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문제제기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방법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고급소비의 특징
제2절 고급 소비자 유형
제3장 국내 실태분석
제1절 국내 고급소비 트렌드
제2절 국내 고급제품 시장 현황
제4장 결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문제제기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방법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고급소비의 특징
제2절 고급 소비자 유형
제3장 국내 실태분석
제1절 국내 고급소비 트렌드
제2절 국내 고급제품 시장 현황
제4장 결론
본문내용
실제 구매 히스토리를 추적할 수 있는 자동추적장치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2. 가전
삼성전자는 최근 초고가 가전제품만을 묶어서 삼성전자가 별도의 브랜드(하우젠)를 내어서 대규모 광고를 한다. 가전을 판매하는 유통업체인 전자랜드 21은 매장 내에 디지털 팰리스(Digital Palace)라는 제목 하에 초고가 제품들(해외명품과 국내명품)을 별도로 전시한다. 국내 고급가전업체 중 쌍벽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국내에서 prestige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해외에서도 해외의 선택된 VIP에게 자사 제품이 시장에 나오기 전에 개별적으로 미리 카달로그를 우송하는 것이 그들에 대한 특별한 사전 예우의 사례이다.
또한 가전오디오 제품이 집안의 필수품이기 때문에 앞으로는 또 다른 집안의 필수품인 컴퓨터, 가구, 주방용품을 판매하는 메이커들과 가전회사들의 전략적 제휴를 맺고 공동마케팅을 펼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3. 자동차
국내 자동차업계의 선두주자인 현대자동차는 자사의 최고급인 에쿠스에 대한 Prestige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전용정비센터마다 고객별 에쿠스 담당자를 선정하여서 자동차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다. 에쿠스별로 주치의 제도까지 도입하고 고급잡지도 우송해 주고 있다.
1억원 정도 되는 자동차를 구매하는 고급소비자를 잘 모신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자동차는 3~4년 정도 되면 바꾸기 때문에 한번 고객으로 잘 관리하면 평생동안 십여대 이상의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자동차 마케팅은 주로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서 선호되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앞으로 자동차와 미술품, 자동차와 골프, 자동차와 해외여행을 묶어서 Prestige 마케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4. 주택
초고가 아파트를 분양하는 건설업체들은 일반인이 고가아파트를 구경하는 것을 꺼린다. 또한 초고가 아파트를 구입하는 고급 소비자 또한 자신의 신분이 노출되는 것을 꺼린다. 따라서 건설업체들은 Prestige 마케팅 대상 리스트를 별개로 만들어서 엄선된 부자에게만 아파트를 보여주어야 한다. 제한된 고객에게만 연락하고 이들이 오면 개별적으로 안내를 해야하는 것이다. 이러한 마케팅은 2~4억 정도의 일반인용 아파트를 구매하는 사람들이 와서는 실제 구매도 하지 않으면서 이리저리 초호화급 아파트가 분양되고 있다는 입소문만 무성하게 만드는 원인제공을 원칙적으로 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2절. Prestige 마케팅의 미래
외국에서는 현재 2만 달러짜리 휴대폰도 시판되고 있다. 국내에서 현재 비싼 핸드폰들이 100만 원대인 것에 비하면 매우 비싸다고 할 수 있다. 국내 모 가전업체가 해외에서 판매에 나선 황금벽걸이 TV도 있다.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이 비싸도 그 품질이 우수하다고 인정되면 많은 수요가 뒤따른다는 것이다.
2003년 Prestige 마케팅은 시작에 불과하다. 앞으로는 전략적 제휴의 폭을 넓혀가면서 업체간에 다양한 형태의 자료 공유가 필요해지게 된다. 고급 소비자 한 명이 필요로 하는 온갖 서비스(예를 들어서, 자산관리, 명품구입, 해외여행, 스포츠와 레저, 예술품관리, 자녀관리 등)를 토털 시스템화하여 한 사람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상호 보완할 수 있는 기업체들이 공동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시스템의 구축은 내부적인 자료 교환과 자료의 보완은 관련된 업체간에 서로 도움을 주면서 이득이 될 것이다. 어느 정도 Prestige 마케팅의 DB가 확보되어서 합쳐지면 현재까지 국내에 전혀 선을 보이지 않았던 Prestige 마케팅 기법들이 선을 보이게 될 것이다. 한동철, VIP 마케팅,삼영사, 2002. p.164.
