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질오염 이란?
2. 수질오염 현상
3. 수질오염원(Water pollution source)
4. 오염부하 발생원단위(Pollutant load factor)
5. 용존산소(DO : Dissolved Oxygen)
6.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7. 화학적 산소요구량
8. BOD와 COD의 관계
9. 총 유기탄소량(TOC : Total Organic Carbon)
10. 고형물(Solid)
11. 탁도 · 색도 · 냄새
12. 대장균군(Coliform group)
13. 물의 자정작용(Self Furification)
14. 부영양화(Eutrophication)
15. 적조현상(Red tide)
16. 질소
17. 인(Phosphorus)
18. 경도(Hardness)
19. 알카리도(Alkalinity)
20. 중금속 오염
21. 가정하수 오염사건 사례
22. 수질오염에 관계되는 미생물
23. 미생물과 환경
2. 수질오염 현상
3. 수질오염원(Water pollution source)
4. 오염부하 발생원단위(Pollutant load factor)
5. 용존산소(DO : Dissolved Oxygen)
6.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7. 화학적 산소요구량
8. BOD와 COD의 관계
9. 총 유기탄소량(TOC : Total Organic Carbon)
10. 고형물(Solid)
11. 탁도 · 색도 · 냄새
12. 대장균군(Coliform group)
13. 물의 자정작용(Self Furification)
14. 부영양화(Eutrophication)
15. 적조현상(Red tide)
16. 질소
17. 인(Phosphorus)
18. 경도(Hardness)
19. 알카리도(Alkalinity)
20. 중금속 오염
21. 가정하수 오염사건 사례
22. 수질오염에 관계되는 미생물
23. 미생물과 환경
본문내용
물속에서 현탁상태로 존재한다.
○ 부유고형물(SS Suspended Solid) : 크기가 0.1㎛ 이상의 현탁상태의 고형물을 말한다.
2) 수질에 미치는 영향
○ 탁도 및 색도의 원인물질
○ 빛의 투과량을 감소시켜 식물의 광합성을 방해한다.
○ 어류의 아가미에 부착하여 호흡기능을 저하시킨다.
○ 하천과 해저에 침적 부패하기 때문에 저질의 환경을 악화 시킨다.
○ 물맛을 나쁘게 하고, 각종 용수로서의 가치를 저하시킨다.
3) 고형물의 상호관계
TS = VS + FS
∥ ∥ ∥
TSS = VSS + FSS
+ + +
TDS = VDS + FDS
TS : 총고형물(Total Solids)
VS : 휘발성고형물(Volatile Solids)
FS : 강열잔류고형물(Fixed Solids)
TSS : 총부유성고형물(Total Suspended Solids)
TDS : 총용존성고형물(Total Dissolved Solids)
VSS : 휘발성부유물(Volatile Suspended Solids)
FSS : 강열잔류부유물(Fixed Suspended Solids)
VDS : 휘발성용존고형물(Volatile Dissolved Solids)
FDS : 강열잔류용존고형물( Fixed Dissolved Solids)
11. 탁도 색도 냄새
1) 탁도 : 물의 탁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백도토(SiO2) 1mg이 증류 수1ℓ에 용해되어 있을때 탁도를 1도라 한다. 탁도는 물의 선명도 를 감소시키는 미세한 현탁물질에 의해 유발되는데 수중의 박테 리아, 조류(algae), 실트(silt), 점토, 유기물 등의 콜로이드성 물 질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탁도가 정수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 과 같다.
○ 정수과정에서 화학적 응집제의 소요량이 증가한다.
○ 염소 소독시 약품 소요량을 증가시킨다.
2) 색도 : 순수한 물은 색깔이 없으나 자연수는 이물질에 의해 색을 띠게 된다. 색도를 유발하게 되는 물질은 나뭇잎, 목재등 다양한 단계 로 분해된 상태의 유기물로서 물과 접촉하는데서 나타난다.
물의 색도를 측정하는 색도 표준액은 백금-코발트법으로 염화백 금산칼륨(K2PtCl6) 2.49g을 염산으로 용해시켜 전량을 1ℓ로 하 며 백금 1mg/ℓ에 의해 나타나는 자연적인 색을 1도라 하며 색도 의 표준단위로 이용한다.
