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시장 현황과 명품 브랜드 마케팅 전략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명품시장 현황과 명품 브랜드 마케팅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명품
1. 명품의 이해
2. 고객만족과 구매선택

III. 명품시장현황
1. 국내 명품 시장현황
가. 국내 명품시장 발전사
나. 국내 명품시장의 현황 및 전망
2. 해외 명품시장현황
가.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의 등장
나. Hard Luxury의 강화
다. 상품의 혁신 및 다각화
라. 특정라인 / 아이템의 매출비중 증가

IV. 명품 브랜드 핵심역량 및 경쟁우위 확보전략 도출
1. 명품구매고객 세분화 전략
2. 문화마케팅 전략
3. 연계 마케팅 전략
4. 유통채널로서의 확고한 입지 구축
5. 기업의 내부적 역량 강화
6. 준거집단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
7. 공간 마케팅 전략
8. IT전략
9.브랜드 포트폴리오 전략
10.장인과 디자이너에 대한 투자

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구로는 Lababera & Mazursky(1983)의 연구가 있는데 이 연구는 식료품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재 구매와 전환행동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재 구매는 전 단계의도에 영향을 받고, 전환행동은 불만족에 의해 일어난다는 결과를 내었다. 또한 박정은 외(1998)은 외식서비스이용자를 대상으로 만족도가 재 구매의도간 관계에 있어 관계의 질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만족이 재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III. 명품시장현황 및 고객데이터 분석
1. 국내 명품 시장현황
가. 국내 명품시장 발전사
구 분
명품시장
사회
태동기
(1988년)
- 중저가 수입의류 도입 성장
- 수입의류 Hand Carry형태 위주 운영
- 88년 해외여행자율화되며 소위 보따리상들의 해외 명품 국내반입 활발
[주요 브랜드] 란셀, 니나리찌, 발리, 아이그너 등의 피혁잡화
도입기
(1990년대 초)
- DESIGNER BRAND의 성장단계
- 정식계약에 의한 수입의류브랜드 도입, 중저가 수입단품 성숙
- 해외여행을 하는 일부 소수 부유층 중심으로 명품소비
[주요 브랜드] 버버리, 베르사체, 겐조, 에스까다
1차 성장기
(1995년 이후)
- DESIGNER BRAND의 성숙단계
- 수입의류브랜드 성장
- 잡화토탈 명품브랜드 도입
- 중저가 수입단품 절정기
- 수입브랜드의 무차별적 국내 진출.
- 백화점의 수입브랜드 직영운영의 절정기
[주요 브랜드] 미쏘니, 발렌티노, 아이그너, 발리
2차 성장기
(1997년 말)
- DESIGNER BRAND의 PEAK단계
- SUPER BRAND의 직진출
- 잡화토탈브랜드 성장
- 수입의류브랜드 성장
- 중저가 수입단품 쇠퇴
- IMF로 수입브랜드 구조조정(양극화 진행)
- 백화점 수입포함 PB사업정리
- 고가 수입브랜드 급성장
[주요 브랜드] 구찌, 프라다, 페라가모, 루이비통, 아르마니, 질샌더
성숙기
(2000년 전후)
DESIGNER BRAND의 쇠퇴
SUPER BRAND의 성장
고가 JEWELRY브랜드 성장
수입의류브랜드 성숙
해외 LUXURY FASHION GROUP의
PACKAGE전략 구사
- 성숙기에 접어들며 수입 브랜드 성장 감소
- 명품시장 세분화(정통명품,대중명품)
- 브릿지라인 등 젊은층 대상 니치마켓 성장
[주요 브랜드] 샤넬, 티파니, 디올, 로맨틱브랜드
나. 국내 명품시장의 현황 및 전망