본인이 아무리 안목이 높다고 하더라도 자신이 필요로 하는 모든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각종 구입처와 활용처를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Prestige 토털마케팅을 하는 업체들이 나타나면 어느 한 사람의 취향과 정서를 파악한 후에 그의 스케줄을 부분적으로 관리하면서 매일매일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1:1 스케줄 관리 서비스도 그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2000년대로 들어서면서 소득이 상승하고 인간의 욕구가 광범위해져 가면서 인간의 모든 욕구를 채워주는 방향으로 마케팅이 확대되고 있다. 고급 소비자들은 돈 자체가 아니라 파워를 원한다. 사회적 파워뿐 만 아니라 내가 당신보다 더 훌륭하다. 그 이유는 내가 시키면 당신은 그 일을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자신이 최고급 제품을 구매한다는 그 자체로서 자신의 품격이 사회적으로 최고급이 된다.라는 심리적인 파워를 좋아한다. Prestige 마케팅이 뜨는 것은 고급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제품과 서비스가 그들의 호감을 받기 때문이다. 고급소비자가 좋아하는 제품을 아주 좋은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 Prestige 마케팅 전략의 핵심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도 10년 이내에 획기적인 Prestige 마케팅이 현실화되길 바란다.
<참고문헌>
강태욱 외, 소비양극화와 기업의 대응,LG경제연구원, 1999.
관세청, 「2002년 상반기 사치성 소비재 수입 현황」, 2002.
김경섭, 국내 소비시장 고급화에 따른 귀족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중부대학교 인문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박정현, 1%를 위한 전쟁 - 귀족마케팅,LG주간경제 11.27, LG경제연구원, 2002.
박혜경, 소비자 경제학,박영사, 1989.
복득규 외, 일본제품이 몰려온다; 수입선 다변화 해제 1년과 대응전략,CEO information 253호, 삼성경제연구소, 2000.
삼성경제연구소, 「2002 상/하반기 CFI Research 」, 2002.
이상민, 소비시장 고급화와 기업의 대응,삼성경제연구소, 2001.3.
이은미 외, 소비시장의 양면성과 기업의 대응,CEO information 370호, 삼성경제연구 소, 2002.
최순화, 소비시장의 양면성,Issue paper 9.24, 삼성경제연구소, 2002.
최우열, 소비 양극화 시대의 기업 마케팅,LG주간경제 1.20, LG경제연구원, 2002.
한국소비자보호원, 「국민소비행태 및 의식구조 조사」, 1999.
한동철, VIP 마케팅,삼영사, 2002.
2. 가전
삼성전자는 최근 초고가 가전제품만을 묶어서 삼성전자가 별도의 브랜드(하우젠)를 내어서 대규모 광고를 한다. 가전을 판매하는 유통업체인 전자랜드 21은 매장 내에 디지털 팰리스(Digital Palace)라는 제목 하에 초고가 제품들(해외명품과 국내명품)을 별도로 전시한다. 국내 고급가전업체 중 쌍벽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국내에서 prestige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해외에서도 해외의 선택된 VIP에게 자사 제품이 시장에 나오기 전에 개별적으로 미리 카달로그를 우송하는 것이 그들에 대한 특별한 사전 예우의 사례이다.
또한 가전오디오 제품이 집안의 필수품이기 때문에 앞으로는 또 다른 집안의 필수품인 컴퓨터, 가구, 주방용품을 판매하는 메이커들과 가전회사들의 전략적 제휴를 맺고 공동마케팅을 펼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3. 자동차
국내 자동차업계의 선두주자인 현대자동차는 자사의 최고급인 에쿠스에 대한 Prestige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전용정비센터마다 고객별 에쿠스 담당자를 선정하여서 자동차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다. 에쿠스별로 주치의 제도까지 도입하고 고급잡지도 우송해 주고 있다.
1억원 정도 되는 자동차를 구매하는 고급소비자를 잘 모신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자동차는 3~4년 정도 되면 바꾸기 때문에 한번 고객으로 잘 관리하면 평생동안 십여대 이상의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자동차 마케팅은 주로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서 선호되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앞으로 자동차와 미술품, 자동차와 골프, 자동차와 해외여행을 묶어서 Prestige 마케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4. 주택
초고가 아파트를 분양하는 건설업체들은 일반인이 고가아파트를 구경하는 것을 꺼린다. 또한 초고가 아파트를 구입하는 고급 소비자 또한 자신의 신분이 노출되는 것을 꺼린다. 따라서 건설업체들은 Prestige 마케팅 대상 리스트를 별개로 만들어서 엄선된 부자에게만 아파트를 보여주어야 한다. 제한된 고객에게만 연락하고 이들이 오면 개별적으로 안내를 해야하는 것이다. 이러한 마케팅은 2~4억 정도의 일반인용 아파트를 구매하는 사람들이 와서는 실제 구매도 하지 않으면서 이리저리 초호화급 아파트가 분양되고 있다는 입소문만 무성하게 만드는 원인제공을 원칙적으로 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2절. Prestige 마케팅의 미래
외국에서는 현재 2만 달러짜리 휴대폰도 시판되고 있다. 국내에서 현재 비싼 핸드폰들이 100만 원대인 것에 비하면 매우 비싸다고 할 수 있다. 국내 모 가전업체가 해외에서 판매에 나선 황금벽걸이 TV도 있다.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이 비싸도 그 품질이 우수하다고 인정되면 많은 수요가 뒤따른다는 것이다.