○ 색도가 높은 물은 일반적으로 유기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다.
○ 급수전에 철, 망간이 함유될 경우 색도가 높게 나타난다.
3) 냄새 : 상수(上水)의 냄새는 페놀류를 포함하는 공장폐수의 유입과 프랑 크톤의 번식, 염소처리 등에 원인이 있으며, 지하수 및 하수의 냄새는 폐수내에 유기물질이 분해되면서 부생하는 황화수소, 메 탄가스, 암모나아 등의 기체로 인한 것으로 대부분 황화수소 (H2S)의 계란썩는 냄새가 문제된다.
아민류 : 생선냄새
디아민류 : 부패된 고기냄새
황화수소 : 썩은 달걀냄새
암모니아 : 암모니아의 특이취
메르캅탄류 : 부패된 채소냄새
유기황화합물 : 부패된 채소냄새
스카톨 : 분변냄새
12. 대장균군(Coliform group)
1) 정의 : Gram 음성무아포성의 간균으로 유당을 분해하여 가스 또는 산 을 발생하는 모든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균을 총칭한다.
2) 의의 : 대장균은 분변성 오염의 지표세균으로 이용되고 있다. 대장균은 콜레라나 장티프스 등과 같은 병원균 보다도 수중에서 생존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이러한 병원균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대장균 보다 생존력이 강하가 때문에 이에 대한 지표세균으로는 사용하기 곤란하다.
3) 시험방법 : 환경기준 시험은 최적확수(MPN) 시험법에 의하며 그 결과는 MPN/100ml로 나타내는데 이는 검액 100ml 중의 대장균군 수를 표시한다.
13. 물의 자정작용(Self Furification)
1) 정의 : 수중에 오염물질이 유입될 경우 물은 자연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려고 하는 기능을가지며 이러한 물의 자연적 제어기능을 자정작용이라 한다. 하천의 자정작용 인자는 pH, 온도, 일광, DO, 수심, 유속 등이 있다.
2) 물리적 작용 : 오염물질이 희석, 확산, 혼합, 침전, 여과, 흡착 등으로 농 도가 감소되는 현상.
3) 화학적 작용 : 오염물질이 산화, 환원, 중화, 응집등에 의해 농도가 감소 되는 현상.
4) 생물학적 작용 : 주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질 분해작용
5)물의 환경용량:물의 자정능력을 오염물질의 등가량으로 환산한 용량이다.
14. 부영양화(Eutrophication)
1) 정의 : 각종 영양염류(특히 N, P)가 수체 내로 과다 유입됨으로써 미생 물 활동에 의한 생산과 소비의 균형이 파괴되어 물의 이용가치 가 저하되고, 조류의 이상 번식에 따른 자연적 늪지 현상이다.
2) 결과 : 투명도가 낮아지고 수질이 악화되는 한편 호소의 늪지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부영양화의 마지막 단계는 청록조류(남조류)가 번성하며 호소는 빈영양호 → 중영양호 → 부영양호 → 늪지로 변화되어 간다.
3) 특징
○ 사멸된 조류의 분해작용에 의한 심층수로부터 DO 결핍 확산
○ COD 증가(조류합성에 의한 유기물증가)
○ 한번 부영양화된 호수는 회복이 힘들고(먹이연쇄 반복) 점차악화
○ 생태계 파괴(생물체 생존환경 악화) - 어패류의 폐사등
○ 마지막 단계에서 청록조류 번식
○ 냄새 발생(조류에 의한 발취 및 혐기성 분해)
○ 투명도 저하 및 착색(조류발생으로 현탁)
4) 방지대책
○ 저수지내 질소(N)나 인(P) 등의 유입이나 농도를 감소시킨다.
