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생대 대동누층군의 화석 고찰(지구과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생대 대동누층군의 화석 고찰(지구과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대동누층군 개관

남한의 대동누층군

북한의 대동누층군

대동누층군의 화석
1. 개형충
2. 이매패
3. 에스테리아
4. 식물화석
5. 곤충화석

본문내용

그 보존 상태도 불량한 경우가 많다.
고생대 지층부터 신생대 지층까지 모두 발견되며, 특히 신생대 제3기층과 제주도의 서귀포층과 신양리층(플라이오-플라이스토세의 지층)에서 풍부하게 발견되고 있다.
특징
가장 큰 특징은 두 장의 각판(valve)으로 이루어진 배갑으로 인해 다른 갑각류와 쉽게 구별이 된다. 좌우 각판은 교합장식을 통해 서로 맞물려 있으며, 배갑이 열리면 개형충은 복측 사이로 부속지(附屬肢)를 내밀어 물 밑바닥을 거닐거나 유영을 하고, 먹이 섭취, 교미를 하기도 한다. 탈피를 통하여 낡은 배갑을 벗어버리고 새로운 배갑을 분비하며, 짧은 탈피기간 동안 개형충은 몸체의 부피를 거의 두 배 이상 부풀리고 새로운 배갑을 분비한다. 성체가 되기까지 탈피를 8번 한다.
2. 이매패류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에 출현하여 오늘날 크게 번성하고 있는 연체동물로, 도끼모양의 발을 갖고 있다고 하여 부족류(부족류)라고도 불린다. 두 장의 단단한 석회질 각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조개 화석으로 잘 알려져 있다. 두 장의 각은 겉모양이 같아서 좌우대칭을 이룬다는 점에서 완족류와 구별된다.
이매패류와 완족류의 구별법
측면에서 봤을 때 이매패류는 좌우 대칭인 반면에 완족류는 대칭이 아니다.
이매패류의 구조
3. 에스테리아(Estheria)
얼핏 보기에는 조개류로 생각될 수 있으나 실제로는 연체부의 특징으로 마디가 있는 다리와 많은 부속지(附屬肢)를 가진 절지동물에 속하며, 연체부를 싸고 있는 두 장의 외골격이 마치 조개껍데기와 같이 몸을 감싸고 있는 개갑류 화석이다. 보통 얇게 엽층리가 잘 발달된 흑색 셰일층에서 집단적(군집형)으로 산출되는데, 타원형의 각 표면에는 수많은 성장선이 동심원상으로 매우 가늘게 발달되어 있고, 종류에 따라서는 좁쌀 같은 작은 돌기가 돋아있는 것도 있다.
4. 곤충류 : 흑색 셰일에서 많이 나오며 빛에 반사했을 때 잘 보인다.
5. 식물화석
Dictyophyllum-Clathropteris 식물군 : 오늘날의 양치식물(고사리)과 같다.
6. 어류화석
실제 대동누층군에서 나온 화석으로 충남 보령 부근에서 산출 되었다. 체형은 방추형이고 꼬리는 정형에 속하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기저는 상당히 길고, 등지느러미 기저의 중간부분에서 뒷지느러미의 기저가 시작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지질, 대한지질학회
고생물학, 김봉균 외
한국의 화석, 윤철수
한국 화석 홈피 www.koreanfossil.info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7.16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8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