2003년 Prestige 마케팅은 시작에 불과하다. 앞으로는 전략적 제휴의 폭을 넓혀가면서 업체간에 다양한 형태의 자료 공유가 필요해지게 된다. 고급 소비자 한 명이 필요로 하는 온갖 서비스(예를 들어서, 자산관리, 명품구입, 해외여행, 스포츠와 레저, 예술품관리, 자녀관리 등)를 토털 시스템화하여 한 사람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상호 보완할 수 있는 기업체들이 공동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시스템의 구축은 내부적인 자료 교환과 자료의 보완은 관련된 업체간에 서로 도움을 주면서 이득이 될 것이다. 어느 정도 Prestige 마케팅의 DB가 확보되어서 합쳐지면 현재까지 국내에 전혀 선을 보이지 않았던 Prestige 마케팅 기법들이 선을 보이게 될 것이다. 한동철, VIP 마케팅,삼영사, 2002. p.164.
본인이 아무리 안목이 높다고 하더라도 자신이 필요로 하는 모든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각종 구입처와 활용처를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Prestige 토털마케팅을 하는 업체들이 나타나면 어느 한 사람의 취향과 정서를 파악한 후에 그의 스케줄을 부분적으로 관리하면서 매일매일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1:1 스케줄 관리 서비스도 그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2000년대로 들어서면서 소득이 상승하고 인간의 욕구가 광범위해져 가면서 인간의 모든 욕구를 채워주는 방향으로 마케팅이 확대되고 있다. 고급 소비자들은 돈 자체가 아니라 파워를 원한다. 사회적 파워뿐 만 아니라 내가 당신보다 더 훌륭하다. 그 이유는 내가 시키면 당신은 그 일을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자신이 최고급 제품을 구매한다는 그 자체로서 자신의 품격이 사회적으로 최고급이 된다.라는 심리적인 파워를 좋아한다. Prestige 마케팅이 뜨는 것은 고급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제품과 서비스가 그들의 호감을 받기 때문이다. 고급소비자가 좋아하는 제품을 아주 좋은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 Prestige 마케팅 전략의 핵심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도 10년 이내에 획기적인 Prestige 마케팅이 현실화되길 바란다.
<참고문헌>
강태욱 외, 소비양극화와 기업의 대응,LG경제연구원, 1999.
관세청, 「2002년 상반기 사치성 소비재 수입 현황」, 2002.
김경섭, 국내 소비시장 고급화에 따른 귀족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중부대학교 인문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박정현, 1%를 위한 전쟁 - 귀족마케팅,LG주간경제 11.27, LG경제연구원, 2002.
박혜경, 소비자 경제학,박영사, 1989.
복득규 외, 일본제품이 몰려온다; 수입선 다변화 해제 1년과 대응전략,CEO information 253호, 삼성경제연구소, 2000.
삼성경제연구소, 「2002 상/하반기 CFI Research 」, 2002.
이상민, 소비시장 고급화와 기업의 대응,삼성경제연구소, 2001.3.
이은미 외, 소비시장의 양면성과 기업의 대응,CEO information 370호, 삼성경제연구 소, 2002.
최순화, 소비시장의 양면성,Issue paper 9.24, 삼성경제연구소, 2002.
최우열, 소비 양극화 시대의 기업 마케팅,LG주간경제 1.20, LG경제연구원, 2002.
한국소비자보호원, 「국민소비행태 및 의식구조 조사」, 1999.
한동철, VIP 마케팅,삼영사, 2002.
추천자료
스포츠 마케팅을 통한 중국 광고시장 진출전략
소주업계의 소비자행동에 기초한 기업의 마케팅성공 사례
명품시장 현황과 명품 브랜드 마케팅 전략
이마트의 성공적인 중국 진출과 까르프의 실패 요인 분석,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
신세계 이마트 [글로벌 시장전략 및 글로벌 마케팅 전략 분석]
소비자분석,참이슬,처음처럼,마케팅전략 (프로모션 선호도, STP 분석, 4C 분석 , 프로모션 전...
스타벅스-서비스 경영,스타벅스기업소개,스타벅스성공전략,감성 마케팅 전략,커피시장조사
러브마크 로서의 페레로로쉐 브랜드평가와 페레로로쉐 마케팅전략분석및 소비자태도분석과 페...
카페베네- 기업뷴석,카페베네 커피시장,카페베네 경영전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
[전통시장 활성화방안 연구] 전통시장 현재상황분석과 활성화위한 정부정책, 전통시장 마케팅...
[서비스 마케팅 팀 프로젝트 기업분석] 아모레퍼시픽(Amore Pacific), 중국시장에서 어떻게 ...
코오롱스포츠 마케팅,아웃도어시장 마케팅,코오롱 전략사례,노스페이스 코오롱비교,브랜드마...
건강식품의 시장동향과 소비행태 (건강식품의 시장동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