○ 인을 함유하는 합성세제의 사용금지
○ 하수나 폐수내의 인,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3차처리)
○ 조류가 버닉할 경우 황산동(CuSO4)이나 활성탄을 뿌려서 제거
15. 적조현상(Red tide)
1) 정의 : 호소 또는 해수 중에서 부유생활을 하고있는 미소생물군(주로 식 물성프랑크톤)이 단시간내에 급격히 증식하여 물의 색을 변색시키 는 현상인데 적조라 하여 반드시 적색만을 띠는 것이 아니라 발 생하는 프랑크톤의 색깔에 따라 갈색이나 녹색을
○ 부유고형물(SS Suspended Solid) : 크기가 0.1㎛ 이상의 현탁상태의 고형물을 말한다.
2) 수질에 미치는 영향
○ 탁도 및 색도의 원인물질
○ 빛의 투과량을 감소시켜 식물의 광합성을 방해한다.
○ 어류의 아가미에 부착하여 호흡기능을 저하시킨다.
○ 하천과 해저에 침적 부패하기 때문에 저질의 환경을 악화 시킨다.
○ 물맛을 나쁘게 하고, 각종 용수로서의 가치를 저하시킨다.
3) 고형물의 상호관계
TS = VS + FS
∥ ∥ ∥
TSS = VSS + FSS
+ + +
TDS = VDS + FDS
TS : 총고형물(Total Solids)
VS : 휘발성고형물(Volatile Solids)
FS : 강열잔류고형물(Fixed Solids)
TSS : 총부유성고형물(Total Suspended Solids)
TDS : 총용존성고형물(Total Dissolved Solids)
VSS : 휘발성부유물(Volatile Suspended Solids)
FSS : 강열잔류부유물(Fixed Suspended Solids)
VDS : 휘발성용존고형물(Volatile Dissolved Solids)
FDS : 강열잔류용존고형물( Fixed Dissolved Solids)
11. 탁도 색도 냄새
1) 탁도 : 물의 탁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백도토(SiO2) 1mg이 증류 수1ℓ에 용해되어 있을때 탁도를 1도라 한다. 탁도는 물의 선명도 를 감소시키는 미세한 현탁물질에 의해 유발되는데 수중의 박테 리아, 조류(algae), 실트(silt), 점토, 유기물 등의 콜로이드성 물 질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탁도가 정수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 과 같다.
○ 정수과정에서 화학적 응집제의 소요량이 증가한다.
○ 염소 소독시 약품 소요량을 증가시킨다.
2) 색도 : 순수한 물은 색깔이 없으나 자연수는 이물질에 의해 색을 띠게 된다. 색도를 유발하게 되는 물질은 나뭇잎, 목재등 다양한 단계 로 분해된 상태의 유기물로서 물과 접촉하는데서 나타난다.
물의 색도를 측정하는 색도 표준액은 백금-코발트법으로 염화백 금산칼륨(K2PtCl6) 2.49g을 염산으로 용해시켜 전량을 1ℓ로 하 며 백금 1mg/ℓ에 의해 나타나는 자연적인 색을 1도라 하며 색도 의 표준단위로 이용한다.
○ 색도가 높은 물은 일반적으로 유기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다.
○ 급수전에 철, 망간이 함유될 경우 색도가 높게 나타난다.
3) 냄새 : 상수(上水)의 냄새는 페놀류를 포함하는 공장폐수의 유입과 프랑 크톤의 번식, 염소처리 등에 원인이 있으며, 지하수 및 하수의 냄새는 폐수내에 유기물질이 분해되면서 부생하는 황화수소, 메 탄가스, 암모나아 등의 기체로 인한 것으로 대부분 황화수소 (H2S)의 계란썩는 냄새가 문제된다.
아민류 : 생선냄새
디아민류 : 부패된 고기냄새
황화수소 : 썩은 달걀냄새
암모니아 : 암모니아의 특이취
메르캅탄류 : 부패된 채소냄새
유기황화합물 : 부패된 채소냄새
스카톨 : 분변냄새
12. 대장균군(Coliform group)
1) 정의 : Gram 음성무아포성의 간균으로 유당을 분해하여 가스 또는 산 을 발생하는 모든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균을 총칭한다.
2) 의의 : 대장균은 분변성 오염의 지표세균으로 이용되고 있다. 대장균은 콜레라나 장티프스 등과 같은 병원균 보다도 수중에서 생존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이러한 병원균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대장균 보다 생존력이 강하가 때문에 이에 대한 지표세균으로는 사용하기 곤란하다.
