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주요 종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세계종교개관
■현대서구세계(제1 세계)
■이슬람 세계
■아시아 세계
■아메리카 아프리카 태평양 지역
■구사회주의세계(제2 세계)
II.힌 두 교
■힌두교의 역사와 개요
■인생의 목적(인생관)
■4가지 완성의 길
■삶의 4단계
III.불 교
1. 원시근기불교
■힌두교에서 불교가 나오게 된 배경
■석가의 종교체험(구도생활)
■불교의 핵심교리
2. 초기(소승)불교
3. 후기(대승)불교
4.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비교
IV.유 교
■大學의 8조목
■君子
V.이슬람교
■S L M
■이슬람 등장 배경(6세기 이전)
■무하메드의 종교체험
■다섯가지의 의무(Five Pillars)
■계시의 순서
VI.유 대 교
■유대교의 역사
VII.도 교
■철학적 도교(Taoism)
■종교적 도교

본문내용

12지파로 보족 연맹관계를 가진다.
(4)왕국시대: 사울 다윗 솔로몬으로 해서 왕의 시대를 가르킨다.
(5)포로시대: 솔로몬 시대에 건축된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된다. 그리고 에스라와 느헤미야에 의해서 재 건축되는데 에스라의 개혁이 시도된다.
-에스라는 크게 세 가지를 재정립한다. 사제제도: 대제사장 제사장 레위인 율법교사
의 례: 유월절(출애굽사건을 말한다.)
칠칠절(토라를 받은 사건을 가르킨다.)
초막절(광야의시대를 잊지 않기 위해서 기린다.)속죄일(Yom Kppur으로 불리는데 유대력으로 새해가 시작될때 24시간 금식하면서 자신의 죄를 통회 한다.)
경 전: 모세오경을 확립한다.
-종파난립
사두개파: 유대교가 로마식민지로 들어갈 시점에서 상위층에 속하는 귀족들이었다. 이 사두개파들은 로마에 타협하면서 유대교 최고의 의회인 산헤드린(70인 의회)을 구성하여 실질적인 유대교를 움직이는 핵심들이었다. 이들의 특징은 부활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바리새파: 중하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바리새'라는 뜻이 '분리했다'라는 뜻으로 경건을 앞세워 로마와 신앙 및 여러 가지로 결탁한 산헤드린에서 분리한 자들을 말한다. 이들이 나중에 이스라엘의 랍비가 된다. 이들은 부활신앙을 믿는다.
젤 롯 당: 로마 식민지로부터 정치적 민족적으로 해방하기 위해서 고민하고 무장토쟁을 시도한 자들로서 이들은 유대·민족주의를 형성한다.
에세네파: 신약성서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쿰란 공동체를 형성하면서 종말론 신앙을 가지고 경건과 금욕생활을 하면서 자신들이 빛의 아들이며 다른 사람은 다 어둠의 아들이라고 말한다.
유대·기독교: 제 2차 성전파괴로 인해서(AD 70년경) 제사장의 직분을 가진 사두개인이 사라지게 되고 젤롯당도 에세네파도 사라진다. 남은 것은 바리새파이고 이들이 랍비가 되어 유대 교를 이끈다. 여기서유대교는 이스라엘의 민족종교가 되고 기독교는 세계종교가 된다.
2. 랍비유대교(예수님 등장 이후의 유대교를 말한다.)
회당(시나고르): 기독교의 성전과 같은 곳으로 유대인이 모이는 곳을 말한다. 회당은 예배와 기도를 하는 곳이며 토라와 탈무드를 연구하고 지역공동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랍비: 사두개인의 제사장적 개념이 랍비로 바뀌어서 제사를 인도하지 않고 율법을 해석하고 가르친다.
탈무드: 토라를 해석하고 연구한 것이 탈무드가 된다. 분야는 총 6개 분야이다. 탈무드는 미쉬나(토라를 1차적으로 해석한 것)와 게미라(빠진 것을 2차적으로 다시 추가한 것)으로 나뉜다. 이것은 AD 90년경에 히브리 바이블로 확정이 되는데 히브리 바이블은 율법과 예언서, 성문서로 나뉜다. 내용은 구약성서와 일치하나 순서가 다르다.
