 점이 교실붕괴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
참고문헌 ------------------------------------------------------
1. 권건일 외 지음, 교육사회학, 교문사, 2003.
2. 김병성 지음, 효과적인 학급 학습풍토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1995.
한편 요즈음 정원 미달로 애를 먹고 있는 실업고는 이러한 경우와 상이하다. 서울시내의 경우 실업고는 3명중 1명이 장기결석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실업고이든 인문고이든「교실붕괴」차원을 넘어 사실상 학교해체 양상까지 보이고 있어 국가적 차원에서 특별한 대책이 요구된다.
교권의 붕괴
얼마 전에 울산지역 한 고교의 학생부장 교사는 훈계 차원에서 머리를 한 대 쥐어박으면 눈을 치켜뜨고 대드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말한다. 또, 인천시 중학교에서 있었던 일인데 그 학교 여교사는 수업시간에 치맛단을 꿰매는 학생을 적발, 회초리로 손바닥을 몇 차례 때렸다가 112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에게 체벌이유를 설명하던 중 그만 울음을 터뜨린 적도 있다.
또, 경기도 고양시 초등학교 4학년 교실에서 발생한 임신한 여교사의 폭행은 우리 국민에게 큰 충격을 준 바 있으며, 어느 여교사가 수업시간에 거의 누운 채 앉아 있는 학생에게 나무랐다가 뺨을 얻어맞은 일이 있었고, 지난해 4월 경기도 초등학교 1학년 담임이었던 교사는 수업시간에 다른 아이들을 괴롭히고 가정통신문을 찢는 등 말썽을 부리는 학생에게 주의를 주었고 그 아이는 즉시 집에 가 부모에게 사실을 알렸고 그 학생의 아버지는 수업중인 그 교사와 교감에게 폭행 · 폭언을 퍼부어 사건은 경찰 수사로까지 비화된 적도 있었다. 또, 제주도에서는 학생 50명이 교사의 훈계와 체벌에 항의, 유리창 등을 깨며 집단 난동을 부린 일도 있었다.
이 같은 참담한 현실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들은 점점 더 위축될 수밖에 없으며, 교사로서의 지도를 다 할 수 없다는 점이 교실붕괴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
참고문헌 ------------------------------------------------------
1. 권건일 외 지음, 교육사회학, 교문사, 2003.
2. 김병성 지음, 효과적인 학급 학습풍토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1995.
추천자료
교사의 자질과 교육행정
교육과 의사소통
학업성취의 결정요인
초중단계에서 대안교육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
국어교육-창작교육을 해야 할 것인가?
9장 학교생활과 성취행위
유아기의 조기교육에 실태와 문제점
[실업계고등학교교육][실업계고교교육][실업계학교]실업계고등학교교육 개선의 필요성, 실업...
교육심리 구성주의 정리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의의,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분류와 특성,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운영방침...
[다문화 미술교육][다문화 미술교육 사례][다문화 미술교육 평가]다문화 미술교육 특성, 다문...
[감상][미술감상활동]감상의 개념, 감상의 장점, 감상과 표현, 미술감상활동의 실태, 미술감...
교육과정 4학년 (공통) 현대 교육사조와 교육과정 유형을 설명하시오. (아동중심, 활동중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