(1) 명품의 대중화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정보접근성의 발달로 과거 특정의 소수에 의해서만 은밀하게 교환되던 명품에 대한 정보를 누구나 쉽게 검색, 접촉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인터넷 쇼핑몰 등 온라인을 통한 명품유통채널 확산으로 더 대중적인 명품유통망이 확대되었다. 해외여행, 해외연수 등의 대중화로 해외의 명품브랜드들에 대한 접촉의 기회가 많아졌으며 명품브랜드에 대한 대중적인 인지도가 역시 크게 확산되었다. 또한 해외 명품브랜드들의 글로벌화 전략에 따른 전세계적인 매장의 확산으로 특정지역이나 장소에서만 만날 수 있었던 명품의 희소성 감소하였고, 10~20대 젊은 소비자층의 명품 선호 현상으로 명품 고객기반이 확대되었다.
(2) 명품수요의 세분화
1) High-end-Luxury
전통적 부유층인 40-50대를 타깃으로 명품 브랜드 중 품격을 인정받는 고가의 샤넬,에르메스와 같은 정통 명품브랜드를 말하며 명품 수요층 확대와 함께 정통 명품 브랜드군과 가격 소구력이 있는 상업화된 명품군으로 명품시장의 세분화 및 차별화 진행를 진행하고 있다.
2) New-Luxury
High-end-Luxury의 제한적 고객유입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넓은 폭의 소비자를 공략할 수 있는 신 패션 브랜드 중심의 새로운 명품MD 부상하였다.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의 고급화 및 인터넷 등 정보미디어의 발달, 여가 및 개인적 투자기회의 확대 등으로 주로 젊은층을 중심으로 자신만의 차별화된 럭셔리 라이프를 추구해 나가려는 트렌드의 급부상에 영향을 받았다
(3) 명품 상품군의 다양화 (매스티지의 등장)
대중을 뜻하는 \'mass\' 와 명품을 뜻하는 \'prestige product\'의 신조어로서 고급스러움과 실용성을 겸비한 \'매스티지\'는 뉴럭셔리와 맥락을 같이 하는 개념이다. 전통부유층보다는 소득수준이 높아진 중산층들이 비교적 값이 저렴하면서도 명품의 \'후광효과\'를 향유할 수 있는 제품을 원하는 경향에서 유래하였다.
패션명품브랜드 \'코치\'를 비롯 프리미엄진 \'디젤\', 스포츠브랜드 퓨마의 \'퓨마블랙스테이션\', \'스타벅스\'의 커피, \'브라운\'의 전동칫솔 등에 이르기까지 신 명품족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토탈상품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
(4) 명품 상품군의 다양화 및 카테고리화
과거
현재
<수입의류>
엘레강스군 집중 및 브랜드 군 형성 미흡
<수입의류>
엘레강스군 감소, 로맨틱군, 미니얼 클래식군, 캐주얼군, 럭셔리니트군, 빈티지군 등 다양화
<잡화명품>
일부 슈퍼 브랜드의 독주체재 및 MD 상품의 다양성 부족
<잡화명품>
브릿지라인, 매스티지 등 다양한 신명품 브랜드의 등장, 명품브랜드의 상품라인 다양화(뉴럭셔리)
위의 표와 같이 수입의류와 잡화명품에 있어서 과거에 비해 현재에는 주로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웰빙주의, 웰빙룩의 열풍
전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well-being\'에 대한 추구는 국내의 명품패션산업에 있어서도 예외없이 적용되고 있다. 소위 웰빙룩이라고 일컬어지는 이러한 새로운 패션사조는 모든 패션의 본질을 삶의 안녕과 행복, 만족, 그리고 기존의 기술적인 디자인, 소재, 색상에서 벗어나 자연주의로 돌아가고자 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6) 명품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수용도 성숙
인터넷의 발달 및 각종 미디어를 통한 패션관련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글로벌시대에 들어서면서 국내 소비자들의 해외명품에 대한 인지 및 정보력이 상당수준에 달하게 되었다. 또한 개인주의의 발달과 함께 자신과 가족에 대한 투자에 돈을 아끼지 않는 성향이 강해지면서 자신을 남들과 차별화할 수 있는 명품브랜드 이용에 대한 욕구가 급속도로 성장하게 되었다. 고객 역시 기존의 주 구매층인 40,50대에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2.01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9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