3) 시험방법 : 환경기준 시험은 최적확수(MPN) 시험법에 의하며 그 결과는 MPN/100ml로 나타내는데 이는 검액 100ml 중의 대장균군 수를 표시한다.
13. 물의 자정작용(Self Furification)
1) 정의 : 수중에 오염물질이 유입될 경우 물은 자연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려고 하는 기능을가지며 이러한 물의 자연적 제어기능을 자정작용이라 한다. 하천의 자정작용 인자는 pH, 온도, 일광, DO, 수심, 유속 등이 있다.
2) 물리적 작용 : 오염물질이 희석, 확산, 혼합, 침전, 여과, 흡착 등으로 농 도가 감소되는 현상.
3) 화학적 작용 : 오염물질이 산화, 환원, 중화, 응집등에 의해 농도가 감소 되는 현상.
4) 생물학적 작용 : 주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질 분해작용
5)물의 환경용량:물의 자정능력을 오염물질의 등가량으로 환산한 용량이다.
14. 부영양화(Eutrophication)
1) 정의 : 각종 영양염류(특히 N, P)가 수체 내로 과다 유입됨으로써 미생 물 활동에 의한 생산과 소비의 균형이 파괴되어 물의 이용가치 가 저하되고, 조류의 이상 번식에 따른 자연적 늪지 현상이다.
2) 결과 : 투명도가 낮아지고 수질이 악화되는 한편 호소의 늪지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부영양화의 마지막 단계는 청록조류(남조류)가 번성하며 호소는 빈영양호 → 중영양호 → 부영양호 → 늪지로 변화되어 간다.
3) 특징
○ 사멸된 조류의 분해작용에 의한 심층수로부터 DO 결핍 확산
○ COD 증가(조류합성에 의한 유기물증가)
○ 한번 부영양화된 호수는 회복이 힘들고(먹이연쇄 반복) 점차악화
○ 생태계 파괴(생물체 생존환경 악화) - 어패류의 폐사등
○ 마지막 단계에서 청록조류 번식
○ 냄새 발생(조류에 의한 발취 및 혐기성 분해)
○ 투명도 저하 및 착색(조류발생으로 현탁)
4) 방지대책
○ 저수지내 질소(N)나 인(P) 등의 유입이나 농도를 감소시킨다.
○ 인을 함유하는 합성세제의 사용금지
○ 하수나 폐수내의 인,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3차처리)
○ 조류가 버닉할 경우 황산동(CuSO4)이나 활성탄을 뿌려서 제거
15. 적조현상(Red tide)
1) 정의 : 호소 또는 해수 중에서 부유생활을 하고있는 미소생물군(주로 식 물성프랑크톤)이 단시간내에 급격히 증식하여 물의 색을 변색시키 는 현상인데 적조라 하여 반드시 적색만을 띠는 것이 아니라 발 생하는 프랑크톤의 색깔에 따라 갈색이나 녹색을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나라 수질오염의 원인과 대책
농약오염으로 인한 식품 및 토양, 수질오염의 현황과 해결방안 - 농약오염 사례, 골프장 농약...
수질오염과 해양오염
[환경문제][환경오염][환경문제]환경문제에 따른 각종 환경오염과 그에 따른 대책(환경문제 ...
우리나라4대강의 수질오염사례분석
[인간][인간과 환경][인간과 자연][인간건강과 환경오염][인간건강과 수질오염][인간과 생태...
[물과 건강- 상수와 하수] 수원의 종류와 수질환경기준(수질오염지표) 및 상수처리방법, 수질...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정리2
새만금,새만금종합개발,새만금사업,수질오염,새만금종합개발사업,새만금사업파급효과,새만금...
[수질오염분석실험] Solids [고형물]
지역사회 수질오염사례
하수처리wastewater disposal 단계별 BOD 측정-수질오염요소설계 2주차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음식물 쓰레기의 심각성,음식물 쓰레기의 문제점,음식물 쓰레기 환경 ...
4대강 사업과 수질오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