VII.도 교
철학적 도교(Taoism)
도교의 대표적 사상이 노장사상이고 대표적 책이 도덕경(道德經)이다. '노자'라고도 불리는 이 책은 5000여개의 한자로 이루어져 있다. 노장사상에서는 무위자연을 주장하는데 이것은 노자가 유교의 예치주의(인위성, 작위성, 번쇄성)를 비판함으로 생겨났다고 볼 수 있다. 무위자연이란 자연주의 사상(예: 물-어디든지 스며든다, 통나무-원목으로서 어디든지 쓰일 수 있다 등)으로 인위주의와 반대가 되고 남성적으로 수직적인 가부장적 제도를 비판함으로 여성적이다. 도교는 이 무위자연으로 도의 경지에 이른다.
도 교(무위자연)
유 교
자 연 주 의
인 위 주 의 (예치주의)
여성적
남성적(가부장적)
유교에서 말하는 도(道)는 두 가지로 나누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로 도는 궁극적 실재, 지고의 원리, 만물의 근원으로서 예를 들면 힌두교의 브라만, 불교의 공(空), 이슬람의 알라, 유대교의 야훼 등으로 비교될 수 있다.
둘째로 도는 道常無爲而無不爲(도상무위이무불위)라 하여 '무심(無心)의 경지'를 일컫는다. 이 말은 '도는 아무 행위가 없지만 어떠한 것도 돌보지 않는 것이 없다.'라는 뜻을 가진다.
종교적 도교
종교적 도교는 수련도교와 과의도교 두 가지로 나뉜다.
수련도교
어떻게 하면 죽지 않고 신선과 같이 살 수 있을 것인가를 연구하는 것으로 이 연구 방법을 양생술이라 하여 다섯 가지로 보고 있다. 이런 양생술을 행하는 사람을 방사(方士) 또는 술사(術士)라고 한다.
【양생술의 다섯 가지 방법】
앞의 두 가지는 외단(外丹) 또는 외공(外功)의 방법으로 바깥에서 먹거나 피함으로 양생술을 한다.
1. 복약(服藥)
신선이 되기 위해서는 금단(金丹)을 먹는데 이것은 붉은 모래에서 나온다. 이것을 먹는 이유는 첫째로 '주술적 사고' 때문인데 금단이라 불리는 황화수은에 열을 가하면 수은이 떨어져 나갔다가 다시 돌아가려는 성질 때문에 황과 합쳐지는데 이것과 마찬가지로 인간도 늙어가다가 이것을 먹음으로 다시 젊어진다는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로 '유사성의 원인'인데 금이라는 것이 변하지 않듯이 인간도 이것을 먹음으로 변하지 않는다는 이유 때문이다.
2. 벽곡( 穀)
이것은 곡식을 피한다는 뜻으로 오곡을 먹지 않는다는 것이다. 양생술에 따르면 오곡은 오히려 인간에게 나쁜 기를 제공함으로 인간에게 해를 끼친다. 따라서 인간은 이슬을 먹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우주의 맑은 기운에 이슬에 맺혀 있고 이것을 먹음으로 우주의 에너지가 축적되고 불노장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나머지 세 가지는 내단(內丹) 또는 내공(內功)이라 하여 몸 속에서 만들어 가는 방법이다.
3. 도인(導引)
유연체조로서 도교식 요가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일종의 맛사지인데 퇴계나 이율곡선생이 받아 들여서 사용함으로 한국에도 알려져 있었다.
4. 조식(調息)
호흡을 느리고 깊게 하는 방식인데 복식호흡 또는 단전호흡이라고 불린다. 이것은 갓 태어난 아이들이 하는 호흡의 방법으로 행기(行己)라고도 한다.(호흡/동작/의식이 일치가 될 때 불노장생한다.)
5. 방중(房中)
방중서의 경전으로 대표적으로 소녀경(素女經)이라는 것이 있는데 성행위를 통해서 음기를 받아서 장수한다고 말한다.
과의도교
초기의 도교는 의례, 의식이 없었지만 불교의 영향을 받아서 이런 것이 생겼다.
도 교
불 교
사제계급
도 사(道士)
승 려
머무는 곳
도 관(道觀)
사 원
의례 및 의식
초 재
법 회
경 전
도 장(道藏)
대장경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7.06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5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